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염냥을 모르면 틀려야 한다. (2111 사미인곡)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86668
과연 이말이 맞을까요?
고전시가는 어휘니까 어휘를 모르면 틀려야한다?
고전시가는 내신하듯 외워야하는데 안외웠으니 틀려야한다?
아닙니다.
시험장에서는 모른다면 비벼서라도 풀어야합니다.
지문과 문제를 보고가봅시다. (문제 번호는 본교재에 있던걸 뜯어와서 실제 시험지 번호가 아님)
(가)는 적강 모티프(적강 화소)가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때, 천상과 지상의 이원화를 <보기>에서 확인 가능했습니다.
차이가 만들어지는 지점을 화자의 시간으로 설정하고 읽어나갑시다.
천상: 임O + 무한한 시간 → 고통X
지상: 임X + 유한한 시간 → 고통O
잠깐 5번 선지를 볼까요.
⑤ ‘염냥’이 ‘가는듯 고텨’ 온다는 인식에서, 임과의 관계 단절에 따른 절망감으로 인해 지상의 물리적 시간이 심리적으로 지연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겠어.
여기서 염냥(炎凉)이 더위와 추위 다시말해 여름과 겨울임을 알아야만 이 선지를 그어낼 수 있었을까요?
아닙니다. 우리는 2011 월선헌에서 이미 배운 바가 있어요.
고전시가에서는 특정 부분이 해석이 안된다고해서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⑤번 선지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염냥(炎凉)'의 정확한 의미(더위와 추위, 즉 여름과 겨울)가 중요하긴 하지만 모른다고 해서 틀릴 이유는 없었습니다.
수능 고전시가 문제 해결에서 중요한 것은 개별 단어의 의미도 있겠지만 문맥적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알면 좋죠 알면.... 그런데 시험장에 가면 아는거 나오나요?
당장 월선헌에서만 봐도 몽혼에 섯긔었다를 해석하지 못해서 앞의 '계륵'을 통해 벼슬을 갖자니 좀 그렇고 버리자니 그것도 그렇고... 하는 내적 갈등을 파악하지 않았었나요?
이 지문의 경우, 핵심적인 단서는 바로 앞 구절에 있는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믈 흐 고야"(무심한 세월은 물 흐르듯 하고)라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명백하게 시간이 빠르게 흘러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염냥'이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몰랐더라도, 문맥상 화자가 시간의 빠른 흐름에 대한 한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충분히 추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시간이 심리적으로 지연되어 나타난다'는 ⑤번 선지의 내용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③, ④번 선지에서 지상의 물리적 시간이 압축=빠르다, 시간이 줄어서 불안하다 이 두갤 통해 방향성 잡아두고 그 방향성 아웃으로 답을 골라도 되긴했을겁니다.
물론 염냥(炎凉)을 공부해놓았다면 최고였겠지만요.
오늘의 교훈
고전시가 연계에서는 어휘 이상한거를 내서 변별해버릴 수 있다.
꼼꼼히 공부해두자. 그런데 막 외운다고 다 능사가 아니다. 맥락을 익혀둘것.
'섯긔었다.' 시즌2 튀어나오면 답엄슴... 지문이나 <보기>로 우회적으로 판단할 각오도 다져둘것.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종강할때됏다 2
곧
-
의대에서 서울대 붙을 정도는 돼야 한다는데 너무 기대된다.
-
평생 사탐이랑 담쌓고살았는데 사탐하려니 뭔가 이상하네 3
뭔가 기분이 이상함 틀딱이라 사회를 고1때말곤 해본적이없는데
-
첨 듣는데 3/8일 개강하는 시즌2부터 들어도 괜찮나요??
-
강민철쌤커리 타고있는데 ebs는 김승리쌤 들어도 될까요? 패스는 이미 둘다 있어요
-
여러명 나오는데 누구 말하는거??
-
개강하면 좋은점 2
하루에 만 보 넘게걸음
-
2사탐런 했는데 컴공 못갈까봐 불안하긴하네요 사탐 공대 이번에 간 사람 꽤 있을까요?
-
학고반수 1
삼반수인데.. 부모님 몰래가 가능하나요?
-
ㅈㄱㄴ
-
목표 달성할 때까지 수능본다는 분들이 계시는데 딱히 돈걱정 아예 없어서 가능한건가요.. 대단하신듯
-
1탄에서 강조했듯이, 문학 선지를 판단할 때는 '일관성'을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
컴퓨터를 다루나요?
-
우울글 쓸뻔함 2
수학여행 하니까 잊은일들이 생각나....
-
내 정신은 아직도 2018년에 머물러 있는데..
-
심온.사위가 세종대왕임.왜 사위를 잘못 둔 죄(?)냐면 심온 집안이 태조와 태종도...
-
6모 신청 3
삼수생인데 모교가 짐이랑 좀 멀기도 하고 뭔가 가기 싫어서 집 주변 고등학교...
-
??
수능 비문학도 마찬가지인데, 특정 어휘를 알아야만 풀 수 있는 문제보다는 '맥락'을 고려하면 답은 낼 수 있게 설계된 문제가 많은 것 같습니다.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비문학에서 어휘를 하나하나 다 해석할 이유가 없죠
문학에서도 결국 맥락이 의미를 결정하니까 맥락을 봐야...
수학능력시험이라는 취지를 생각해보면 참 문제 잘낸다는 생각이 드네요
임용부터 붙고 글 쓰자.
매번 이상한글로 어그로끄시던데 시비걸지말고 가세요.
혐오시대님 임용 붙었으니까 칼럼 써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