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Binㅣ [336627] · MS 2010 · 쪽지

2015-12-22 23:52:12
조회수 4,791

공부질문받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3337

저때도 그랬지만 참 지금은 시기상
예비고3분들 소외당할때라 ㅋㅋ

심심해서.. 공부질문받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sdf212 · 365265 · 15/12/22 23:52 · MS 2011

    군대가기싫은데어쩌죠

  • ㅣBinㅣ · 336627 · 15/12/22 23:55 · MS 2010

    저도....주변에 이제 다전역하네요 후

  • 약대보내줘 · 629866 · 15/12/22 23:53 · MS 2015

    과탐점수 조또 안오르는데 어떡함

  • ㅣBinㅣ · 336627 · 15/12/22 23:57 · MS 2010

    개념10회독하고 사설모의 30회분장도만해보세요 ㅋㅋ물론 30회분 하면서 오답이랑 회독은 계속해주시공

  • 약대보내줘 · 629866 · 15/12/22 23:58 · MS 2015

    앗 감사합니다 왠지 개념10회독 하면 과탐선생될거같은 기분이네요 도전해 보겠습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02 · MS 2010

    안되는부분은 15회독도좋아요

  • ㅇㄱ · 592085 · 15/12/24 20:57 · MS 2015

    개념10회독은 뭘로하는게좋을까요?

  • 17의대 · 629264 · 15/12/22 23:54 · MS 2015

    논술준비안하고 정시올인어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2 23:55 · MS 2010

    제가그랬는데 , 전 잘됬지만, 솔직히 비추긴합니다

  • WM6D4XFP89IoSc · 603028 · 15/12/22 23:56 · MS 2015

    수학 겁나 못하는 문과 재수생인데요 개념서 추천좀해주세요 개정된다길래 교과서도 구해보긴할건데... 참고로 수능3등급 나왔어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02 · MS 2010

    교과서먼저보시구요. 개정된단원은 아무리그래도 인강이더편할거예요.
    그리고 개념익히는것도 중요하지만 결국에 개념은 문제푸는과정에서 완벽해진다는걸 잊지마시고 쉬운+중간난이도 문제를 많이풀어주세요.

  • WM6D4XFP89IoSc · 603028 · 15/12/23 00:04 · MS 2015

    교과서로 공부하면서 개념인강으로 공부하라는 말씀이시죠? 그후엔 문제풀고.. 조언 고맙습니다!

  • 95년 응애 · 453954 · 15/12/22 23:56 · MS 2013

    라틴어 잘 외우는 법 좀

  • ㅣBinㅣ · 336627 · 15/12/22 23:57 · MS 2010

    -ㅁ-...

  • 여수위에순천 · 554563 · 15/12/22 23:56 · MS 2015

    국/수/영/탐구(3과목)
    어느정도 비율로 공부하면 좋을까요? (문과)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00 · MS 2010

    상황이 어떠냐에 따라 정말케바케겠죵??? 하지만 저라면 영어나 탐구같은걸 초반에 많이잡아놓고 수능까지 감+실수나오개념잡기 로 굳히고 수학에 투자할듯해요

  • 클로렐라쌀밥 · 548688 · 15/12/23 00:00 · MS 2014

    알텍끝나고 수학 기출문제집 뭘 기준으로 고를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05 · MS 2010

    알텍 수강하신다면 문제집에서 고민할필욘딱히없을것같습니다. 보통 해설이 자세하냐 이런걸 우선시 하는데 알첵은 그걸 강의로해버린거니깐요.

  • 17의대 · 629264 · 15/12/23 00:01 · MS 2015

    과탐 지1지2하려는데 너무리스크큰가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04 · MS 2010

    아뇨 근데 요새는 뭘고르냐보다 시험이 어떻게나오냐가 더 중요해서.. 잘골라도 시험똥으로 내서 통수맞는분들많습니다

  • 통계학과 가고싶다 · 561095 · 15/12/23 00:04 · MS 2015

    수학 고난도문제집(블라 일등급수학 등..) vs 기출 (마더텅 마플 등...) 뭐푸는게 나은가요?? 물론 미적분1 이과입니닷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07 · MS 2010

    이과시면 다푸세요. 전 재수할때 3등급으로 시작해서 시중문제집다풀어서 만점으로 올렸네요 근데물론 기출이우선이구요.ㅎㅎ 시중문제집에도 좋고 나쁨이 분명하긴하다만 어느정도 빗나가지않는이상 훈련이다생각하고 다푸세요

