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초의 국어학 개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12305
"근대적 문법 개념은 언어를 변화하는 것으로 상정하였고, 그래서 지금의 문법을 과거의 문법과 구별하고자 하는 의식을 낳았다. . . . 근대 초기 문법서들은 각 책에서 기술한 문법이 “현재 ”에 속한 것임 을 명시하고 있었다"
"규범문법의 관점에서 출발한 근대 초기의 문법 개념에서 문법을 현재에
속한 것으로 가정하였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현재에 속하지 않은 말을
비문법적인 것으로 판정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실제로 많은 문법서에서 ‘이제말’과 ‘옛말’을 구별하고 ‘이제말’을 사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다음은 강매&김진호(1925) "잘 뽑은 조선 말과 글의 본"에 실린 부록의 일부로
옛말과 이제말을 대응시킨 것이다"
그리고 1910년대부터 서울말을 본말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보이는데 1920년대를 지나며 국어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조선어학회의 한글마춤법 통일안에서도 서울말이 근본이 된 거죠
출처
안예리(2016), 20세기 초 국어 문법서에 나타난 문법 개념의 발달과정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글보니까 갑자기 생각남 몇번 들었음
-
롱타임노씨~ 0
무사히 출장 마치고 복귀~ 이제 또 봄 출장 준비~~~~
-
만들면 들어올거예유??
-
전 소련함 중기냉전 미국 카드 너프좀
-
윤도영 나무위키 9
옛날에 목차가 yoon’s profile yoon’s quote 이런 식이였는데 ㅈㄴ 오글거림
-
기하 질문 6
실전 개념은 프로메테우스 들을 예정인데 기초 개념은 생각의 질서와 레알 비기너스 중...
-
난 냉장고에 넣어 시원하게 마시니 마실만 했음
-
여기서는 이게 진짜 세상 같고 그런데 나가면 또 꼭 그렇지만은 않음
-
브로콜리같은인생 6
이렇게살고싶다
-
난 여자면 다 좋은데
-
여의도 면적도 안되는 섬에서 그 섬 특유의 고유종이 산다는게 0
참 신기하네요
-
열심히 한다고 저정도 수준에 도달할까 진짜 대단하네 저렇게 되고 싶다 그럼...
-
책이 가만히 있어도 더러워짐
-
서킷 13번까지 0
15분 걸려서 싱글벙글 했는데 14번에서 개망했네 14번 20분쓰고 못 풂 ㅅㅂ
-
대답.
-
2~3개씩 틀리네 어휴 1/2x²을 미분했더니 2x가 되는 기적 ^^
-
올해는 투과목에 상위권 몰릴거라던데

역시 20세기에 태어나서 잘 아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