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글 보고 든 생각) 영어에서 '이해'란 무엇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83060
제 주관적인 견해입니다.
(이는 글이 완전하게 제시된 유형의 문항들에 적용이 되는 것입니다. 순삽에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순삽은 글을 '매끄럽게 만드는' 추론 능력이 필요하기에 '이해'의 측면에서는 보다 얕은 수준의 읽기면 되지만 힌트 활용의 측면에서 더 깊은 수준의 읽기가 필요하니 이 칼럼이 던지는 메시지와는 결이 다르다는 점 미리 알려드립니다)
영어에서는 이해는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1) 지문에 대한 이해
2) 선지 적절성에 대한 이해
당연히 1이 선행되어야만 2가 '타당하게' 도출된다고 생각합니다.
지문에 대한 이해는 어느 수준까지 요구될까요?
1. 지문 속 맥락의 흐름 파악
(Ex. 첨에 이 소재 얘기 꺼내고 이렇다고 하는구나
아 그 다음에 이 얘기로 넘어가네?
마지막에 이렇다고 하는구나)
2. 필자의, 혹은 글 자체의 메시지 구체화
(Ex. 그래, 결국 이 얘기하려고 하는구나)
그 다음 선지 적절성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가능해지는걸까요?
1. 지문 메시지 구체화 (글이 이 얘기하다가 결국 이 얘기했지? ㅇㅋㅇㅋ 함 찾아보자고)
2. 각 선지 속 오류나 적절한 부분 파악 (아 이 선지에는 이게 빠져있네 or 인과가 잘못 되어있구나,, 음 매력적인 오답 선지였구만)
딱 이 정도입니다.
배경지식을 활용할 필요도,
숨겨진 무언가를 찾을 필요도 없습니다.
그저 지문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잘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지문에게 끌려가지만 않으면 되는 것입니다.
예제로 다음 문제 보여드리겠습니다. (예제 많이 어렵습니다. 지문한테 안 끌려가면서 읽어보는 연습해보고 답 찾아보셔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때는 2학년때, 걍 인간이 싫어졌다. 학교 선생들 이래라 저래라 하는것도 가소로워서...
-
자기 전 질받 13
선넘질도 ㄱㄱ혓
-
다들 논술하십쇼 9
수학딸각으로 12월에 합격증 받고 남들 정시면접이니 표본이니 할때 배 벅벅 긁으면서...
-
넘슬프다 3
결국엔 도태될것같다 해봤자 도태되는건 안하는게 낫지않나
-
얘들아 더프를 9
더프러 알겠지? 하하하하하
-
나 지금까지 모듬회를 10
모둠회라고 알고있었음 모듬이구나 어색하네
-
수능 수학은 14
1교시가 어땠느냐에 따라 갈린다
-
나만 노래방에서 6
보컬로이드 부르지 ㅠㅠㅠ
-
질받(야한거아님) 21
고고혓
-
풀배터리 검사할 때 그림 존나 못그려서 쪽팔린 기억 있으면 개추좀 ㅋㅋ
-
대치동 이야기는 그만 10
지방 촌구석 정시는 울고싶단 말이다…
-
국어 장창현쌤 1
들어보신분 계시나요?
-
전 이제 자러 갑니다~ 11
모두 안녕히 주무세용
-
순간 진짜 김미레 님인 줄 ㅋㅋㅋㅋ
-
기출, 스킬? 강의 다 듣는게 맞나요? 골라 듣는게 맞다면 각각 뭐뭐 들어야 하는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