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을 위한 중간고사 대비 국어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27928
고1 중간고사 공부법

중학교를 졸업하고, 고등학교에 입학한 여러분. 새 출발을 다짐하며 나만의 목표도 다들 세우셨을 것 같은데요. 고등학교 첫 시험을 앞두고 있는 여러분에게 중간고사 공부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1학기 중간고사는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빠르게 치르면 4월 중순 늦으면 5월 중순 정도에 치르게 됩니다. 이러한 학사 일정은 학교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미리미리 알아 두어야겠죠?
고등학교는 공부해야 할 과목도 많고, 공부량도 중학교 때에 비해 방대해 지기 때문에 최소 한 달 전부터 시험 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자신만의 중간고사 대비 캘린더를 만들어, 시험 날짜까지 공부할 양을 매일매일 정해 두고 실천해 나가는 습관을 들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번 2022 개정의 공통국어1이 시험 범위에 포함되며, 3월 모의고사도 시험 범위에 포함하는 학교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학교에서 선택한 출판사에 맞춰 자습서와 평가문제집은 꼭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중간고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앞 단원들이 시험 범위에 포함되는데요.
고1 천재(김수학) 교과서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1, 2단원이 중간고사 범위일 확률이 매우 큽니다. 특히, ‘2(1) 올바른 발음과 표기’ 와 같은 문법 단원은 중간고사에 포함하는 학교가 대다수이니 참고하세요.
2022 개정 교과서의 경우, 처음 보는 문학 작품들도 있겠지만, <동짓달 기나긴 밤을>, <미스터 방> 처럼 이전 개정의 교과서에도 두루 실린 작품들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런 작품이 시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기출 문제를 풀어 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1단원에 시를 제시하는데요. 중학교 때의 여러분은 시를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선생님의 필기를 바탕으로 무조건적인 암기를 하셨나요? 고등학교에서는 이러한 공부는 물론, 교과서 외 지문 문제나 수능형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사랑하는 사람' 중 시의 내용 중 일부에 이렇게 밑줄을 긋고, '밑줄에서 드러나는 화자의 태도와 유사한 것은?'이라는 문제를 출제합니다. 그리고 선택지는 모두 여러분들이 처음 보는 문학 작품을 제시하는 거죠.
이러한 유형들은 무조건적인 암기로 대비가 불가능합니다.
그럼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1단계: 교과서, 학교 프린트, 자습서 내용 꼼꼼하게 이해하기
제일 중요한 단계입니다. 학교 선생님의 설명을 한 마디도 빠짐 없이 교과서와 프린트에 필기해야 합니다. 또한, 학교 선생님이 제공하는 프린트는 단원 별로 잘 챙겨 두어야 합니다. 프린트의 내용이 교과서 외 지문으로 문제가 출제될 수 있으니까요. 교과서의 날개 부분이나 학습활동의 내용도 꼭 확인해 두어야 합니다. 객관식은 물론 서술형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들이기 때문입니다. 필기와 정리를 완료했다면, 이 내용을 여러 번 정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단계: 다양한 문제 풀어보기
내용 정리와 정독을 통해 내용 이해를 완료했다면, 다양한 문제를 풀어볼 것을 추천합니다.
(1) 자습서와 평가문제집 문제: 작품 개관과 내용 이해를 자습서 및 평가 문제집에 수록된 문제를 통해 자연스럽게 암기합니다.


(2) 기출 문제 및 기출 변형 문제: 기출 문제 및 기출 변형 문제를 최대한 많이 풀어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 대비합니다.
(3) 모의고사 및 연계 지문 문제: 시험 범위에 포함된 문학 작품이 모의고사에 출제되었거나 수능 특강에 수록된 작품이었다면 반드시 풀어봐야 합니다. 시험에 고난도 문제로 출제될 수 있습니다. 주제와 화자의 태도, 시에 사용된 표현법들을 간략하 짚고 넘어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단계: 정답과 오답 확인하기
문제를 풀고 채점을 한 후, 틀린 문제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오답 정리를 하며 각자의 약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어는 문맥에 따라 정답이 달라질 수 있는 과목이므로, 해당 작품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다면 유사한 문제를 또 틀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답 해설도 꼭 참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맞춘 문제라고 그냥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왜 정답인지, 어느 부분에서 정답 근거를 찾을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 하나 주의해야 할 것은 만약 푼 문제와 학교 선생님의 설명이 조금 다른 부분이 있다면 시험 출제자인 학교 선생님의 설명을 100% 따라야 합니다. 모의고사가 아닌 내신 시험에서는 출제자의 경향에 맞춰 공부를 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문법 공부 방법도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문법의 경우는 중학교를 졸업한 여러분들이 어렵게 느끼는 단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등학교 1학년때 문법을 꼼꼼하게 공부해 둔다면, 추후 언어와 매체/화법과 작문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문법의 내용이 고등학교 2학년 때도 등장하니, 이왕 공부하는 김에 확실히 공부해 두기를 바랍니다.
1단계: 교과서, 학교 프린트, 자습서 내용 꼼꼼하게 이해하기
생소한 문법 용어에 많이 혼란스러울 텐데요. 학교 선생님 설명과 더불어 자습서, 프린트의 내용을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그리고 자신만의 완전한 문법 책을 만들 것을 추천드려요. 예를 들어 자습서에 학교 선생님이 설명해 주신 내용이 부재한다면, 그 설명을 자습서에 채워넣어 나만의 완전한 문법 교재를 만드는 것이죠. 문제 풀이 중 헷갈리거나, 시험 직전 복습을 할 때는 그 책만 활용하면 되는 거에요.
또 하나, 배운 내용 중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음운 변동 단원에서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경우, 이를 잘 이해하지 못했다면 나중에 배우게 되는 동화 현상이나 탈락 현상 등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2단계: 다양한 문제 풀어보기
내용 정리와 정독을 통해 내용 이해를 완료했다면, 다양한 문제를 풀어볼 것을 추천합니다.
(1) 자습서와 평가문제집 문제: 작품 개관과 내용 이해를 자습서 및 평가 문제집에 수록된 문제를 통해 자연스럽게 암기합니다.


