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글 보고 든 생각) 영어에서 '이해'란 무엇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83060
제 주관적인 견해입니다.
(이는 글이 완전하게 제시된 유형의 문항들에 적용이 되는 것입니다. 순삽에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순삽은 글을 '매끄럽게 만드는' 추론 능력이 필요하기에 '이해'의 측면에서는 보다 얕은 수준의 읽기면 되지만 힌트 활용의 측면에서 더 깊은 수준의 읽기가 필요하니 이 칼럼이 던지는 메시지와는 결이 다르다는 점 미리 알려드립니다)
영어에서는 이해는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1) 지문에 대한 이해
2) 선지 적절성에 대한 이해
당연히 1이 선행되어야만 2가 '타당하게' 도출된다고 생각합니다.
지문에 대한 이해는 어느 수준까지 요구될까요?
1. 지문 속 맥락의 흐름 파악
(Ex. 첨에 이 소재 얘기 꺼내고 이렇다고 하는구나
아 그 다음에 이 얘기로 넘어가네?
마지막에 이렇다고 하는구나)
2. 필자의, 혹은 글 자체의 메시지 구체화
(Ex. 그래, 결국 이 얘기하려고 하는구나)
그 다음 선지 적절성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가능해지는걸까요?
1. 지문 메시지 구체화 (글이 이 얘기하다가 결국 이 얘기했지? ㅇㅋㅇㅋ 함 찾아보자고)
2. 각 선지 속 오류나 적절한 부분 파악 (아 이 선지에는 이게 빠져있네 or 인과가 잘못 되어있구나,, 음 매력적인 오답 선지였구만)
딱 이 정도입니다.
배경지식을 활용할 필요도,
숨겨진 무언가를 찾을 필요도 없습니다.
그저 지문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잘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지문에게 끌려가지만 않으면 되는 것입니다.
예제로 다음 문제 보여드리겠습니다. (예제 많이 어렵습니다. 지문한테 안 끌려가면서 읽어보는 연습해보고 답 찾아보셔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교육청이나 풀자
-
확실히 사람들이 고등학교 올라오먄 알게모르게 다들 대학 압박을 느끼는거 같아요
-
진짜모름;;; 아침에 비몽사몽하게 콘푸로스트 먹으면서 유튜브보는데 지랄나서 그냥 욕...
-
정시파이터고요 개념은 김종익T 들었어요 1. 기시감 2. 잘 노는 기출 3. 마더텅
-
New 0
Broken Wrong Chrome hearts
-
ㄱㄱ
-
아무도 없겠지?
-
라면스프밥 맛있어요 10
참치캔 하나 국물까지 다넣고 날계란 넣고 라면스프랑 밥 비벼머그면 개맛있음 밥하기 귀찮을때 해보세여
-
네
-
해본 사랍들 후기좀
-
챔스 8강 원정 연장까지 잘 끌고 갔는데 약발 중거리 한골 먹히고 지다니....
-
아니면 그냥 김범준,한완수 무한회독이 나을려나
-
저 입시 치를 때만 해도 영재학교는 부산의 한과영 뿐이었는데...지금은 과거 과학고...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