국어 독해 방식 바꿔야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31655
일단 저는 진짜 말그대로 국어를 감으로 푸는.. 고3인데요
고1 때부터 1~2등급 왔다갔다, 고2 때는 고정 2등급, 이번 3모는 1등급(언매) 맞았습니다
확실히 고1, 고2 때는 오히려 문학, 문법에서 많이 틀리고 비문학은 항상 다 맞았는데 이번엔 비문학 한 지문에서 한 개씩은 틀린 것 같긴 합니다
일단 지금까지는 딱히 국어 공부를 한 적이 없고 그냥 쌩으로 진짜 그냥 다 읽고 푸는 방식입니다..
이해라기보다는 암기에 가깝긴 한데.. 그래서 그런지 모고 치고 나면 어라 이걸 어떻게 풀었지.. 하고 다시 기억 안나는 경우가 많고요
또 한 지문당 3분 정도로 빠르게 쭉쭉 밑줄이나 동그라미 기호 표시하면서 읽으면서 솔직히 내용을 완벽히 이해한다기보다는 어렴풋이 이해하는 느낌이고 암기하는 게 더 많은 것 같습니다(근데 그렇다고 문제 하나 읽고 다시 돌아가고 이러진 않아요)
모든 문제를 그냥 일대일대응 느낌으로 푼다고 해야되나..?
제가 걱정하는 건 지금까지는 뭐랄까 야매식으로 그냥 무작정 풀어도 성적이 잘 나왔는데 이런 방식이 수능에서도 먹힐까 평가원에서도 먹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딱히 뭔가 요령이 없고 독해 풀이하는 나만의 방식..? 인강 선생님들이 가르쳐주는 체계화된 뭔가가 없다보니 이러다가 수능에서 폭망하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하고
지금이라도 인강 듣고 독해 방식을 뜯어고치는 게 맞나.. 싶은데 지금까지 운좋게 잘 나온 건지는 모르겠지만 쭉 잘 나왔다 보니까 괜히 인강 본대로 따라했다가 성적 더 안 나오는 거 아니야? 싶어서 불안한 것도 있고
혹시 저같은 분들 계실까요? ㅠㅠ 모고에서는 그냥 딱히 요령없이 풀었는데 잘 나오다가 수능 때 잘 안 나오셨다던지..
선배님들 혹은 1등급님들 제에발 팁 좀 주세여..ㅠㅠㅠㅠ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가 오늘부터 이 메타를 바꾸러 왔다
-
예전 기출부터 문제 모아놓은 문제집 있을까요 해설지는 별로여도 괜찮은데... 양 많았으면 좋겟음
-
새벽에 공원에서 2
오랜만에 딸기우유 마시니까 좋네요,,
-
반지름이 4인 원 O와 원 위에 한 점 A가 있다.OA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을...
-
공부미루기… 0
공부해야되는데해야되는데해여되는데 ㅇㅈㄹ로 계속 미루다가 지금 시간됨 하…...
-
여대에 대한 오해 15
나도 이대 오기 전까진 투블럭한 무서운 언니들만 있고 화장하고 학교 가면 흉자련아...
-
작년이나 올해나 내 상황 이해해주면서도 날 아껴주는 사람이 있길 바라고 있음 정신병자인가;
-
대학와서느낀거 1
나는 생각보다 멍청함 응애 뜌땨이 뜌땨?
-
재수하는데 저희 지역에 재수학원이 없어서 ㅠㅠ 근처 재수학원 왕복 3시간이라 통학도...
-
돈까스 싫어하는 여자는 없음
-
아씨잘학습지채워야하는데
-
날 아껴주는 사람이 옆에 있다는 게 엄청 감사한 일이었구나 가족 친구 죄다 고향...
-
서울대 남자 연고대 여자 같은과 같은 시급이면 누가 더 구하기 쉬움?
-
[자작문제] 생각나는 기출이 있는 수2문제 (1000덕) 9
하나만 더 던지고 자러감 팔로우해주시면 뻘글없이 맛있는 자작문제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https://orbi.kr/00072657765/%5B%EC%B9%BC%EB%9F%...
-
집나간사회성어케되찾지 16
수능보다대학생활이더걱정되노
-
인생망함 8
ㅠㅠ
-
내신 1.5면 어디가 좋을까요??
-
서연고 재학생분들중 과외알바로 돈버는 분들도 있나요? 남자분들 기준으로요
-
여캐일러 투척 22
음 역시 귀엽군요
-
공대 학과 티어 5
공대학과 티어 좀 간략히 알려주세요ㅜㅜ
-
지역쿼터제는 하면서 지능쿼터제는 왜 안하냐 저능이들도 대학 좀 가자
-
전전vs컴공vs신소재
-
구파발에서 야간버스 타려는데 지디콘 끝난 외국인들로 가득차가지고 문 5분동안...
-
나 왜 여태 몰랐지 갑자기 누워있다 떠오름 근데 인강교재 이런곳에 하나도 없네 뭐지...
-
수능 공부가 ㅈㄴ 재밌어졌다
-
가격 면에서 이득인 거 같은데
-
희망스펙은 아래랑 같은데 (3-1)컴활 2급1종 보통면허한능검 심화...
