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이든 수능이든 기본은 교과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18793
https://orbi.kr/00072418633
수리논술을 보고 가슴이 두근거려서 클릭을 해봤는데
일단 댓글에 달긴 했는데 많은 분들이 똑같은 miss를 할거 같아 칼럼화함
저분의 초호기쯤 될텐데 일단 몇가지 문제가 보임
일단 수학1에서 지수의 확장을 배우는데
여기서 보면 알 수 있듯 저 상황에서 곡선은 제1사분면에서만 정의됨
오히려 다른 사분면을 고려하면 바로
어허 수학1을 공부 덜했군 쯔쯔르쯔쯧
소리듣기 좋음.
두번째는 답안에 샌드위치 정리라는 표현
이건 뭐 채점자가 관대하면 넘어갈수는 있는데
수학2, 미적분 교과서를 보면 알지만 샌드위치 정리라는 용어는 없음
물론 널리 이용되는 표현이라 좀 빡빡할 수는 있지만, 교과서에 없는 워딩은 쓰면 안됨
좀 과격한 비유를 들자면, 공문서에 표준어를 써야하는데 은어 속어를 쓰면 그건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음
저분이 수학을 못하지는 않음
약력만 보면 적어도 옯평보다는 높겠지
저런 미스는 오히려 '나는 수학을 잘한다'라는 관점에서 교과서를 자세히 보지 않아서 생기는 사고에 가까움
그래서 우리 옯붕이들은 논술이든 수능이든 교과서를 꼭 곁에 두는 습관을 갖지 바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거 1년전인 13살에 러셀에서 모의수능봐서 미적 100 찍었기도 했음 그 나이에...
-
고대국어의 조사 0
김지오(2024) 향가 조사(助詞)의 형태론적 고찰...
-
2503 독서 보니까 선별해서 평가원화하면 재밌을 거 같은데 문제는 제가 뭐 어떻게...
-
대상이 오르비인 혀/르비는 왜 혀/르비일까 약간 리뷰엉이 다음 영상 미리보기 하는...
-
무빙건 설대식 점수였음
-
통계학으로 밥벌어 먹는 분야가 문과인데 통계학 자체는 그냥 수학덩어리임 데이터...
-
乙[을]이 흔히 거론되긴 하지만 肹도 쓰였으며, '을'로 보는 학자도 있고 '흘'로...
-
사문 진도 0
지금 n수중인데 올해 사문으로 사탐런했고 지금 개념 듣고 있는데 수학이 급해서...
-
떴다~~
-
대도윤 겪고 나니까 분수를 모르는 사람들이 문제지 사교육은 죄가 없어보임 사교육은...
-
비감도 0
기억나는사람
-
미적에서 기하로 0
공대 지망인데 미적에서 기하로 옮기는거 괜찮을까요? 확통은 별로 안좋아함
-
4/4부터 신청이던데 선착순이라고 들어서 좀 불안하네요 학교에서 보긴 진짜 싫은데.. ㅠ
-
오르비에 게시글 올리는 거랑 차이점이 뭐임 약간 친한 친구 스토리 그런 느낌인가
-
기하 논술이랑 내신 공부한 걸로 작년 3,6,9,수능 풀어보고 뭔가 희망이 보여서...
-
아가 자야지 4
피곤행
-
애가 막 친목 하려고 하네요 오히려 좋아 원랜 답변만 띡 했는데...
-
을 모르겠다 걍 영원히 수업때 등짝이랑 옆모습만 바라보는 사람됨 인스타 스토리 하트 에반가?
-
현역 3월 모의고사 수학에서 160 + 260이었나를 520으로 쓰는 매우 저능한...
-
근데 게시글은 거의 없네
-
공부 좀 하려고 했는데 ㅠㅡㅠ
-
비갤?? 0
특정닉 때문이 아니라 옛글 좀 보고 있는데 비갤이란 분이 나쁜 분이셨나요....
-
EBS 강의 추천 13
수특독서 차해나 선생님 지구과학2 이윤희 선생님
-
까먹을뻔햇는데 누가 댓글에써줌
-
어떤 1타는 모든 인강강사를 압도하는 세계 유수의 대학을 졸업한 반면 어떤 1타는...
-
기원쌤 1
토 막반 현강이인데 몸 챙기시면서 수업해주셨으면 ㅜㅜ 기침하시고 목 아파하시는걸...
