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3074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월만해도 새르비때 조회수 개많이 찍혔는데 이제 많이 줄었네요 참 보기좋은 모습이예요
-
내가 초라해지잖아~
-
좋아하는 옷 스타일 10
있음?
-
하.. 라떼까지만 해도 이렇게 ㅈ될줄 몰랐지 표본이
-
커리 메모 4
-
웹르비라 몰루 강해린 입력하면 나 나오나 으흐흐
-
첫 정답자 2000덕 드리겠습니다!
-
좀 쉬고 잠도 잘 자고 공부하니까 밀도도 엄청 높고 효율도 쭉쭉 나왔어요
-
설높공 가능하나 아 그리고 국어 2컷에 나머지 만점이면 어디쯤 가지...
-
젭알
-
아싸 3
니니 아싸 니
-
어그로 ㅈㅅ 친구랑 김범준 커뮤픽이다 아니다 했는데 어떻게 생각하심?
-
너희가 과탐 잡고 끙끙 댈 시간에 내가 딸깍으로 공대 가는 걸 봐라 화미생사 레츠고
-
약간 오르비 자체에서 올렸는데 그냥 글삭하면 미안해질거 같아
-
엇 쌍사죽었다 4
알고있엏음?
-
저격먹은거 진짜 4
-
어케 7할이 노베보다 못 볼 수 있는 거임...?
-
걍 문제가 쉬운거임 내 실력이 오른거임.....?? 27 29 30 틀렷는데 27은...
교점함수가 뭐에요?? 차함수??
저도 정확히는 몰라서 질문드리는데 F합성g=h
꼴에서 두개의 함수만 알아도 나머지함수를추론할수있는무슨꼴?인거같네요
관련내용은
https://m.dcinside.com/board/hanmath/6884859?page=1&s_pos=-6858650&s_type=subject_m&serval=%EA%B5%90%EC%A0%90%ED%95%A8%EC%88%98
n축만 압니다
n축은 잘쓰긴하다만 어차피 교과적인풀이랑 크게 다를거없다 생각하기도하고 교점함수는 첨들어보네요...
정확히 교점함수라고 이름 붙이고 가르치는 내용이 뭔지는 모르겠지만
f(g(x))=x 에서 g(x)의 후보에 대한 개념이랑
위 항등식에 x=h(t)를 합성했을 때
f(g(h(t)))=h(t)에서 g(h(t))=p(t)라고 하면
f(p(t))=h(t)니까
"p(t)는 g(x)의 후보에 h(t)를 합성한 함수"로 이해하고 문제 푼 적은 많음
근데 평가원에서는 쓴 적 없고 사설 가형킬러에서만 많이 씀
부분역함수에 대한 이해의 폭이 ㅈㄴ 넓어지는건 부정할 수 없는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