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빈칸 고난도 2편 ( 문제 제작 전문 강사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36901
올해는 진짜 책을 출판하자고 생각해서 유형별에서 추가 유형별 문제를 만들려고 합니다
예를 들면 빈칸 문제가 있다면 빈칸 문제도 몇가지 종류가 있고 정답의 유형도 몇가지 유형이 있으니
그 유형들을 분류해서 각각의 문제를 20개 이상씩 만들면 빈칸 유형도 100문제는 나오겠죠.
대신 난이도가 낮지 않고 어휘도 수능 필수 단어와 추가적인 몇몇 어려운 단어를 넣으면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열심히 제작중입니다.
도움이 되실 거에요. 재미나게 푸시길 바래요.
더 높은 난이도를 원하신다면
또는 더 낮은 난이도를 원하신다면
또는 다른 유형을 원하신다면 언제든 이야기해주세요.
문이과 주제 모두 망라해서 수능과 비슷한 유형으로만 제작합니다.
경기도 어느 산골에 사는 영어아저씨
5.
In the realm of decision-making, people often overestimate the extent to which their choices are freely made, overlooking the subtle yet profound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This phenomenon, known as the illusion of choice, suggests that while individuals believe they are acting independently, their decisions are often shaped by underlying social, cultural, or psychological forces. For instance, a consumer choosing a particular brand may perceive the decision as personal preference, whereas, in reality, marketing strategies, peer opinions, and subconscious biases have played a crucial role. This illusion becomes even more pronounced in high-stakes situations where the complexity of variables makes it nearly impossible to discern true autonomy. Therefore, recognizing the mechanisms behind decision-making is essential, as it helps individuals exercise more critical judgment rather than merely .
① rejecting alternative perspectives
② reinforcing their initial assumptions
③ yielding to invisible influences
④ disregarding external pressures
⑤ undermining the effect of context
6.
The history of astronomy is a testament to humanity’s relentless pursuit of understanding the cosmos. However, the progression of astronomical knowledge has not always been linear; rather, it has often been marked by paradigm shifts that dramatically altered our perception of the universe. For instance, the transition from the geocentric model to the heliocentric model was not merely a scientific advancement but a fundamental upheaval in how humans perceived their place in the cosmos. More recently, the discovery of dark matter and dark energy has once again challenged conventional wisdom, suggesting that the vast majority of the universe is composed of entities that remain largely undetectable. This realization underscores a crucial lesson: scientific certainty is often fleeting, and what is considered irrefutable today may one day be relegated to mere historical curiosity. In this sense, the pursuit of astronomical knowledge is not about attaining absolute truth but rather about .
① refining our understanding through successive approximations
② confirming long-held theories with empirical evidence
③ rejecting previous discoveries in favor of newer ones
④ reducing scientific uncertainty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ments
⑤ establishing definitive principles that remain unchanged over time
7.
One of the most counterintuitive aspects of quantum mechanics is the fundamental role of observation in determining the state of a system. Unlike classical mechanics, where physical properties exist independently of measurement, quantum systems exist in a superposition of states until an observation collapses the wave function into a definite state. This peculiar nature of quantum reality has profound implications, as seen in the famous double-slit experiment, where particles behave as both waves and particle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being observed. However, this concept extends beyond mere experimental oddities. The Copenhagen interpretation suggests that reality at the quantum level is not predetermined but rather probabilistic, meaning that until a measurement is made, multiple potential outcomes coexist. This notion challenges classical determinism, implying that the universe is inherently uncertain at its most fundamental level. Consequently, the pursuit of quantum mechanics is not about uncovering a set of hidden variables that dictate physical outcomes but rather about .
① embracing the probabilistic nature of reality rather than seeking deterministic explanations
② uncovering hidden variables that eliminate the randomness of quantum mechanics
③ proving that quantum behavior ultimately aligns with classical Newtonian principles
④ demonstrating that observation has no effect on the fundamental state of a quantum system
⑤ establishing that quantum mechanics merely reflects limitations in human measurement techniques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소오름
-
https://orbi.kr/00072835207 이 글 고3 몇 등급 정도가...
-
생각보다 애들 줄 잘세울수 있을듯? 근데 정시100%가 남아있어야 해당되는 말이지
-
기상 1
-
저는 문학 빡세지고 나서부터는 비문학 문학 언매 순서대로 33 30 15 쓰는듯요...