    정말중요합니다 제가 고3때 기출빼고꺼졍 하다가 수능때 4등급가까이떠서

  • 통계학과 가고싶다 · 561095 · 15/12/23 00:08 · MS 2015

    그럼 먼저 기출을풀까요 고난도를풀까요?! 그리구 책도추천해주세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28 · MS 2010

    기출문저푸세요! 고난도문제집은... 오르비에서 올해나온다니깐 그것들도 푸시고 하이퍼매쓰 이런거도 좋구요

  • 통계학과 가고싶다 · 561095 · 15/12/23 18:14 · MS 2015

    근데 미적1은 수능과목이 아니다보니 고민이 좀되는데... 기출이랑 고난도문제집 하나씩 괜찮은거 추천부탁드려요! 해설 잘나와있고 문제질 좋은걸루요!!ㅜㅜㅠㅎㅎ

  • 약대보내줘 · 629866 · 15/12/23 00:05 · MS 2015

    영어 이번 수능 3떳는데 1안정으로 올리려면 이비에스 나오기전까지 어떤걸로 어떤식으로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조언부탁드려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15 · MS 2010

    제 게시글보면 국영수공부법 글있긴해요. 요약해드리면 구문강의같은걸로 기본틀다지기-> 문장노트로 이비에스나 기출에서 모르는 문장이 단 한문장도 없을때까지 공부 + 단어는 수능전닐까지 계속 감되살리기. 전 이렇게했어요. 끊어읽기 이런거싫어하시고 쓱 한번에 읽히는 그런갈원하시면 딱좋습니다

  • 약대보내줘 · 629866 · 15/12/23 00:26 · MS 2015

    감사합니다 제가 한번에 쓱읽힌걸 좋아하는데 딱좋네요!

  • aQmTgDWGF3v6Rd · 598210 · 15/12/23 00:05 · MS 2015

    위에 정시올인 비추라고 하셨는데 왜죠? 의치대 목표도 논술해서 수시준비해야 할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13 · MS 2010

    제가 고3이과 평균 333정도에서 올1정도로 올려서 노수시에 정시로 설대왔는데 전 정말 정-말 내신도 별로고 논술도 바닥대라 정시올빵했어요
    근데 과외하면서 학생들보니깐 진짜잘하는애들도 수능때말아먹는애들많고(물론 전 실수나 그런 상황연습도 다했지만, 정시올인이니깐, 물론 그래도 실수할순있지만) 그런애들이 논술로 어떻게든 들어가는거 보면서 어떤일이 일어날지모르는것에대해서 장담하면안된다 느꼈어요. 물론 제일나쁜건 이도저도 아니게공부하는거겠죠. 저도 의대목표였고 경한붙긴했었지만 공부처음할때 논술까지할시간없겠다 생각해서 재수할때 건들이지도않긴했어요

  • aQmTgDWGF3v6Rd · 598210 · 15/12/23 00:16 · MS 2015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해요ㅋ 진짜 달아주시는 댓글에서 마음이 느껴지네요..ㅋ 한해 마무리 잘하시고 크리스마스 즐겁게 보내세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21 · MS 2010

    네 감사합니다 ㅎㅎ

  • bitbyte · 602761 · 15/12/23 19:13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ZaI7XkBnJ5mCtx · 624680 · 15/12/24 20:26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17의대 · 629264 · 15/12/23 00:07 · MS 2015

    이과 겨울방학까지 수학 얼만큼 해놓는걸 추천하시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09 · MS 2010

    전범위죠 ㅋㅋ 기출한바퀴를 대부분하더이다....꾸역꾸역.. 3월부턴 2회독

  • 17의대 · 629264 · 15/12/23 00:12 · MS 2015

    마플사놨는데..겨울방학안에 다풀어야겠군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15 · MS 2010

    마플은근데...엄청많으실첸데...ㅠㅠ

  • 17의대 · 629264 · 15/12/23 00:19 · MS 2015

    그럼보통자이스토리로하나요?? 미2기벡은 한번풀긴했는데.. 어짜피풀꺼 일찍풀어야죠뭐ㅠ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21 · MS 2010

    네 ㅠㅠ 너무많으면 홀수번만풀거나 이렇게 먼저하셔도되요

  • 17의대 · 629264 · 15/12/23 00:26 · MS 2015

    오좋은방법이네요ㅋㅋ감사하ㅁ당

  • 문희상 · 617775 · 15/12/23 00:14 · MS 2015

    이과 노베 독재생
    3월 전까지 국수영 개념 뗄 생각으로
    나비효과+생각의질서+김기훈 101시리즈 하고있고
    인강 듣고 들은 시간 만큼 예복습만 하는데
    현시점에서 기출 풀어야 하나요?

