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FAQ 모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30965
연상논술입니다.
수 년간 수업하며 받은 질문들을 모아두었습니다.
인문논술을 준비하시는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Q1. 논술은 운빨게임인가?
학교마다 다릅니다
제시문 독해가 어려운 학교는 실력게임이고,
제시문 독해가 쉬운 학교는 어느 정도 운빨게임이 맞습니다.
물론 여기에 최저등급도 고려해야 합니다.
어려운 학교의 예시 : 이화여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서강대, 건국대, 홍익대 등
쉬운 학교 : 경희대, 중앙대, 한국외대, 동국대 등
'어려운 학교'들의 경우, 제시문 자체의 독해가 쉽지 않기 때문에 너도나도 다틀립니다.
답을 맞추면 붙고, 못맞추면 못붙습니다. 80%만 답을 맞추고 나머지는 대충 틀려도 웬만하면 붙습니다.
그만큼 어렵습니다.
'쉬운 학교'들의 경우, 6월 이후부터 준비해도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문제가 쉬워서 너도나도 정답을 다 맞추기 때문에 운빨겜에 가장 가깝습니다.
물론, 착각하면 안됩니다. 답을 틀렸는데 운으로 붙을 확률은 0%니까요.
FAQ2. 논술에 재능이 많이 개입되나요?
유사질문 : 글을 잘 못쓰는데 논술을 해도 될까요?
글을 잘 쓰는 사람은 논술도 잘합니다.
그러나, 글을 잘 못쓰는 사람이라고 해도 논술을 잘할 수 있습니다.
저는 대학교 1학년때 글쓰기를 C+받았을 정도로 글빨에 재능이 없었던 학생입니다.
그래도 연고대 세 번 붙는데 지장없었습니다.
FAQ3. 첨삭만 해주실 과외선생님을 구해도 되는가?
아뇨, '해설강의' 없이 논술 첨삭만 받는건 말도 안되는 접근입니다.
생활과윤리 풀어온 모의고사 시험지만 달랑 들고가서 그거가지고 첨삭해달라는 것과 똑같습니다.
칸트 벤담 아리스토텔레스 등등 개념을 제대로 잡고나서 문제를 풀어야겠죠?
논술도 마찬가지입니다, 올바른 커리큘럼에 따른 수업을 받은 후에 문제를 풀어야하는 것입니다.
FAQ4. 내신이 낮아서 정시에 집중하고싶어요. 논술 안하는건 어떨까요?
글쎄요, 수시를 다 날려버리겠다는 판단은 확률적으로 굉장히 어리석은 선택입니다.
논술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신의 현재 글쓰기 실력이 아니라, 내신정도입니다.
내신이 높으면 학종 쓰시고, 내신 낮으면 울며 겨자먹기로라도 논술하는게 정신 건강에 이롭습니다.
좋은 질문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FAQ에 더 추가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박종민 라이브 9
현강이랑 자료 똑같이 다 구매 가능한가요? 그리고 아직 미적 쎈발점 끝내고 미적반...
-
현 고3이고 원래 물지엿다가 생지엿다가 지금 사탐 지 할려합니다 내신 때 물화생지랑...
-
탭 바탕에 다 오루비 바로가기로 해놓으니까 친구가 오르비 그만하래 0
다 지워놓던가 해야지..
-
응 과제 안해 14
내일의 내가 해주겠지 ㅋㅋㅋ
-
내가 1년 반 전에 고백받고 찻음…ㅠ 그리고 1년 전에 좋아졌음. 그 때부터 진짜...
-
뉴스보니 초3이 학원에서 중3내용 배우더라 이게 뭔 소용이 있나싶음 초5면 이해가...
-
퇴근풀썩 6
힘들군뇨.... 오늘하루수고하셧습니다
-
야메추좀
-
맞팔 해주십쇼. 6
-
유전보다 막전위, 근수축이 더 어려운거 같음
-
어제 알바하다가 냥대 과잠 입은 사람 봤는데 순간 냥대 알러지 도져서 표정관리가 안...
-
불법 아님.. 2
가는 06년생임..

인문논술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용독학만 안하시면 됩니다.
과외든 학원이든 ㄱㄱㄱㄱㄱ
이번에 국민대 논술 시행하는거로 아는데요
제시문 난도는 어떨것같나요
쉬울 겁니다.
그냥 감일 뿐이지만, 아마도 그럴겁니다. 최저도 있고, 국민대 정시입결 라인을 생각했을때 지나치게 어렵게 낼 수는 없습니다.
최저는 충족율은 몇퍼정도 예상하시나요
그건 그때 가봐야 압니다
내신이 진짜 너무 심각한데.. 어디까지가 마지노선이라 보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