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영어는 원리같은거 없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49899
무조건 암기임?
사역동사 뒤에 왜 동사원형만 쓰는건지
To부정사나 ing쓰면 왜 안되는건지
원리같은건 없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행이라고 자주 생각했었음 반수 중이긴 한데 외가 친가 다 합쳐서 인서울 나뿐이고...
-
내일을 위해
-
인생 최대 업적 캬
-
머리가 좋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던 때가 잇엇음. (같은거 하는 사람들에...
-
머하는 사람일까
-
ㄹㅇ
-
과외선생님오늘너무죄송했급니다 오늘너무저능했슨
-
동의하면 계추
-
각성의 시간이다 7
3모 13212 6모 12211 9모 12111 수능 11111 가능할까요? 네...
-
헌포나 술게임은 싫어함 혼자 한잔씩 한모금씩 하면서 서서히 올라오는 취기를 즐기는게 좋음
-
맞팔하다가 금테 달면 옯창처럼 보일까봐 걱정임
-
열품타로 매일 인증할게요 이제
-
문학 오개념? 9
실모 푸는데 ' 눈과 핏방울' 이 색채대비가 맞다고 해설에 제시되어있는데...
어법은 의심 구문은 신뢰
to 부정사는 미래지향적 ing는 과거 회상 등의 성격이 있긴 해요
원리가 대부분 있는데, 학생 수준에서는 그 원리를 알려주면 오히려 방해가 될 가능성이 커요.
역사적으로 언어가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와 현대 언어학에서의 통사론 수준까지 가야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요.
공교육이나 사교육에서 원리를 설명 안하는(혹은 못하는) 이유는 선생이나 강사들이 학생 수준에서 가르쳐야 하기 때문이에요. 아무래도 학생들은 고등교육으로 통사론을 배우러 온건 아니잖아요. 강사 기준으로는 통사론을 아예 모르거나 깊게는 공부하지 않은 사람들도 많고요.
초중고등 혹은 시험 목적으로 가르치는 문법 지식은 대부분 현대 언어학적 관점에서는 틀린 내용이 많아요. 이건 국문법도 마찬가지고요. 목적이 서로 다르니까요.
언어학적으로 엄밀하게 가르치는 시도가 없었던건 아니지만, 아쉽게도 인강시장에서 외면받아서 다들 오래 못가고 사라져가는 추세죠...
그래서 정말 영문법과 언어학적 내용과 원리가 궁금하면 전공서적이나 논문(촘스키언과 인지언어학)을 공부하는게 좋은데, 이건 수험생 입장에서는 말도 안되는 소리죠.
정말 궁금해서 쉬운 수준으로 풀어낸 컨텐츠를 접해보고 싶으면 ㅅㅂ 강사의 유튜브 강의를 보거나 박상준 강사의 예전 출판물 해석이론 혹은 강의 (매우 비쌈)을 보는 방법도 있어요. 또, 교양서를 보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시중에 출판된 양이 극히 적고, 그마저도 논문이나 전공서보다 쉽다 뿐이지 어려운건 마찬가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