  • 문희상 · 617775 · 15/12/23 00:14 · MS 2015

    인강 2시간 들으면 예습 1시간, 복습 1시간 하고
    인강만 들어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20 · MS 2010

    아녀 기본기를 다지시는 시기니깐 인강에 먼저충실하세요.

    기본기가 되셔야 문제를 풀때의 학습효과가 오니 너무염려마시구요

  • 문희상 · 617775 · 15/12/23 00:29 · MS 2015

    감사합니다.
    혹시 이과 과목별 공부시간 밸런스랑
    인강대 자습 비율좀 조언 해주실수 있나요?ㅠㅠ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34 · MS 2010

    이과는 수학50넣고 나머지 분배해주신다생각하심됩니다..ㅠ

    인강대자습이라.. 간단해요 인강을 듣고 그걸 체화하기 위한 복습시간이 필요한데 방금들었던 강의복습+지금까지들었던강의누적복습 시간만 있으면됩니다. 시간은개인마다 다르니 직접공뷰하시면서 본인에게맞추세요 다만 진도가급해서 복습을 조금이라도 빼먹지만않으심됩니다.

  • 문희상 · 617775 · 15/12/23 00:37 · MS 2015

    감사합니다.
    인강 복습 말고 추가적인 자습을 의무적으로 해야할 필요가 았나요?(교과서, 기출, ebs 제외)
    사람들이 인강만 듣고 자기공부 없으면 망한다고 해서...
    그리고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3 16:31 · MS 2010

    그 자기공부시간이란게 결국 복습이예요!

  • Terrard8 · 611416 · 15/12/23 20:55 · MS 2015

    저기죄송한데 나비효과 EBS 국어인강말씀하신건가요 ?? 제가찾아봤는데 17수능에는없는걸로봤는데..

  • 문희상 · 617775 · 15/12/23 21:00 · MS 2015

    윤혜정쌤께서 작년강의 들어도 된다고 해서요!
    교재는 일부 개정됐어요ㅎㅎ

  • Terrard8 · 611416 · 15/12/23 21:07 · MS 2015

    어그럼 17버전인데 강의는작년꺼랑같으니16수능기출선지분석같은건 안돼있겟네요 ㅠ

  • 문희상 · 617775 · 15/12/23 21:15 · MS 2015

    아마 미니과제에는 반영되었을 거예요!

  • Terrard8 · 611416 · 15/12/23 21:47 · MS 2015

    감사합니다 ㅋㅋ

  • 17의대 · 629264 · 15/12/23 00:16 · MS 2015

    실수나 당황스러움 등등 수능상황연습같은거 어떻게하셨어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19 · MS 2010

    전 8웡부터 연습했는데
    수학이랑 과학만연습했어요
    1.풀이스타일 맞는거찾기
    2.자주하는실수찾기
    3.검토하기
    4.검토법 본인에게 맞는것찯기
    1,4번 체화

    제가쓴글에있긴할텐데 하여간 1,2,3,4번 완성하려고 8월부터 50여개 모의고사정도 연습해본것같아요. 과탐은 더많구요. 저래도 실수많이하는사람은 꼭해요 ㅋㅋ 참힘듬.

  • 17의대 · 629264 · 15/12/23 00:25 · MS 2015

    질문하는것마다 일일히 친절하게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내년에 참고할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26 · MS 2010

    넵 열공하세요 ㅋㅋ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24 · MS 2010

    아니 좋아요가 3개뿐이라니

  • aQmTgDWGF3v6Rd · 598210 · 15/12/23 00:27 · MS 2015

    저 좋아요 했음ㅋㅋㅋ

  • 피램 · 476057 · 15/12/23 00:28 · MS 2013

    빈님 공부법 질문은 아닌데
    서울대 공대 재학중이시죠? 비사범대인데도 사교육이라는 길을 택하기에 두렵지 않으신가요? 아무래도 리스크가 큰 시장이다보니... 물론 지금 순항중이신거 같아 부럽기도 하고 그렇지만요ㅜ 전공자가 아니여도 사교육쪽으로 가는데 큰 장애물은 안되겠죠..?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31 · MS 2010

    전 삽자루쌤을보며 희망을 얻었죠... 근데 저도 활동하면서 이런저런 분을뵙는데 많더라구요정말

    근데 그 저도 교양으로 교육관련쪽 많이들어봤는데 확실히 틀을잡아주더라구요. 실전경험들을 이론화시킨느낌??

