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2 분자간 인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04639
개념 배울 때 판단 순서가 수소결합 극성 분산력으로 배운거 같은데 어나클에서는 극성보다 분산력먼저 비교하네요 머가 맞는건가요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잘자 1
ㄴㅇㅂㅈ
-
덮 후기 0
14 - 호머식하면 맞음 28 - 내가 변별당함 30 - 이걸 어케 풂
-
. ᘏ▸◂ᘏ ╭◜◝ ◜◝ ◜◝╮ ꒰ ɞ̴̶̷ ·̮ ɞ̴̶̷ ꒱ .oO 안녕히...
-
교재 진심 3
개비싸다…오늘 교재랑 n제 30 결제함… 러셀 오메가 강매 ㄹㅇ 개짜치네
-
t2를 3분의 4라고 했네
-
사문으로 사탐런해서 서성한 이상 가려면 무조건 50맞을 각오여야할까요 12
물론 서강대는 과탐가산이 없다는 이야기가 있는 등 대학마다 사정은 다르겠지만...
-
뱃지 2
부럽네요.. 저도 언젠간 고려대 뱃지 달고 글쓰고 싶습니다!
-
마사지기 사주실 분 아님 자원봉사 받아요
-
들판의 비인 집이 전재산이다해서 세속적 가치에 초연한게 안되는건가요?
-
근데 생각해보니까 의외로 수능 사탐 강사 중에서 고시합격자 출신인 분들은 딱히 없던 것 같은데 맞나요? 1
공무원 시험만 하더라도 고시 합격자 출신 강사분들이 은근히 있고,심지어 외무고시...
-
좀있으면 맥날 가격 다 오른다던데
-
휴대폰 하는데 이거 뭔가 악영향 있을라나
-
사쿠라님 생일기념
-
해도 괜찮은 질문 ex) 목표가 어디이신가요? 성적이 어느정도이신가요? 육군 군수...
-
음란물 ㅇㅇ..
-
연애 깨졌을때도 이정돈 아니었는데 연애 후폭풍이 이제온건가..
-
진정한 고닉 가능인가요
-
안녕하세요 이대은입니다. 오늘은 제목을 약간 자극적으로 지었지만 누구나 이해할 순...
-
큐브개빡치는거 3
이미답변한게 있는 상태에서 광클중인데 새 질문이 오른쪽에 생기는게 아니라 왼쪽에 생길때 죽이고싶음
수소 결합 힘이 글케 쎄지 않아서
수소결합이 분산력을 이기는게 아니었나요?
아니에요 수소 결합 힘 엄청 약해요
헷갈리네요ㅠㅠ
아마 그거일 거에요
분자량이 비슷한데 수소 결합이 있는
H2O랑 H2s비교인데 h2o가 약 2배정도 작아요
혹시 문제 좀 보여주실 수 있으실까요
이문제입니다
님이 맞아요
아래 댓글 참고해주세요

수소결합력이 항상 분산력을 이기는 건 아니겠죠힘이 분산력>>>쌍극자>수소 결합이긴 한데
쌍극자랑 수소 결합 세기 비교는 안 나와요
H2O H2S 비교 나오지 않나요…?

H2O 와 H2S의 비교는 수소결합 vs 분산력 유형나 왜 이거 정확히 반대로 배웠지
제가 틀림
님이 배운 게 맞아요
혼란줘서 미안해요
분산력 비슷할 때 극성으로 비교하는 문제 많이 나올 거예요
이제 제가 분자량 차이를 말해야 하는데
잘못 설명했어요.....
분자량 엄청 크게 차이 안 날 때
극성이랑 수소 결합 물어보죠
힘 자체 세기는
수소 결합>쌍극자>분산력이 맞아요
미안해서 1000덕 드렸어요
쪽지 좀 봐주세요 미안해요 ㅠㅜ
1.수소결합있는지 확인 (수소결합이 젤쎔)
2.극성 무극성 판단 -> 쌍극자 확인
3.분산력 크기 비교 (분자량 큰쪽이 전자수많아서 분산력 더 크다)
화학2 교육과정에서는 분자간 인력에 완벽히 정비례 하는 물리량은 '일정 기압에서의 끓는점' 뿐입니다. 두 물질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분자간 힘을 모두 소거한 후(단 분산력은 소거하지 않음), 끓는점이 높은 쪽만이 가지고 있는 분자간 힘이 끓는점이 높은 주된 이유입니다. 소거 후 끓는점이 높은 쪽이 가진 힘이 분산력 뿐이라면 그대로 분산력이 주된 이유입니다.
ex) 1. H2O vs H2S -> H2O가 끓는점이 높은데 H2O에만 수소결합이 존재하므로 주된 이유는 수소결합력
2. NH3 vs SbH3 -> SbH3가 끓는점 높은데 소거 후 남은 힘은 분산력 뿐이므로 주된 이유는 분산력
3. 임의의 무극성 분자 2개 A vs B -> 끓는점 높은 쪽은 어쨌든 분산력이 주된 이유(3-1. 화학2 수특에서 분자량과 화학식이 동일한 노멀펜테인 vs 네오펜테인의 끓는점 비교에서 표면적이 큰 쪽이 분산력이 크다는 설명이 나옴. 3-2. O2와 CH4의 끓는점은 분자량이 더 작은 CH4가 더 높음. 교과서나 수특, 기출에서 거의 안 다뤄진 내용이지만 어쨌든 이유는 분산력 때문(분자 구조상 아마도 표면적 때문일듯함). 3-3. O2 vs F2 -> 분자량이 더 큰 F2가 끓는점이 더 낮음. 이유가 분산력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함. 하지만 화2 교육과정 내에서 물어본다면 분산력이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