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작년 3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97831
랑 비교하면 뭐가 더ㅠ어렵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현역 3모 결과 11
-
ㄹㅈㄷ커하수학들 1학년2학기기말내신 2학년2학기중간내신 <이게진짜ㄹㅇ똥지릴뻔했고...
-
정법 질문 6
국정 감사권은 행정부 뿐만 아니라 사법부도 견제하나요?
-
3모 수학 3
현역수능때 수학5등급 뜨고 기분안좋았는데 이번 3모 80맞았네요 12,1,2월에...
-
죽자
-
3모 수학 너무 억울함 국어 때문에 맨탈 날라가서 수학 졸라 대충 계산해서 몇점이...
-
평가원의 논리나 출제 방식을 잘 파악하지 못한 거 같아서 마닳을 사서 최소 3회독은...
-
약점을 어케 수정해야할 지 막막하다. 확실하게 나아지는 방법은 없나..
-
현역시절 화1 98 1등급이였고 거의 7-8년전이었지만… 피트도 쳐서 피트...
-
물지에서 물리를 바꾸려고 하는데 어떤 과목이 좋을까요?
-
이름이랑 수험번호는 다 마킹했고 문제는 마킹 하나도 안했는데 이러면 미응시 처리되서...
-
https://orbi.kr/00072605752
-
오늘 편지 보냄
-
무보정으로 하면 작수보다 조금씩 잘봤고 보정으로 하면 의치 갈 성적인데 무보정이...
작년보단 올해가 어려운듯요 개인적ㅇ,로
작년 현장 92 올해 집모 100
올해가 훨씬 어려워요
수학 영역: 매우 심하게 어려웠던 2024년 5월, 7월 학평보다는 쉽지만 평이했던 2022~2024년 3월 학평보다는 더욱 어렵게 출제된 편에 속하며, 공통과목의 경우 2025 수능[4]보다 어려웠다. 특히 문제 자체는 14번을 제외하면 어렵지 않았지만 다른 문제들에서 풀었는데 틀렸다는 사례가 속출하였다. 또한, 계산이 복잡한 문제가 많아 모의고사 연습을 하고 가지 않았다면 시간이 매우 부족했을 것이다.
9번 문제는 자주 출제되던 속도, 이동 거리 문제였다.
10번 문제는 수열의 합 문제로 10 20 1 11 21 2 12 22 3... 규칙성을 알아내서 푸는 문제였다.
11번 문제는 극솟값 조건으로 a가 음수인 걸 알아내어 푸는 문제였다.
12번 문제는 A의 좌표가 (1, 6)인 것을 알아낸 다음 f(x)를 -2부터 1까지 정적분한 다음 직각삼각형의 넓이 3을 빼 주면 됐었다.
13번 문제는 구간별로 정의된 삼각함수의 최대 최소 문제로 여기서 답이 갈린 경우가 많았다.
14번 문제는 정적분 부등식 문제. 조건이 살벌하지만 실제로 풀어보면 논리적으로 답이 나온다. 그래도 공통에서는 가장 어려웠다.
15번 문제는 지수/로그함수의 치역을 이용하여 f(x)를 일대일대응이 되게 하는 문제였다. 2025 수능 수학 20번과 유사하게 관계식이 이용되었다.
21번 문제는 수열 문제로 실수할 여지가 많았다. 2025 수능 22번이 수열로 출제된 것을 반영하여 주관식으로 출제되었다.
22번 문제는 미분가능성 문제로 22번치고는 까다롭지 않았다.
미적분 28번 문제는 수열의 극한으로 정의된 함수를 추론하는 문제로 미적분 8문항 중 가장 어려웠다.
미적분 29번 문제는 도형에서의 수열의 극한 문제로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해야 할 것 같았으나, 사실 코사인법칙으로만 풀 수 있었다. 즉, 각의 이등분선은 덧셈정리 등으로 풀려 했던 학생들을 오히려 더 꼬이게 만들려 했던 과조건이었다.
미적분 30번 문제는 수열의 극한 문제로 30번치고는 까다롭지 않았으나 ak의 값을 9, 3, 1로 설정하여 47을 답으로 써서 틀린 학생이 매우 많았다.
기하 28번: 포물선 문제로 접근은 어렵지 않았으나 계산이 매우 복잡했다.
라고함
전 2023 3모가 훨 어렵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