    불안한건...전공자든아니든 다 마찬가지죠...1타이신분들도 정말 개고생하시면서 수업준비하시는데 ㅠㅠ

  • 피램 · 476057 · 15/12/23 00:37 · MS 2013

    하긴...그렇네요ㅠㅠ 지금 원서 안전빵을 쓰려면 사범대를 포기해야하는 상황이라 답답해서 댓글로 이렇게 여쭤봤어요ㅜ

    열심히 하시는 모습 정말 보기좋아요! 저도 빈님만큼 열정적으로 수업하려고 노력해야겠어요 ㅋㅋㅋ (혹시 담에 한번 만날수 있을까요?ㅋㅋ)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41 · MS 2010

    ㅋㅋㅋ 환영입니다

  • 피램 · 476057 · 15/12/23 00:42 · MS 2013

    다음에 쪽지드릴게요 ㅋㅋ 감사합니다

  • ㅇㅇㅇㅇㅇㅇㅇ · 619217 · 15/12/23 00:32 · MS 2015

    국어 비문학 공부 어떻게 하셨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36 · MS 2010

    기출을 90프로로 봤고 그속에서 공통점을 찾으려 노력했고, 좀 뭐랄까 행동방식과 대응방식을 마련하고 채화했어요. 말이어렵네요 ㅠ 제작성글보면 국영수공부법 뭐 칼럼쓴거있는데 거기에 국어비문학만써놨어요 ㅎㅎ

  • 낙엽지던곳 · 536525 · 15/12/23 00:54 · MS 2014

    고2 11월 모의 국영수232이고 과탐 노베이스 수준인데 330일 남았습니다.
    미친듯이 한다면 현역으로 의대 가능할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01:00 · MS 2010

    가능하죠. 사례많구요. 다만 지금이시기에 방향을 확실히 정하시길 바랍니다. 100미터 달리기 아무리 개열심히 뛰어도 혼자 사선으로 달리면 남들보다 배는 더해야하니까요

  • 안냐안냐 · 629458 · 15/12/23 00:55 · MS 2015

    현역 정시 올인이에요!
    학교에서 자다가와서 7시부터 공부하는데
    하루에 모든과목 다하기 힘든거 같아요..
    국영수중 두개 사탐 둘중 하나
    이렇게 하면 1시나 2시
    현역 정시러 시간을 어디서 구하죠..
    내신도 3점대라 논술을 해야하는데
    논술은 언제하죠...
    모고는 국영수는 111이떠여
    사탐은 이제시작해서 개념떼느라 시간 많이 들이는듯

  • ㅣBinㅣ · 336627 · 15/12/23 00:59 · MS 2010

    현역은 그게참흠이죠... 잔 재동다녔는데 수업시간 너무많아서 몰래 공부하거나 그냥공부하거나 했네요...아니면 듣는척하면서 단어를외운다던가 ㅎㅎ.. 그래도 111나오고 계신다니 다행이네요 탐구가 개념어느정도되고 문풍로넘어가면 그나마 괜찮아질거예요 후반부가먄 되려 뭐해야할지모르는시기가 올수도. 다만 너무 무리하시지 마시고 페이스유지하시길바랍니다

  • 안냐안냐 · 629458 · 15/12/23 01:03 · MS 2015

    논술 노베이스인데 시작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방이라도 학원이 좋을까요?

  • 코라손 · 610555 · 15/12/23 01:20 · MS 2015

    현역 이관데 수a에 생1지1 응시했습니다
    ㅠㅠ수학이 너무 노베이스라 올겨울애 수학하나는 어떻게라도 잡아놔야할것같은데
    수학이 개정된다고해서 개념서같은것도 뭘봐야할지모르겠네요ㅠㅠ
    지금이시기에 수학 노베 이과는 뭘하는게 좋다고생각하시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16:34 · MS 2010

    베이스가 없으시다니 딴거다체져두고 인강들어야죠.. 혼자책으로 하시면 방향도 그렇고 뭐가 중요한지 뭘 어떻게 습득하고 어떻게 문제에 적용할지에 대한 막막함이 크실거예요

  • Messi · 568570 · 15/12/23 08:11 · MS 2015

    자투리시간엔 뭐하셨어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16:33 · MS 2010

    자거나 영어공부했죠!

