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yo [33499] · MS 2003 · 쪽지

2025-03-16 14:42:05
조회수 87

전문의 숫자는 줄어들고 가치가 높아진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70419


그렇다고 무조건 전문의를 하는게 맞냐 하면 아닌거 같음


전문의 숫자의 정상화가 더 적합한 말 같음





이미 대학병원들은 pa에 의해 시스템이 굴러가도록 세팅되어있음


예전처럼 많은 전공의가 필요하지 않을거임


물론 예전만큼의 매출과 이익을 올리는것도 불가능할거임


대신에 예전에 전공의들이 슈퍼맨처럼 모두 분담했던 로딩을


구분구분해서 계층화 시켜 최대한 분담하겠지


이 와중에 간호사 물치사 방사선사 일자리는 오히려 더 줄어들거고





쉽게말해 예전의 대학병원이 소품종 다량생산 박리다매 공장이었다면


이제는 다품종 소량생산 가내수공업으로 바뀔거임


그렇게 바뀌는데 지금처럼 많은 간호사와 파라메딕은 필요없음


간호사 물치사 일자리는 더 줄어들거임


결국 전체 파이가 줄어들었으므로





때문에 전문의 따는게 마냥 유리하냐? 하면 그것도 아님


어차피 국가는 의료에 돈을 쓸 생각이 없고


술기와 스킬을 가진 우수한 전문의가 제대로 돈을 벌려면 결국 의료 민영화를 해야하는데


정부가 그걸 쉽게 풀어줄리가 없고


아마 지금 상속세 논란 처럼 어느정도 여론이 익었을때


많은 국민들이 공공의료에 불만을 품게될때 쯤에나 풀어줄거임


그게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




그때를 위해 지금부터 전공의 하면서 수련받고 전문성을 키운다?


조금 회의적인게


이미 지금 활동하고있고 경험많고 술기 잘하는 전문의가 너무 많음


지금부터 휴학 ㅈ까고 복귀해서 빨리 졸업하고 몸갈아가며 수련해도


지금 현재 전문의들만큼 실력쌓기가 매우 어려울것임


환자케이스도 점점 줄것이고 전공의 티오도 점점 줄어들거라서





그럼 어떻게 해야해요?


나도 모름


원래 전공의 수련과정은 전문의 자격증 따기위한것도 있지만


의학을 어떻게 임상에 적용해야할지


논문을 어떻게 읽고 어떻게 써야할지


의술을 어떻게 배우고 익히고 어떻게 현실에 적용할지


이런것들을 익혀가는 교육과정의 의미가 되게 크다고 생각함




그래서 사실은 전공의 안해도 스스로 공부할수 있는방법이 사방 천지에 널려있는데도


일반의들은 그걸 잘 모름


어떻게 공부하고 어떻게 의술을 늘려야 하는지


그래서 전공의 과정이 의미가 있는것도 있는데


근데 지금, 그리고 앞으로도 그런 전공의 교육과정이 의미있게 이루어질까 하는 회의가 들긴함





내가 예전부터 계속 “의사 교육의 기회“를 강조하는게


이전에 전공의 몸갈아가며 일하던 시스템 자체에도 장점은 있었는데


그게 바로 “교육의 기회“임


전공의 몸갈아가며 일하니 병원이 돈을벌고 싼 의료 덕분에 환자가 몰리고 그와중에 전공의는 많은 교육의 기회를 접할수 있었음


그러나 앞으로 대학병원 환자수는 급감할거임


전공의도 그렇게 많이 안뽑을거고 필요없어할거임


실제로 대학병원에서 수련받으면서 받을 교육의 기회는 엄청 줄어들것임






그래서 어떻게 해야함?


나도 모름


근데 일단 영어를 네이티브 수준으로 마스터하고


돈욕심 있으면 미용 공부 열심히 해야하는건 확실함


나머지는 잘 모르겠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