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체 뭘 풀어야 되는 거지
-
헉나동테달음. 3
흫
-
현재 고2이고 올오카 오리진이 거의 끝나갑니다. 올오카 독서 문학 2학년에 다...
-
고3 현역인데 작년에 내신 준비하면서 뉴런 수1 수2 다 들었어서 올해는 문풀...
-
사설틱한게 이런거구나 흐흐
-
아 내가 나가야되는구나
-
누가더 쎌까요
-
3덮 국어1컷몇예상 10
ㅈㄱㄴ
-
26 더프라니까 12
뭔가 개이상함...
-
. 59
-
공통도 포함이에요? 15, 20번은 어느정도 난이도임?
-
(선물 주의) 수능영어 구문개념&독해입문강좌 오픈! 2
안녕하세요, 오르비클래스 수능 영어강사, 김지훈입니다! 새 학기, 첫 시험 3월...
-
아이스으 3
께끼
-
혜자임?
-
언매 강의 추천 1
언매 강의를 들으려 하는데 베이스 있는 사람을 위한 강의가 뭐가 있을까요? 사실...
-
ㅇㅇ...
-
이상준 광고나얼때마다 꼴받네....
-
(T.1.M 1주차-1) 요즘 과학지문은 화학이 주로 나온다 출제도 물화생지중에...
-
돈까스는 배달 시킬건데 밖에 눈 많이 오면 좀 그런가
-
진짜 이번주에는 정해야될듯요
비롯하다 어원이 뭘까요
원래는 '비릇'이라는 부사와 '비릇다'라는 동사가 모두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부사 '비릇과 하다'가 결합한 '비릇하다'가 '비릇다'의 자리를 빼앗은 거죠. '비릇'은 '비로소'의 의미로 부사에서 동사가 나온 건지, 동사에서 부사가 나온 건지 알 수는 없지만, '시작'과 관련된 의미를 가졌습니다. 현대국어에서 '삼가다'를 '삼가하다'로 잘못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