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6평 미스터방 보기문제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34468
이건 너무 애매한거아닌가?
김상훈 제자로서 글자에 반응했건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양이들아 나 좀 도와줘
-
감기 조심하세요 0
일주일 내내 제정신이 아니에요. 아침도 집중 못하고 오후에도 낮잠 강제로 자고...
-
신체부위 ㅇㅈ 7
-
온다온다 4
종강이
-
뭘까 내적이
-
내가 작년에 재수하면서 느낀 사실은 기적이 기적으로 불리는 이유는 표본이 손에 꼽힐 수준이기 때문이다였음 6
노베가 1년 해가지고 인서울 상위권(중경외시 이상) 가는건 전체 표본 중에서 손에...
-
물리학1은 이해와 반복의 파급효과로 실력이 완성된다. 8
(그림을 클릭해도 판매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무등비 11문제
-
지질 않네 나 같은 중졸 잼민이 데리고도
-
기억나는 네임드 1
뜨거운남자 징징이맘 볼빨간옯붕이 아폴로18 수문싸 26예정 내화수언 스마일효정 탈릅한 분들로만 씀
-
240630 6
조금 특이한 기출
-
궁금해진다
-
옯창의 삶이란 어떤걸까 매일 5시간씩 오르비를 해도 옯찐딴걸
-
기싸움 ㅈㄴ함 ㅋㅋㅋㅋㅋㅋ
-
그 국내에서 제일 이용자수 많은 커뮤들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원래 인간은 멍청한...
-
2025년 3월 1주차 韓日美全 음악 차트 TOP10 (+2월 4주차 주간VOCAL Character 랭킹) 6
2025년 2월 4주차 차트: https://orbi.kr/00072430886...
일관되게 도 틀리긴 한데 다른 해설도 있어요
5번 선지에서 백주사의 시선으로 일관되게 초점화했다면, 독자는 백주사가 느낀 비참함에 공감해야하지 통쾌함을 느끼면 안된다는 설명. 왜냐하면 시선의 초점화라는 수단의 목적은 애초에 인물과 독자 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함인데, 이때 거리가 가까워지면 독자는 작중 인물의 심리에 공감하게 되고, 거리가 멀어지면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되니까요
저도 이 생각을 하긴 했는데
2번에서 맥락으로 연결짓질 못했네요ㅜ
괜찮아요 현역 때 저도 그렇게 틀렸어요ㅋㅋ
뭐 검색해보다가 댓글 보고 답글 달아요. 초점화가 일어나면 인물과 독자의 거리가 가까워지는데, 대상이 부정적 인물이면 오히려 거리가 가까워지지 않습니다. 초점화가 공감, 연민이 아닌 풍자 소설의 경우 아이러니 효과가 극대화됩니다.(나병철 선생님의 소설의 이해 보면 잘 나와요.)
미스터방이 수록된 신사고 교과서에서도 미스터방의 풍자 효과를 상황적 아이러니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상황적 아이러니는 기본적으로 상황에 대한 인물의 인식이 심하게 부조화를 일으킬 때 일어나는 아이러니로, 이러한 인물에게 초점을 둘 수록 독자는 오히려 비판적 거리를 유지합니다.
이런 부정적 인물이 심지어 1인칭 서술자가 되면 '신뢰할 수 없는 화자'라고 하죠.(채만식의 치숙이 대표적) 초점화는 거리를 '조절'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공감과 연민을 불러일으키지 않습니다. 학부 레벨에서 소설 시험때 교수님들이 많이 낚는 포인트기도 하구요.
다만, 부정적 전망을 드러내는 인물에게 초점이 맞춰져도 독자가 일말의 공감과 연민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인물은 보통 '소시민적 태도'를 드러냅니다.(작년 9평 날개 또는 수갑의 '도식') 하지만 방삼복과 백주사는 위 사항에 해당되지 않아서, 위 문항에서 독자가 통쾌함을 느낀다는 발문이 틀렸다는 해석은 적절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