-
디모 Fluquor 라는 노래가 그렇게 슬펐는데
-
나는 개인 자산 운용은 사적인 영역이라고 생각하는데…. 막 국가 돈으로 미국 채권 산 것도 아니고
-
유물발굴 잼나다
-
님들아.. 8
잘자쇼 굿밤 내일도 공부 화이팅!
-
본인 어쩌다 기회 돼서 지금 학교 근처에서 어린 친구들 관찰할 일 있단 말임?...
-
좆될날이 곧 온다
-
Kbs 듣는게 학교 쌤 설명 듣는거보다 건강에 좋을 듯 2
학교에서 수특 문힉 그냥 Ebs 자료 복붙해서 설명+ 재미없음+발음이 안...
-
글 리젠도 다 죽고 별 병신같은 광고 계정은 우후죽순 생겨나서 차단을 해도 끝이...
-
글쓰는게 재밌다 0
이런 글 말고, 내가 이해한 내용을 설명문같이 논리적 짜임새를 갖춘 세세하고...
-
임정환쌤 현강 사문 첫강 듣는데 이과애들이 문과야들 사탐한다...
-
미팅도 힘들다 5
재밌긴 한데 나빼고 다 취해가지고 좀 힘듦…
-
세상을 흔들고 싶군야
-
지디 vs 탑 12
얼굴로만 따지면 취향 ㄴㄱ? 범죄 아티스트 소울 다 배제하셈 ㅇㅇ
-
기하러들 물리러들은 잘자요
-
땅 있으면 5
농사 지으면서 살고싶네
-
아니 근데 이명학 연대분캠이라는데 1타가 맞아요?… 25
이제 알앗는대 참..뭐지이게
-
솔직히 이정도면 옷 괜찮게 입는편 아닌가여
-
내가 잘못 기억하능 건가?
-
내 아를 낳아도 6
내 아를 낳아도
-
화작이 언매보다 적극적으로 + 빠르게 읽어야 하는데 하나틀리면 그 순간 ㅈㄴ...
-
오르비까진커뮤아님 10
내메모장임근데가끔댓이달리는.. 난그렇게믿어
-
슬슬 졸리네요 2
안젤리나 졸리
신 매 메
결국은 기초 개념이 가장 중요한것 같더라고요
주어진 곡선을 매개화 하는데 n에 대해서 일반화해서 나타내야 되지 않나요?
그럼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라고 쓰는 게 좋은가요?
이거지
두근두근하면서 들어왔는데 수리였군요
구구절절 맞는 말씀... 특히 용어 꼼꼼히 신경써야죠

샌드위치 정리는 모든 교과서에서 내용 언급은 하고 명명하는 교과서도 있는데 보통 이런 경우에는 보기로 줘서 편하게 쓰라고 하는 듯사실 그런 실수가 많음 인강강사들이 말해주는 풀이 이런거에 익숙해지다보니 써서는 안될 용어 아무생각없이 쓰는 경우 글고 처음에 x y 범위 잡아주고 매개화해야하지 않나
강기원: 수험판에서 교과서가 막 성경 같이 대해지는 경향이 있거든??
강사를 예수처럼 대하는거보다 교과서를 성경처럼 대하는게 대학갈때엔 도움이 될겁니다
굳이 뭔가를 성경처럼 대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용
성경이라는 단어는 메타포지만
가장 권위가 있는 텍스트는 맞죠 토론의 대상조차 아니죠
권위가 더 유용하다거나 필수라거나 하는점을 보장해주진 않으니깐 굳이 교과서를 봐야하나 싶어서...
실제로 안 보고 잘 보는 사람들도 많잖아요
수능만 보는 사람 입장에서 굳이 따로 챙겨볼 이유가 있을까요?
