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들은 학과 전문 연구 분야 잘 모르지 않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07867
전 입학사정관이 학과 하나마다 다 있는 거라 생각했는데, 한 학교마다 입학사정관이 몇 명일지 찾아봤더니 사진처럼 한 학교에 존재하는 총 학과 개수보다도 한참 작더군요
제가 가령 A대학교에 있는 B학과 교수의 연구분야인 C에 관심이 깊어서 C 관련 주제를 심화적으로 골라서 탐구했는데
만약 면접까지 안가는 그냥 학생부전형(생기부를 보는 전형)으로 지원하게 된다면 결국 교수님께까지 안가고 입학사정관 선에서 생기부가 처리될 것이라고 보는 입장에서
C가 다소 지나치게 마이너한 연구 분야라고 했을 때 입학사정관이 C 분야에 대해서는 잘 모를 수 있을까요?
제가 걸리는 점이 고1-2동안 탐구해왔던 C분야가 피상적으로는 B학과와 연관성이 없다고 외부인 입장에서는 생각이 들 것 같아서 (즉 관련 연구자가 아닌이상 C분야와 B학과의 연관점을 찾기가 힘들 듯해 보이므로)
사실 그 연관점이 생기부에 잘 어필되지 않는다면 입학사정관 입장에선 음 이 학생 좀 특이한 걸로 활동했나보네, 주제하고 내용이 특이하네... 선에서 그칠 수 있지 않을까요?
만일 그렇게 된다면 사실 B학과에 입학하기 위해 C를 연구했던 게 말짱 도루묵이 되는 게 아닐지 싶은데... 제가 C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실 내용들을 잘 숙지하고 그 연구 방향성에 크게 동감하고 있다는 점을 어필하고 싶었는데 생기부를 교수 혹은 학과를 직접 전담하는 입학사정관이 보는 게 아닐 수도 있다니깐 심란하네요
만약 입학사정관이 C 분야에 대해 잘 모른다면 여태까지 했던 노력이 의미 없어지는 건가 싶고... 물론 한분야에 대해 깊이 연구한 것으로도 역량이 어필될 수 있지 싶긴 하지만 정말 그 연구분야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읽었을 때 특히 공감하거나 높게 사줄(?) 만한 질적인 내용들이 생기부에 많이 기록되어있기도 하구요...
현실적으로 입학사정관들이 학과마다 여러개 있는 수많은 연구 분야에 대해 모두 구체적으로 숙지하고 있을 것 같진 않지 싶은데.. 혹시 제가 생각하고 있는 게 옳은 내용이 맞을까요? 차라리 학과 관련해서 좀 더 대중적인 주제로 깊이 탐구했어야 했나라는 생각이 자꾸만 드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삶에의지를잃어버렸다 4 0
난병신이야..
-
와카노라는 말 자주씀? 2 0
처음들어보는 사람도 있으려나
-
공부 잘하는 사람 보면 애니 보는 사람이 많네 15 0
애니를 봐서 공부를 잘하는건가 공부를 잘해서 애니를 보는건가 공부도 잘하고 애니도 보겠지 멍청아
-
결국 돈 많은 환경이 승자네 3 1
사교육 성형 20대되면 완전체 존잘존예 의대생 배출된다는거 아니야
-
내가 ㅈ반고이여서 그런지는 몰라도 공부랑 외모랑 정비례던데 3 2
하위권 남학생들은 딱 말 드럽게 안들을 것 같거나 그냥 맹한 찐따들임
-
최근에 확통 시작했는데 11 1
확통이 ㄹㅇ 고능아 과목인거 같아요 케이스 나누고 공식 쓰는게 딱 지능 싸움인 느낌
-
돈이 많다 → 사교육 ㅆㄱㄴ → 얼굴 뜯어 고치기 ∴ 공부 잘하는 애가 얼굴도 잘남
-
수의대 목표 재수생 성장일기1 4 0
작수 국어(화작) 4 매일 아침 책읽기 체크메이트 언매 일클래스 공부 결과 오늘 친...
-
탐구 추천 & 고민 2 0
모종의 사태가 일어난 여대학생입니다 현역때 영어는 고정 1 수학 2-3 국어 2...
-
수학 질문 미적분ㅠ 4 0
28번 첫번째로 풀었을때 b1c1이랑 두번째로 풀었을때 b1c1이랑 왜 다르게...
-
작년수능 언매는 개념몰라도 1 0
11문제 다 맞힐 수 있던데 올해는 어케 나올지 모르는 거죠?? 고2 10모 국어...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