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4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94779
듣기 단어 구문 공부하며 기출 고2꺼부터 보는게 나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는 어떻게 만드는지 감이 대강오는데 소설파트는 안해봐서 어렵다고 느끼는건지 흐음..
-
이미 26 입시요강에 정시 모집인원 확정된거 아닌가요? 4
메디컬 정시 일반이 준다느니 치대 한의대 정시 비상이라느니 얘기는 어디서 나오는...
-
국어인지 수학인지 모르겟는데 파랑이랑 하양이랑 섞여있고 이름이 한글자씩 띄어쓰기로...
-
11시 5분이다 0
풀고옴 ㅂㅂ
-
까불지 마라 4
나만 까불거임ㅋ
-
학교, 시험, 대학 모두다 말잘듣는 노예양산기에 불과 5
교육은 세뇌다
-
배달 시키려면 8000원이나 더 담아야해 크아아아아아악
-
큐브고 뭐고 1
큐브 스테이크 꾸워 와
-
아무리 유명하고 잘 가르치는 선생님이라도 학생이랑 맞지 않는다면 학생의 점수는...
-
전공서적 수백 페이지 읽을 능력 미분 방정식 풀 능력 수능 국어 수학에서 비롯...
-
[고1, 고2, 고3 3모 대비 자료 공유]25시행 중1,고1 국어 시험지 현금 2만원 제공(선착순), 3모 대비 무료자료 배포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2026년 3월 모의고사 대비 작년 고1~3 3모...
-
휴우... 다행이다
-
나는 유빈 인강 없어도 서울대 간다
-
국어 화작 100 전체적으로 평이했던거 같음, 문학보단 독서가 어려웠던거 같고...
-
중고로 작년꺼 구입하려하는데 두분 중 누구꺼가 더 퀄이 좋나요?
-
아 나사모가 2
나이많은사람모임 이구나 아아아
-
그것은 바로 나
-
리바이벌 이런거
-
힘들다..ㅠ
어떤게 문제인지를 파악하고 싶다면 자신의 듣기 성적과 단어, 그리고 틀린 문제유형들을 자세히 적어주셔야 그래도 뭐라도 적어줄 수 있을 것 같아요. 정보가 너무 적어서 뭐라고 말을 하기가 ..................
듣기는 수능 때 한 개 틀린 거 제외하고는 항상 다 맞았습니다 다만 영어를 중학교 때부터 거의 안 하다시피 하여서 단어도 굉장히 부족하고 빈칸 순삽 이런 유형들은 맞아도 거의 찍다시피 하는 수준이고 주제 제목도 어려운 문제는 자주 틀립니다 맞는 문제들도 문제 전체를 이해한다기보다는 몇 문장에서 감을 잡아서 때려 맞추는 식으로 푸는 것 같습니다
이번 수능에서 꼭 일등급 받아야 해서..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저도 가르치는 학생들 전부 1등급을 만드는 것은 아니라서. 보통 3,4 등급 학생들이 1등급이 되는 비율은 20~30% 정도 인 것 같아요. (여긴 낙후지역이라 애들이 열심히 하지 않거든요. 열심히 하면 1등급 가능성 50%는 될거에요.) 3,4등급은 몇달 공부하면 어느순간 비슷한 수준이 되요. 그게 2등급 말과 3등급 초인데..... 각자의 단점이 하나씩은 있죠. 학생분 같은 경우 듣기를 잘하고 있으니 2등급은 무난하게 갈 것 같아요. 대신 글을 읽어보니 단점이 어느정도 보여요. 무엇보다 주제 , 제목이나 빈칸 을 보았을 때 글을 읽으면서 내용정리가 안될 가능성이 높아요. 글에서 나타나는 병렬구조는 불필요한 지문들이니 모두 제외하고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는 연습을 반드시 하셔야 할 것 같아요. 제가 이번에 칼럼을 학습 영어 란에 올렸는데 그걸 보시면 조금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영어를 잘하는 사람은 글에 등장하는 단어만 이용해서 내용을 정리할 수 있어요. 글에서 사용된 단어가 아닌 다른 단어를 절대로 사용하지 않죠. 그리고 무엇보다 주관식으로 내용을 정리하는 연습을 하세요. 전체 글이 길어서 읽기 어려우면 글을 세부분으로 나눠서 읽어도 되고 그게 아니면 글의 윗부분과 아래부분에만 집중해서 읽으세요 (단, 역접이나 최상급이 등장할 때는 글 가운데도 읽는게 좋음.) 지금은 전체 글을 읽는 것은 의미없어요. 천천히 해석 실력 늘기 전까지는 정답률을 높여야 하니. 글의 앞쪽 다섯줄 정도와 뒤쪽 다섯줄 정도를 읽으면서 글 내용을 정리하는 훈련을 하는게 좋습니다. 사실 그 위치에 정답의 거의 대부분이 다 있거든요. 나중에 공부하시다 어려운거 있으면 저에게 문제를 보내주셔도 되고 유형이나 풀이법에 대한 질문을 하셔도 됩니다. 그래도 시골 사람이긴 하지만 만명 이상의 학생들을 가르쳤으니 아마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내용정리가 가장 중요하니 글의 단어를 이용해서 내용을 정리하세요 ( 이런 식으로 이 글의 작가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며 ~~~것을 하면 안된다고 하고 ~~~~것들을 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한다. ) 이 말투가 아주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