저 본문이 교과서를 등한시해서 생긴 엑시던트의 예시이니
남은건 수능인데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설명을 하는 책이고 기준이 되는 책입니다 일종의 사전처럼 쓰라고 저는 학생들에게 말합니다
영어공부할때 사전없어도 시험잘보는 사람이 있다고 그게 사전이 영어학습에서 갖는 권위를 무시할수 없죠
그리고 본문의 상황중 지수의 확장은 수능에서도 일어날수 있는 일이고요
결국 그 권위도 다수의 사람이 영어공부하는 과정에서 사전을 보기때문에 생긴 권위 아닌가요
뭣보다 모르는 단어를 찾아볼때 사전을 대체할만한게 없잖아요
근데 교과서는 아니고요
아뇨 그 권위는 출제기관이 지정했기 때문입니다
아니 지정한건 맞는데 어차피 대부분의 수학 개념서가 교과서 내용을 포함하잖아요
수능에서 샌드위치 정리를 사용한 풀이를 저격할 마땅한 방도도 없고(비단 이 정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내용에서도)
그래서 점차 그 권위를 잃다가 장시간 교과서 없이도 고득점을 받는 학생이 많았기에
허울뿐인 권위가 된게 아닌가 싶어서요
같은 논리로 국어를 공부할 때 교과서를 보는 학생은 손에 꼽잖아요?
과탐도 마찬가지고요
출제기관이 지정했다는 이유만으로 득이 됐다면 타 과목에도 적용됐어야죠
+그리고 지수의 확장과정에서 어떤 수 범위에서만 정의되는지는 실제로 많은 강사분들이 가르치시고요(다는 안들어봐서 전부인지는 모르겠음)
국어영어는 교과서 외의 다양한 지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나와있으니 비교가 다르고요
저는 교과서를 보라고 얘기를 해도 님이 들을 생각 없다면
굳이 설득할 생각없습니다. 이미 충분히 얘기했는데 말귀를 못알아들으면 거기까진거겠죠
제가 주로 쓰는 칼럼은 최상위권이 만점을 받는 직전에서 걸리는 한 순간을 돌파하기 위해 필요한 팁들에 대한겁니다 어차피 88점 92점 정도 받을거면 굳이 제말 들을필요없어요 아무렇게나 해도 그정도는 나올테니
그냥 궁금해서 물어본거임 답변해줘서 ㄳ
근데 논술에서는 교과서가 기준이 맞음 써도 되는 정리는 딱 교과서에 있는 것 그것만 써야하고 그 외에 것은 당연히 따로 증명하고 들어가야하는 부분인데 그걸 구분 안 하면 강사들이 알려주는 정리들 아무생각 없이 사용해서 풀이 쓰게 되고 그럼 논리적 비약으로 점수 깎이죠
교과서만 보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사람은 사이코맞긴하죠. 근데 교과서 보라고하는건 그리 이상한 말은 아닌거같은데
교과서를 성경에 비유하는건 좀 이상할수는 있어도 법전으로 비유한다면 그리 틀린 비유는 아니라고봅니다.
법전만쥐어주면 사법고시문제 거의 못풀겠지만 그 기초는 법전에 있죠.
교과서 열심히 하시고~
국어능력이 낮은 학생은 교과서를 보기 힘드니 다른 방식의 학습이 더 도움이 될수는 있겠네요
열심히 하라는데 왜~~
댓글들 왤케 교과서에 긁힌거지
공부 못하니까 교과서의 중요성을 모르는 거지. 국어 못해서 교과서 못 읽거나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습니다ㄷㄷ
제가 뭐 동의하고 자시고 해서 무슨 의미가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논술이든 수능이든 교과서가 중요하다는 선생님 의견에 백번 동의합니다
휘황찬란한 스킬 백날 익히고 써봐야 교과서라는 제일 기저의 기준과 표준으로부터 연역하고 연결짓지 못하면 거기서 발전도 확장도 응용도 안되고 실력 발전이 거기서 딱 멈추는 것 같아요
전에 연의 논술로 합격하신분도 교과서로 공부했다 하시던데
교과서를 읽는 본질은 결국 교과서에서 말하고 있는 기본 개념이 뭔지, 그래서 그 개념이 어떻게 쓰이는지, 어디까지 쓰일 수 있는지를 보고 읽고 이해하고 익히라는 뜻임
그 개념을 설명할 줄 알고, 어떻게 쓸지도 혼자만의 기준을 세워나가라는 뜻임
물론 그 기준은 내 멋대로 세우라는게 아니라 끊임없는 모방과 학습을 통해 세워나가야 하긴 함.. 그 잣대도 논술과 수능의 차이도 분명 있을 것이고, 학교마다 원하는 그 기준도 다를 것이고.. 참 어렵긴 합니다.
잘 봤습니다.교과서를 기준으로 문제 내는거 다들 알텐데 교과서를 보지는 않죠.저는 교과서를 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