  • 한석만의 알파테크닉 · 527410 · 15/12/23 10:47 · MS 2014

    한석만의 알파테크닉 님의 2016학년도 대수능 성적표

    구분 표점
    국어 A 106 57 5
    수학 B 122 93 2
    영어 117 77 3
    물리1 66 96 1
    화학1 63 92 2

    수능수학2면 과외 만들기 힘든가요?ㅠㅠ

  • ㅣBinㅣ · 336627 · 15/12/23 16:33 · MS 2010

    만점도 힘들어요 ㅠㅠ 과외자체가 얼마없어서.. 그래서 인맥미만잡이라고들 합니다..

  • :이긴다 · 572911 · 15/12/23 18:58 · MS 2015

    개념서n회독하실때 그냥 똑같은 수준으로 읽으셨나요? 어떤방식으로 하셨는지 ... ㅜㅜ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06 · MS 2010

    네 그렇죠. 계속 반복하다보면 너무익숙해서 슉슉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중요한 부분은 처음하는것처럼 꼼꼼하게 되짚어보는게 중요합니다.

  • 안냐안냐 · 629458 · 15/12/23 21:25 · MS 2015

    검토는 어떻게 하나요? 계산실수나 지문 잘못 읽은거는 잡아내기 힘들단데 ㅠ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07 · MS 2010

    전 지문잘못읽는거 막으려고 영어같은경우 첫문장~두번째 문장은 세번씩 읽고 들어갔구요.. 수학계산실수는 정말.. "평소싫어하던애가 문제푼거 어떻게 흠잡아보려고 뜯어보듯이" 검토해야해요. 물론 평소에 많이 해보셔야하구요.

  • 헥쿤 · 496559 · 15/12/23 21:48 · MS 2014

    흠. 국어기출분석? 하신방법좀 간단하게나마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ㅣBinㅣ · 336627 · 15/12/23 23:47 · MS 2010

    제 게시글중 국영수공부법끝 글 참고해주세요!

  • 성냥개비 · 595184 · 15/12/23 22:23

    수학기출 마플vs 마더텅

  • ㅣBinㅣ · 336627 · 15/12/23 23:46 · MS 2010

    마플

  • 성냥개비 · 595184 · 15/12/24 00:11

    이유는요?

  • ryeorkwk · 620487 · 15/12/23 22:25 · MS 2015

    수학문제경우 진짜모르겠을때에도 답지안보는게 낫나요?????????? 그리구 아예 지금 개념새로떼는중인데
    개념익힐때도 답지 안보는게 나을까요?ㅠㅠ 새로공부하는중이라..

  • ㅣBinㅣ · 336627 · 15/12/23 23:46 · MS 2010

    개념익히시는 단계일땐 차라리 적극적으로 보시는게 낫습니다. 다만 답지를 보신후 아쉽네뭐얔ㅋ 하는 짓만안하시면됩니다.

    그리고 100을풀었을때 80은 쉽게풀고 20이 안풀일때 그 20에 해당하는 문제들은 답지를 안보시고 고민하는것이 맞습니다

  • 통계학과 가고싶다 · 561095 · 15/12/24 00:17 · MS 2015

    고2 올라가는 이과생인데요 미적분1이 수능에 안나오는 과목이잖아요 그래서 쎈 푼다음에 기출까지풀 필요는 없을까요? 그냥 일등급수학이나 블랙라벨로 넘어가는게 현명할까요??

  • A-Yah-yAh-yaH-Y · 573419 · 15/12/24 11:24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13 · MS 2010

    저같으면 3점+ 쉬운4점 기출을 2-3회독 할것같습니다. 분명 미적분2는 미적분1 연장선에 있을테니까요.

  • 개이득 · 557296 · 15/12/24 01:33 · MS 2015

    고2 11월 모의 243에 사탐 노베이스인데
    정말 미친듯이하면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들어갈수 있으려나요...?

    그리고 국어는 마닳만 풀고있고 문법은 전형태문법으로 잡을 생각인데 문법외에 다른강의를 들을필요가 있을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24 · MS 2010

    지금까지 국어를 어떻게 하셨었는지가 중요하겠죠?

