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나'는 19세기에야 등장한 표현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86690
'누님+아(호격조사)'로 그 구성이 추정되는데 아마 '어머니'처럼 '님'의 ㅁ이 떨어지고 '아'가 붙은 표현이 축약된 게 아닐까 합니다.
그 이전에는 '누이(<누의)'가 쓰였는데 여기에 '님'이 붙어 '누님'이 된 것입니다.
또 하나 재밌는 점은 '누이'의 ㅇ은 본래 ㅂ이 있던 자리로 경상 방언과 육진 방언을 통해 본래 '*누븨' 정도의 형태였을 거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 조선관역어의 餒必라는 표기로 조선 초에는 '*누ᄫᅵ' 정도의 형태도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학론 피램 0 0
몇달 뒤에 군대 가서 군대 가기전까지 문학론 듣고 군대가서 피램 쭉 할까 생각중인데요 추천 해주세요
-
법제처 가고싶은 이유 0 3
1. 일단 법과목은 스토리가 있는 과목이라 재미있음. 오히려 일부...
-
ㅈㄴ 싫다~~~
-
정벽이 10 2
예전부터 얼굴궁금했는데 의대 어디갔는지도 궁금하다 알려주라 정벽아
-
진지하게 나 어땠음 11 0
그정도였냐
-
뉴비 인사드립니다(*ᵔᢦᵔ*) 16 1
안녕하세요 잘부탁드립니다!
-
정적분 << 어려운듯 0 2
센스가 있어야하는느낌
-
ㅅㅂ 너무 세상이 흉흉함
-
가요이같은 여친 기원 0 0
-
삼반수 조언 좀 9 0
2025 수능: 국어100 수학85 영어2 탐구83 99 문과구요 모의고사 성적...
-
와 레전드 운동함 3 3
컵라면 꺼냈다가 집어넣기운동
-
얼버기 1 0
자체공강 마렵다






눈나
누님아 누나 오
누냐?
아마 '냐'라는 발음이 한국어에는 잘 등장하지 않아 반모음을 탈락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조선어사전(1938)에 ㅁ이 떨어진 '누니'가 '누나'와 그 뜻이 같다고 실렸으므로 '누니'가 사전에 실릴 정도로 꽤 쓰였다는 점은 알 수 있습니다. 이 '누니'에 '아'가 붙는 것은 다른 친족어를 생각했을 때 충분히 개연성이 있는 일이고, 반모음 ㅣ가 탈락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형아는
그냥 간단하게 한자 형 + 호격조사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