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풀이할 때 꼭 알아야 하는 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65556
당연한 거는 당연하게 받아들이자
예시를 들면
여기서 <x=a는 임의의 오차함수의 양끝 변곡점이고, 중간 변곡점 대칭일 때>, 빨간색 변곡접선은 "당연히" x=a 외의 추가 실근을 가지지 않는다는 걸 쉽게 알 수 있어야 그래프 풀이할 때 막힐 일이 없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루틴 환급조건 수능성적 입력 이후 절차 안내가 없네요. 개별 통보를...
-
샤인미 6
수1 수2 중 뭐가 나음? 많이 발상적인가
-
분명 그토록 갈망했는데
-
로또 2등이나 3등되면 당첨금으로 뭐하고싶니? 로또 2등되면 유럽 14일 여행,...
-
미키 17 관람 0
조두순도 미키 17 봤을까?
-
내일 1등급은 나오지 않을까???????????????????????? 아 제발 올...
-
학령인구가 반토막난 2040년대에는 인서울 최하위권 한성대, 서경대는 폐교해 아니면 통합해
-
저런글로 이륙은 무섭다 13
ㄹㅇ..
-
일진녀과외하기 12
이시국에개인교습
-
과탐인원뭐냐 11
ㄹㅇ 과탐안락사네
-
퇴근하는 버스 0
너무 행복해
ㅇ..어..?
나 왜 이해가 안대지..

진행적 성질을 잘 떠올려 보시오대충 차수가 높은 함수가 무한대로 발산하는 힘이 더 쎄다 정도로 배웠던거 같은디
무한대 뿐만 아니라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요.
오차함수면 좀 무서운데
f(x)=(x–a)³(x—b)² (a=/=b)인 경우만 떠올려봐도 가능하죠
오차함수가 점대칭인 경우로 한정하더라도 딱봐도 당연하다기보단 도함수가 선대칭이고 양끝 변곡점에서 기울기 최소니 둘의 함숫값 차가 감소하지 않아서 못 만난다는 좀더 엄밀한 논증이 필요하구요
오히려 반대로 그래프를 쓸 땐 내가 지금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사실이 정말 당연한지 의심하고 주의해야 함
제가 처음에 요 그래프보고 갑자기 떠오른 걸 적은거라..
점대칭 조건은 원래부터 염두하고 있었는데 최초에 쓸 때 실수로 빼먹은 건 오해의 소지가 있었네요
ㅇㅎ 어싸 문제군요
문제가 지극히 어싸틱하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