    저라면 1월되기전까지 공부법 찾아보고 (인터넷이든 뭐든) 확립한뒤에,
    1월과 2월 진짜 열심히 해서 3월모의고사 보고 결론짓겠습니다.
    진짜열심히 해야 이게 맞는지 틀린지, 맞았으면 왜 만점은 안나왔는지 틀렸으면 왜 틀렸는지에 대한 대책을 세울수가 있거든요.

    다른과목 다 그렇게 해보세요.

    방향만 금방 설정 잘되면 성적은 금방오릅니다. 목표도 이룰수있죠.

  • 율코데 · 582484 · 15/12/24 01:38 · MS 2015

    사탐 추천이랑 수학 내신 4등급 뜰 정도로 노답인데 개념이 너무 부족한 것 같아요.
    교과서로는 수능을 대비할 수 없으니까.. 공부 방법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33 · MS 2010

    문과 학생이 수학을 쉽게 성적올릴수 있는방법은, (초반에)

    웃기만 말씀하신 교과서로 일단 기본공식만 간단히 익힌후,

    기출 2,3점 짜리들만 푸세요.

    간단하게, 5번 정도?

    딱 5번만 쉬운문제들 풀고나서 교과서나 개념서를 다시 읽으면
    처음 읽을때랑은 이해도가 다른걸 느끼실 겁니다.

    이제 거기서 인강으로 넘어가도 되고, 차츰 난이도 높은 문제집에 도전해도 되구요.


    근데 대부분이 그 처음 5번 풀생각을 안합니다.

    구구단 같은거예요. 처음 구구단 배울때 (유치원땐가..) 바로바로 튀어나오시나요?
    안되죠. 안되니깐 꾸역꾸역 손으로도 해보고 뭐 물건같고 어떻게 해보고 하다가
    그렇게 여러번 하다가 보니깐 어느순간 뇌안거치고 바로 튀어나올정도로
    간단하고 쉬워지죠.

    수학도 마찬가지예요. 많이 푸심됩니다. 100% 내가 이해하고 가야 뭔가가 되겠지
    하지 마시고 공식만 가지고 풀수있는 문제들, 아니면 쪼오금 의 응용있는 3점짜리들 먼저 5번 푸세요.

    그리고 상식적으로, 처음과 두번째 풀땐 어떨까요

    어렵겠죠? 막히겠죠? 답지 보셔도됩니다. 어떻게든 두번,세번 까지 꾸역꾸역
    해보고 나면 실력많이 늘어있을거고 풀수있는 문제도 많아졌을 거예요.
    구구단처럼요

  • 트롬본 · 580379 · 15/12/24 01:42 · MS 2015

    문과이고 수능은 5등급인 재수생입니다..
    학원은 문제풀이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해서 개념을 한번 혼자 돌려볼 생각입니다.
    그런데 인강을 누굴 들어야할지 잘 모르겠고, 어떤 개념서가 좋은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개정이 되면서 기출을 뭘 풀어야할지 모르겠는데, 언제쯤 2017개정대비 기출문제집이 나올까요?
    또 나오기전까지 뭘 풀어야 할까요?
    저같은 노베이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리고 문과는 상대적으로 등급올리기에 수학이 가장 쉽다던데 수학에 매일 공부량 중 50정도 투자하면 될까요?
    물론 수학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기본기가 없습니다..
    (인강관련이나 개념서관련은 댓글로 알려주시기에 민감한 사항이시면 쪽지로 보내주셔도 됩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41 · MS 2010

    5등급이시면 제가 위엣분에게 드린 댓글이 비슷하게 적용될것같습니다.

    당장의 어떤 인강,개념서가 도움되는 등급이기보다는 쉬운문제를 많이푸는게 도움되는 등급이십니다. 그래서 당장쉬운 문제는 어느정도 풀리지만, 내가 푸는 문제들이 어떤의미인지, 왜 그렇게 풀어야 하는지 에 대한 것들은 잘안되는 상태에서, 그제서야 그런 학습을 인강으로 해결하시면 됩니다.

    제가 많은 문과학생들을 가르쳐왔고 가르치고 있지만 제일 효율적인 방법같습니다.