-
원곡이 이 노래였구만
-
안녕하세요,이번은 고3 시절에 만든 어둠의 적분법을 공유하겠습니다 이정도는...
-
난이도: 6.5/10 f(x)를 f'(x)만으로 구할 수 없음 1. 이계도함수...
-
안녕히 주무세요 2
국어, 영어 수행 준비 드디어 끝났네용 우우 뜌따이 코코해야지
-
ㄹㅇ..
-
가끔씩 반에 형편 좀 안좋아서 인강도 못듣는 친구들이 있음 물론 공부환경만으로...
-
임정환 들으시는분들 사문 열정노트에 뭘 적어야하나요? 첫날수업에 뭐뭐적어야한다고 말을 안해주는데요? 0
걍 열정노트잇다고만 말쓴하시는데 칠판피리적는거애요?
-
부러워서그러는거맞음
-
핫도그 사줄게요
-
취침
-
노잼인 질문말고 좀 재밌는걸로
-
(수능포함) 왤케 성적 안오르지 싶었는데 오르는거였음 교욱청 컷이 워낙 낮다보니..
-
덧셈은 마이너스×역수 뺄셈은 플러스×역수 이거 맞나요 뭔가 기본적인 건데 평가원에서 못 본 느낌임
-
새 삶 살아야제..
-
공부 0
다들 시험 준비할 때 단권화 하셨나요? 전 그냥 교과서에 있는 내용 프린트에 옮겨...
-
임팩트있는 지출은 없는데 매일 조금씩 갉아먹히고 있다
-
흠
-
그냥 무지성 계산문제인줄 알았는데 그런 뜻도 있었네..
-
학교 가기 개싫으면 개추 ㅋㅋㅋㅋㅋㅋㅋㅋ
-
모두가 불멸인데 8
나 혼자 죽을 수 밖에 없다면 어떨까요
-
잘자셈 다들 9
오르비별로 안할듯뇨 이제
-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입시 관련 스토리임 여주가....으흐흐흐 레진코믹스
안녕하세요
국어 칼럼을 쓰는 현월입니다 :)
먼저, 감으로 풀이하는 태도가 위험한 것은 사실입니다
사실 감으로 푼다는 것에도 정도가 있습니다
무조건 잘못된 것은 아니라는 말씀이지요
실제로 국어 풀이 과정에서 '정답일 것 같은 직관'이나
'본능적으로 먼저 읽게 되는 선지'등은
오히려 국어 극상위권일수록 나타나는 경향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게 '끝'이면 안 됩니다
그저 감으로 이게 맞는 것 같으니 찍고, 맞으니까 넘기고
그런 방식으로 풀게 되면 지금과 같은 불안감이 계속 남아있을 것이고
수능장에서 무너질 가능성도 없다고 할 수 없습니다
감으로 푸는 태도로 1~2등급을 오가신다는 것은
국어적 감각이 부족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그 감각을 시험지에 적용하는 태도를 버리지는 마시되
선지를 최종적으로 선택함에 있어서는 확실한 사고와 논리를 세우는 훈련을 해나가시기 바랍니다
이는 평가원 기출을 학습하며 다듬어야 할 부분입니다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1836019
[칼럼글 모음]
https://orbi.kr/00071856903
[국어학습총론] 링크 모음
https://orbi.kr/00072149074
위 탬플릿 중 '국어학습총론' 링크 모음에 있는 글들을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될 듯싶습니다
헉 감사합니다! 써주신 글들 한 번 읽어봤는데 너무 좋네요... 기출 분석 열심히 해볼게요

네, 감사합니다경험담으론 인강에서 가르쳐 준 체계화된 무언가가 없어도 감으로 풀어도 평가원에서 먹혔고 수능에서도 먹히긴 했습니다. 전 지문 다 읽고 푸는 스타일은 아니었고 한 문단 읽고 그 문단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 선지는 다 해결하고 그 다음 문단 읽는 식으로 풀었고 밑줄은 안 그었어요. 수능장에서도 영 찝찝하게 다 풀었는데 96점 받았어요.
감으로 풀더라도 정답을 고른 후에 이 답이 왜 나왔는지 지문에 근거해서 그 대목을 잡고 음 잘 찍었군 확인 후 넘기는게 정답률 높이는데 좋은 연습인 것 같아요
앗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수능까지 다른 국어 공부 정말 하나도 없이 96 받으신건가요??
다른 국어 공부라 함은??
인강을 묻는거라면 국어 인강은 언매만 들었습니다
고1때는 매3비 같은걸로 평가원 기출들 좀 풀어봤어요
그냥 풀고 채점하고 왜 틀렸는지 확인하고 넘기고
고2때는 내신 때문에 언매만 따로 열심히 공부하고 교육청 모고들 실모처럼 풀었고
고3때는 수특 풀면서 연계정리 좀 하고 실모 많이 푼게 다였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기출 푸는 연습 많이 해야겠네요
그렇게 하면 큰일나요
앗 아무래도 이 방법으론 무리일까요...ㅠ
저도 말그대로 그냥 읽고 그냥 푸는데 작년에 3등급에서 1등급으로 올렸어요
기출 많이 보면서 사고의 기준만 생긴다면 방식 자체는 괜찮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