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known은 알려지지 않은 그러니까 '모르는'이잖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39236
'모르는'은 '모르다'의 관형사형인데, 이 '모르다'의 어원이 되게 재밌습니다.
향가를 보면 고대 국어 시절에는 '모르다'의 활용형을 '毛冬乎'나 '毛冬留' 이런 식으로 썼습니다. 여기서 毛冬는 음차자로, 각각 'ㅁ+모음'과 'ㄷ+모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니까 중세국어 시절 '모ᄅᆞ다'였던 '모르다'는 원래 '*모ᄃᆞᆯ다' 정도였던 거죠.
왜 '모ᄃᆞ다'가 아니라 '모ᄃᆞᆯ다'냐면 '모르다'는 르/ᄅᆞ 불규칙 용언이고, 보통 불규칙 용언은 규칙 용언이었던 시절의 화석이라고 여겨지는데, 르 불규칙 용언은 어말에 ㄹ이 있었다고 재구되거든요. 그러니까
'*ᄆᆞᄅᆞᆯ-'이라는 어간에 모음 어미가 붙으면 'ᄆᆞᄅᆞ라' 이런 식이 될 건데 저기서 아래아가 탈락해서 'ᄆᆞᆯ라'와 같은 형태가 나오게 됐다는 거죠. 그런데 국어사적으로 유명한 현상 중 하나가 바로 ㄷ>ㄹ인데, 영어의 water의 t가 r과 같이 발음되듯이 그러한 ㄷ의 약화가 한국어에도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모ᄃᆞᆯ-'에서 모음 사이에 있는 ㄷ이 약화되어 ㄹ이 된 거죠.
'못'의 옛말은 '몯'이었는데 만약 뒤에 '알다'가 있는 구성이 하나로 굳어지게 된다면 ㄷ이 연음됐겠죠? 그 원리입니다. '몯 알다'라는 통사적 구성이 굳어지고 더 이상 '알다'에서 왔다는 어원 의식이 사라지자 그렇게 한마디로 이어서 발음하다가 ㄷ이 약화되어 결국 ㄹ이 됐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물론 '알다'는 15세기부터 'ㅏ'였지만, 15세기에 아래아와 ㅏ가 혼동된 경우도 존재해서 이 역시 그러한 경우로 볼 수 있을지 모릅니다.
결론
*모ᄃᆞᆯ>*ᄆᆞᄅᆞᆯ>모ᄅᆞ>모르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맛있음요?
-
국숭세단도 뱃지 만들어줘 4 0
비명문대라서 울었어
-
그냥 1세반수 달릴까 10 0
기빨려 죽겟네 다들 왜케 인싸임
-
그 사람 어디감? 7 0
원숭이나무에올라가였나 탈릅?
-
그것은 바로 쑤달입니다~
-
흐음 9 0
진심 혹은 거짓 둘중 아무거나 하나 골라볼사람
-
아까 무슨 일베 어쩌구 한 게시글이 있어서 그거 보고 생각난 겁니다. 예에에전...
-
과외도 하나 잡앗다 0 0
갓생을 살꺼임..
-
수원 맛집 추천좀요 0 0
카페도요
-
애인이랑 벚꽃축제 6 2
가고 싶은데 난 왜 친구들이랑 약속 잡냐
-
이분들 왤케 이쁘심 5 0
https://orbi.kr/00072336187/%EC%9A%94%EC%A6%98-...
-
의대 정원을 전형별 인원도 같이 롤백하면 좋겠네요 11 0
증원할땐 수시 특히 지역인재 수시를 엄청 늘렸으면서 롤백할때는 일반정시 인원을 같이...
-
오르비에 정붙인거 뗄랍니다 10 5
정치병자들 사라지면 다시 올게요














못알음
뭐라는
오랜만에 오셨군요
네 이제 아무래도 금주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스무 살인 게 너무 신나서 맨날 술 마시느라 오르비 못 옴... ㅋㅋㅋㅋ
아니 그런거치곤 글 엄청 쓰셨네 ㅋㅋ
아 근데 글들이 다 최근이에요. 1월에 쓴 글 진짜 없고 2월도 2월 말에야 글이 좀 많아지기 시작했슴다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