(2) 기출 문제 및 모의고사 문제: 문법의 경우 시중에 기출 문제와 모의고사 문제가 풍부한 편입니다. 다른 출판사의 자료도 크게 학습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니 여유가 된다면 최대한 많은 문제를 풀어볼 것을 추천드립니다. 어느 정도 높은 점수를 노리고 있는 학생이라면 다른 학년 모의고사 문법 문제도 풀어볼 것을 추천드립니다. 내신형과는 다른 참신한 유형의 문법 문제들을 접할 수 있기 때문이죠.
3단계: 오답 노트작성 및 여러 번 풀어보기
문법 문제는 틀렸던 문제를 또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틀린 문제들은 노트에 정리하여 다시는 틀리지 않도록 확실히 정리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틀린 이유, 풀이 방법, 문제에서 활용된 개념 등을 문제 아래에 꼼꼼하게 적어 보세요. 나만의 오답 노트는 추후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그리고 시험 직전에 풀었던 문제들을 한 번 더 풀어보세요. 또 틀린 문제가 분명 있을 겁니다. 그러한 문제들은 개념부터 다시 공부하여 중간고사에서는 절대 틀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상, 여러분들의 꿈과 미래를 응원하는 나무 아카데미였습니다.
열심히 준비하셔서 고등학교 첫 시험! 꼭 만족스러운 결과 얻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칼럼, #공부칼럼, #학습칼럼, #2022개정교과서국어, #국어공부법, #국어독학, #고1중간고사, #고1중간고사대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연대 문과대 이과대가 반영비 덕을 많이 보긴 하구나 4 0
확실히 우리과만해도 정시러들중 국어 2 이하 진짜 없음.
-
연상남 vs 연하남 커플 11 1
뭐가 정배임 연상남 커플이 정밴가
-
이감 난이도..?? 7 0
이감 화작 1컷이 91인 시험은 난이도 어느정도인거임? 수능과 비교해서!!
-
갑자기 동요가 조금 ya해보임 11 2
위로 아래로 위로 아래로 죄송합니다
-
어차피 99퍼의 수험생은 미적96이상 못받는대 ㄹㅇ왜함
-
나도 그래도 애니 꽤 많이안다 싶었는데 애니프사들은 진짜 어디나오는 뭔지도 감이안옴...
-
멘탈은 어떻게 지키나요.? 3 1
저는 방학 때 공부를 거의 안해서 다른 친구들과 진도 격차도 많이 나고 실력도 많이...
-
고1 3모 입니다. (찍맞도 틀린것으로 쳤어요) 2024: 4점 2개, 3점 2개...
-
25미적처럼 찍맞 쉽다 가정할때 기하92=미적100 찍힐거같은데 22때처럼 기하 사람 없어...
-
그런사람 찾기힘드네
-
더프 14 15번 4 0
현장에서 5분컷 했음 실력이 늘긴한듯 14는 뭔가 t범위 보자마자 직관으로 이건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
-
카리나 왜캐 예쁘지.. 0 0
결혼할까..
-
작년 연말에 우상호 전 의원 인터뷰 기사인데 지금 보면 포인트가 될 만한 부분도 있네요. 0 0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
-
오르비 닉 추천해주세요 25 0
심심한 달리기선수 사랑과평화우정 어피니티 셀레스티얼 my love 지로함 연구원...
-
테드가 ㄴㄱ임? 8 0
ㅈㄱㄴ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