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4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94779
듣기 단어 구문 공부하며 기출 고2꺼부터 보는게 나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집 가는중... 4
집에서 좀 쉬었다가 카페나 갈까
-
스이쨩이 마인크래프트 방송하는게 왜 뜰까요 이런거 본적 없는데..
-
교양 대학수학 시간인데 의외로 대답도 잘하고 수업도 성실히 들어서 놀람....
-
생체실험해봄 4
10시반 귀가 11시반~12시에 자면 다음 날 커피 한잔으로 풀공부해도 안피곤함...
-
'313일 무단결근'…30대 사회복무요원 징역 6개월 8
(창원=뉴스1) 강정태 기자 = 정당한 사유 없이 313일간 무단결근한 30대...
-
알고봤더니 저번달에 깜빡하고 안 냄 ㅂㅅ인듯
-
너무 힘들긴하다 그냥 너무 어려운 과목이다 적어도 나에게 있어서는
-
걍 보면서 an/fn이 수렴한다면 akn/fkn (k정수)도 같은 값으로 수렴할...
-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미당. 4월부터는 보려고요
-
앞으로의 다짐 3
조절할수 있는 취함상태때 그만 마셔야겠다 안그러면 어제처럼 마무리가 망할듯
-
ㅈㄱㄴ
-
궁금해진 게 있어서 그러는데 답글 부탁드립니다. 혹시 지○터 타다 경찰한테 걸려도...
-
제가 이거 어저께 이야기하려 했던 내용이 최근에 김수현 그루밍 범죄를 보며 댓글들...
-
어떤가 궁금해서요
-
홍게
-
아직도 추워
-
세계를 제패하고 싶다
-
술 취해 강의실 들어와 욕설한 고려대 교수... 강의자 교체 9
최근 만취 상태로 강의에 들어와 욕설한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가 학생들의 집단 항의를...
-
‘연상녀·연하남’ 초혼 부부 비중 19.9% 역대 최대 7
작년 초혼인 신혼부부 가운데 연상인 아내와 연하 남편이 만난 경우가 20%에...
-
ㅅㅂ 저게 뭐임????
어떤게 문제인지를 파악하고 싶다면 자신의 듣기 성적과 단어, 그리고 틀린 문제유형들을 자세히 적어주셔야 그래도 뭐라도 적어줄 수 있을 것 같아요. 정보가 너무 적어서 뭐라고 말을 하기가 ..................
듣기는 수능 때 한 개 틀린 거 제외하고는 항상 다 맞았습니다 다만 영어를 중학교 때부터 거의 안 하다시피 하여서 단어도 굉장히 부족하고 빈칸 순삽 이런 유형들은 맞아도 거의 찍다시피 하는 수준이고 주제 제목도 어려운 문제는 자주 틀립니다 맞는 문제들도 문제 전체를 이해한다기보다는 몇 문장에서 감을 잡아서 때려 맞추는 식으로 푸는 것 같습니다
이번 수능에서 꼭 일등급 받아야 해서..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저도 가르치는 학생들 전부 1등급을 만드는 것은 아니라서. 보통 3,4 등급 학생들이 1등급이 되는 비율은 20~30% 정도 인 것 같아요. (여긴 낙후지역이라 애들이 열심히 하지 않거든요. 열심히 하면 1등급 가능성 50%는 될거에요.) 3,4등급은 몇달 공부하면 어느순간 비슷한 수준이 되요. 그게 2등급 말과 3등급 초인데..... 각자의 단점이 하나씩은 있죠. 학생분 같은 경우 듣기를 잘하고 있으니 2등급은 무난하게 갈 것 같아요. 대신 글을 읽어보니 단점이 어느정도 보여요. 무엇보다 주제 , 제목이나 빈칸 을 보았을 때 글을 읽으면서 내용정리가 안될 가능성이 높아요. 글에서 나타나는 병렬구조는 불필요한 지문들이니 모두 제외하고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는 연습을 반드시 하셔야 할 것 같아요. 제가 이번에 칼럼을 학습 영어 란에 올렸는데 그걸 보시면 조금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영어를 잘하는 사람은 글에 등장하는 단어만 이용해서 내용을 정리할 수 있어요. 글에서 사용된 단어가 아닌 다른 단어를 절대로 사용하지 않죠. 그리고 무엇보다 주관식으로 내용을 정리하는 연습을 하세요. 전체 글이 길어서 읽기 어려우면 글을 세부분으로 나눠서 읽어도 되고 그게 아니면 글의 윗부분과 아래부분에만 집중해서 읽으세요 (단, 역접이나 최상급이 등장할 때는 글 가운데도 읽는게 좋음.) 지금은 전체 글을 읽는 것은 의미없어요. 천천히 해석 실력 늘기 전까지는 정답률을 높여야 하니. 글의 앞쪽 다섯줄 정도와 뒤쪽 다섯줄 정도를 읽으면서 글 내용을 정리하는 훈련을 하는게 좋습니다. 사실 그 위치에 정답의 거의 대부분이 다 있거든요. 나중에 공부하시다 어려운거 있으면 저에게 문제를 보내주셔도 되고 유형이나 풀이법에 대한 질문을 하셔도 됩니다. 그래도 시골 사람이긴 하지만 만명 이상의 학생들을 가르쳤으니 아마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내용정리가 가장 중요하니 글의 단어를 이용해서 내용을 정리하세요 ( 이런 식으로 이 글의 작가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며 ~~~것을 하면 안된다고 하고 ~~~~것들을 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한다. ) 이 말투가 아주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