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known은 알려지지 않은 그러니까 '모르는'이잖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39236
'모르는'은 '모르다'의 관형사형인데, 이 '모르다'의 어원이 되게 재밌습니다.
향가를 보면 고대 국어 시절에는 '모르다'의 활용형을 '毛冬乎'나 '毛冬留' 이런 식으로 썼습니다. 여기서 毛冬는 음차자로, 각각 'ㅁ+모음'과 'ㄷ+모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니까 중세국어 시절 '모ᄅᆞ다'였던 '모르다'는 원래 '*모ᄃᆞᆯ다' 정도였던 거죠.
왜 '모ᄃᆞ다'가 아니라 '모ᄃᆞᆯ다'냐면 '모르다'는 르/ᄅᆞ 불규칙 용언이고, 보통 불규칙 용언은 규칙 용언이었던 시절의 화석이라고 여겨지는데, 르 불규칙 용언은 어말에 ㄹ이 있었다고 재구되거든요. 그러니까
'*ᄆᆞᄅᆞᆯ-'이라는 어간에 모음 어미가 붙으면 'ᄆᆞᄅᆞ라' 이런 식이 될 건데 저기서 아래아가 탈락해서 'ᄆᆞᆯ라'와 같은 형태가 나오게 됐다는 거죠. 그런데 국어사적으로 유명한 현상 중 하나가 바로 ㄷ>ㄹ인데, 영어의 water의 t가 r과 같이 발음되듯이 그러한 ㄷ의 약화가 한국어에도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모ᄃᆞᆯ-'에서 모음 사이에 있는 ㄷ이 약화되어 ㄹ이 된 거죠.
'못'의 옛말은 '몯'이었는데 만약 뒤에 '알다'가 있는 구성이 하나로 굳어지게 된다면 ㄷ이 연음됐겠죠? 그 원리입니다. '몯 알다'라는 통사적 구성이 굳어지고 더 이상 '알다'에서 왔다는 어원 의식이 사라지자 그렇게 한마디로 이어서 발음하다가 ㄷ이 약화되어 결국 ㄹ이 됐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물론 '알다'는 15세기부터 'ㅏ'였지만, 15세기에 아래아와 ㅏ가 혼동된 경우도 존재해서 이 역시 그러한 경우로 볼 수 있을지 모릅니다.
결론
*모ᄃᆞᆯ>*ᄆᆞᄅᆞᆯ>모ᄅᆞ>모르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래 잘하자
-
문학 김재훈 들어서 올오카 독서만 들었는데 문학도 듣는게 나을까요? 담주부터 김승리...
-
분명 어려운 문제는 없는데 시간안에 못 풀겟는 이 느낌이 너무 힘듦...
-
92-2 요? 96-3-3 이요...
-
ㅈㄱㄴ
-
적응을 못 하겠네ㅠㅠ
-
해보신분 과정좀 알려주실수 있나요
-
상지대 에타 8
왜 이러는거죠
-
?오르지 못들어가지않ㄴ나
-
매우.. 큰일났음
-
2025학년도 건양대 수시, 정시 입시결과(의학과 포함) 0
2025학년도 건양대 수시, 정시 입시결과(의.. : 네이버블로그
-
발인,화장 9
이거 하는 모습을 직접 봤는데 그 뒤로 마음이 힘들어요
-
안녕하세요 한수입니다! 한수모의고사에서 만든 수능 국어 일간지 ‘오!일장’ 패키지가...
-
어르버르기 1
더프도 끝났으니 다시 열심히 달려봅시다 수능도 얼마 안남았네요 화이팅
못알음
뭐라는
오랜만에 오셨군요
네 이제 아무래도 금주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스무 살인 게 너무 신나서 맨날 술 마시느라 오르비 못 옴... ㅋㅋㅋㅋ
아니 그런거치곤 글 엄청 쓰셨네 ㅋㅋ
아 근데 글들이 다 최근이에요. 1월에 쓴 글 진짜 없고 2월도 2월 말에야 글이 좀 많아지기 시작했슴다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