-
카르보나라 먹고 싶다
-
나이키 0
슈즈 걸~ 니가 느끼는 치명적인 매력을 줏어 (치명적인 심멘)
-
안녕하세요. 경북대학교 의예과 23학번 지니입니다. 생명과학 1을 어려워하는...
-
장염 2일차 0
24시간째 포카리 빼고 안먹음 어제는 19시까지밖에 공부 못함 오줌 색이 확연히...
-
(수능 기준) 정시 내신반영 심화로 인한 N수생 감소 케이스까지 적어보겠음 국어...
-
나경원 “서울대에 역대 대통령 자료실도 없는데...시진핑 자료실 폐쇄해야” 0
대선 출마를 선언한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15일 서울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나도 좀 행복해지고싶다 ㅅㅂ 노력 더 많이해야지
-
글씨 개선함!
-
궁금 전체적인 외적인 이미지나 이런게 어때보임?
-
컴파일러 본교재 컴파일러 데이터베이스 컴파일러 아카이브 이거 3개 어떤...
-
원순열 제대로 배우면 국밥 문제인데
-
왜 숙취 비스무리한 기분이 들지 모래주머니 훈련데이다 ㅅㅂ
-
기출코드 후에 0
바로 n제로 들어가도 되나여?? 실전개념없이
-
쉬는시간에 푸쉬업 가능
-
따리라리라랏 뚜~
-
주인공 부모 세대는 20대부터 중년 배우를 쓰고 주인공 세대는 청/장년->중년으로...
-
영어, 수학, 지구과학만 챙겨야지 화학 생명 문학은 하루전에 벼락치기
-
님들?
-
ㅋ ㅋㅋㅋㅋ ㅋㅋ ㅋㅋ 가령말이지 1970년대 라는 말을 하면 년대?...
-
약한영웅보는데 0
이사람 ㅈㄴ잘생겼어
-
왜냐면 집에서 나온순간부터 뛰었음
-
공부를 열심히하면 정치에 관심이 없어지는 이유를 암? 5
왜냐면 ㅋㅋ ㅋㅋ ㅋ 중도 를 좋아하니깐 ㅋ크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
졸려.. 0
더 자고싶다..
-
메이드 대학보내고 난 집에 잇는거임
-
비추인가요? srt 타면 1시간 조금 넘게 걸리긴하는데 .. 지방러라서 ㅜ...
-
결국잠못잠 2
-
옯쟝 하잇 4
나니가스키
-
아니지 노천극장 똥군기짤 등등 박제될만한 건 다 돌아다녔는데도 연고대 입학과는 일절...
-
[스포] 28 수능(예시) 국어 독서 사회·문화 지문 복습시 참조 1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 등지에서 활동하는 무명의 국어 강사입니다. 어제 발표된...
-
나스닥 파멸적 숏
-
어젠 인증 떡밥도 안돌았는데 ㅅㅂ
-
이번 3모에서 수학 미적 백분위 95정도 나왔는데요, 현장에서 12번 계산실수,...
-
제발 들어봐요 안죽어요
-
교사경 모음인 거 같은데 어떰? 평가원은 카나토미랑 수분감 풀어서 충분한디
-
이 사람 강의력이랑 단권화 전략 예사롭지 않음 이미 윤리 1타지만
-
혼자 공부한다고 하는데 시간만 오래 걸리고 선지 판단과 지문 분석이 너무...
-
얼버기 혈서 0
-
더 자고싶다 0
-
먹어도 괜찮...겠죠..?
-
물리 시험 두번을 치기 위해서 계산기에 돈을 태운다..??? 싼 거라도 사야하나 그냥
-
얼버기 0
부지런행
-
물리화학이 어렵게나올텐데 배기범이나 화학1타가 통과1타하려나
-
실검 2위 뭐임 8
-
확통말고 기하나 삼각함수 미분은 배울수없는거임? 인강도 없고 대학가서만 배울수있나 좀 아쉽군
좋은 시간되세요~~
3 1 1 의도하신거같은데!
6번에 질문있습니다.
네 질문하셔도 됩니다.
Refining 은 이 맥락에 사용하기 애매할수있을거같아서요
The history of astronomy / the progression of astronomical knowledge / 이 의미들을 반영하였습니다. 과학이라는 것이 역사적인 시간이 지나가면서 (한번에 급변이 아니라) 계속해서 변화해간다 라는 것을 담기 위해 적었습니다.
좋은 문제 잘 풀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