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한지 둘 다 해보신 분들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40308
추상적인거 싫고 통수도 없다해서 그나마 익숙한 한지로 사탐런 하려고 합니다
1. 어떤분은 한지 막상해보니 지구가 더 나은거 같다고 하고 어떤분들은 아니라고 하시던데 객관적으로
‘개념량(암기량)’만 따지면 몇배정도 차이나나요?
2.객관적으로 ‘공부량’만 따지면 몇배정도 차이나나요?
3. 한지 정말 어렵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미 딱 시작부터 정해진 느낌인거 같아요
-
ㅈㄴ짜증나네 5
어제 양말 6천원주고 샀거든? 난 최소 3켤레는 있는줄 알았는데 한켤레였음 ㅈㄴ비싸네..
-
그럼 그 사람 보려고 열심히 다닐텐데 음
-
진짜로 ㅠㅠ
-
항상 마음만 먹고 메가패스 끊고 2주정도 스카에서 깔작 공부하다가 다시 롤토체스하고...
-
심찬우 프리패스 사고 바로 다음날에 세일하는건 뭐죠 제가 뭐 잘못했나요
-
저희집 근처에 벚꽃나무가 없어서 몰라서..
-
오르비언한테 똥침놓기
-
마제소바 먹고싶은데 백소정도 브레이크 타임일거 같네요
-
대충 맞제?
-
이따 한 7시 쯤 풀어볼래
-
이미 가신분들 경험 좀 해줘요 진짜 공원에서 막 그것도 해요?
-
필라프내인간사료 5
1주일에세번은먹는거같네
-
애옹 6
그르릉 냐옹
-
무물보 3
안할래
-
댓글많으면 ㅇㅈ할게
-
하지만 아직도 허리 안 아프게 데드하는 법을 모르겠다
작년에 지구과학1 했었다가 6모 이후에 한지로 돌렸던 사람인데
1. 개념량으로만 따지면 한지:지구=1:2.5입니다. 한지가 다른 사탐애 비하면 많은 편이긴 한데 지구 개념량보다는 한참 아래죠.
2. 한지:지구=1:3
지구는 별 파트가 공부하기 너무 까다로웠는데, 한지에서 까다롭다고 여겨지는 기후나 산업 파트도 별보다는 쉬워서 금방 해요.
3. 평소에 세상 돌아가는거에 관심 없으면 암기해야될게 많아지긴 해요. 개념에서 어렵다고 느낀 적은 한 번도 없었으나 작년 수능에서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문제의 난이도가 많이 상승했습니다,, 근데 워낙 고여서그런가 등급컷이 높아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전 암기할게 많아지겠네요..ㅠㅠ
한지에서 준킬러? 킬러? 어렵다는 파트 난이도가
지구 어떤 파트랑 난이도가 비슷한지도 여쭤봐도되나요?
한지에서 소위 킬러라고 불리는 문항들은 어느 파트가 특히 어렵다기보다는 자료해석이 난잡한 경우가 있어서 지구과학의 자료해석 요구하는 문제들이랑 비슷한 것 같아요
굳이 하나 꼽자면 기후 추론 문제가 작년 수능에서는 미친 난이도였어요. 지구과학 시험지를 본 적이 없어서 난이도 비교는 불가능합니다..
무지성 암기랑 원리를 통한 암기 비율은 어느정도 되나요?
8:2
자연지리(지형,기후) 파트 외에 인문지리, 지역지리 파트는 99% 쌩암기라고 보시면 돼요
지구과학이랑 한지의 다른 점 중 하나가 지구과학은 원인에 초점이 있다면 한지는 결과만 외우시면 되는건데 다르게 말하면 그냥 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외워야하는게 많은 편입니다
근데 실생활에서 다 들어본 것들이라 외울만해요
아… ..그렇군요..ㅜㅜ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도움이 많이됐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