    너무 안되어있는학생들에겐 교과서라도 5번씩 풀라했었습니다. 아무리 안되도 많이풀면 익숙하고, 이해도란게 생기기마련이더군요. 근데 그것들이 없이 그 다음을 하려하면 이제 막히는거죠.

    다른 질문들은 그 이후에 답변해도 될 것같습니다 ㅎㅎ.

  • 트롬본 · 580379 · 15/12/24 22:40 · MS 2015

    제가 완전 기초가 없는 건 아니고 어느정도 개념은 잡혀있다고들 선생님들이 말씀하시더라고요.
    다만 문제를 덜 풀어봐서 그렇다고..
    어쨌든 제가 2,3점 모아놓은 문제집은 얼마전부터 풀고 있습니다.
    거기서 1~2문제빼고는 다 맞고 더 틀릴때는 계산실수일 때가 많더라고요.
    (무리함수같은 부분은 개념이 거의 없어서 그런지 많이 틀리더라고요.. 답을 봐도 잘 이해가 되지 않고..)
    그래도 일단 5번 반복한 후에 인강을 듣는 것이 나을까요?

  • 가래스상윤 · 559427 · 15/12/24 01:47 · MS 2015

    이제 고3되는 이과입니다. 제가 학원도 다니면서 현우진선생님 풀커리 타려 그러는데 좀 무리인가요? 학원은 그렇게 빡세지는 않고 그냥 적당하게 숙제내주는정도인데.... 그리고 쪽지 보내도 되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42 · MS 2010

    현우진쌤은 인강인가요? 괜찮습니다. 많이들 그렇게 하더라구요. 다만 두개를 하는데 두개 가 커버가 모두 안된다. 거의 커버가 반반씩만 된다. 이러면 비추입니다. 체화가 안되는 공부를 하고있는건 삽질중의 삽질이거든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46 · MS 2010

    쪽지보내주셔도됩니다 ㅎㅎ

  • 문과만쉐 · 567995 · 15/12/24 02:15 · MS 2015

    확통 학원이 괜찮을까요 현우진t 시발점이 괜찮을까요

    그리고 국어 영어 혼자할건데 겨울방학에 뭘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막 마닳풀고 ebs 풀어야하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49 · MS 2010

    국어는 기출푸셔도 상관없는데, 영어는 (상태가 어떠신지 제가 정확히 모르겠다만) 제 글중 "국영수공부법" 글 보시면 "문장노트" 공부방법이 있습니다.수학강사가 꿈인 저이지만 굉장히 추천하는 방법이고(ㅎㅎ..) 매년 문장노트방법 괜찮았다고 쪽지도 많이 옵니다.
    고3때 3등급고정이었는데 재수때 고정만점만들어준 방법이었습니다.

    너무극찬했나요 ㅋㅋㅋ 그래도 확실히 수능영어가 추구하는 것에 걸맞는 방법이라 지금도 생각합니다.

    수학은 정모르겠다 하면 인강들으세요. 다만 풀문제가 조금 부족하실수도.. 확통,기벡 이쪽은 확실히 문제를 많이 풀어보긴해야해서.

  • 문과만쉐 · 567995 · 15/12/25 10:18 · MS 2015

    답글 감사합니다!

  • 끼리빨리꾸 · 517666 · 15/12/24 02:48 · MS 2014

    이과수학하려는데요 사칙연산말고 아무것도모르는데 초등수학부터해야하나요? 이과인데..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49 · MS 2010

    네... 제친구는 2년잡고 처음부터 했네요..

  • 끼리빨리꾸 · 517666 · 15/12/24 19:09 · MS 2014

    2년장기로잡아야하나요?

  • 라이스 · 559771 · 15/12/24 20:47 · MS 2015

    결국 어떻게 됬나요?

  • 또리 · 635400 · 15/12/24 02:52 · MS 2015

    물1 생2 노답? ㅠㅠ 친구들은 다 노답이래여..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52 · MS 2010

    생2가 쫌...ㅎㅎ

  • 17수능인 · 613448 · 15/12/24 03:25 · MS 2015

    정시올인 및 논술 조금 생각하고 있는데요.
    논술은 어느선에서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정시올인이라 6논술로 모두 상향지원 넣을생각입니다ㅋㅋㅋㅋㅋ붙으면 잭팟 떨어지면 돈날리기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57 · MS 2010

    ㅋㅋㅋㅋㅋ..
    논술기출몇번풀어보기 + 평소 수학문제풀때 과정에서의 논리성따져보기.
    정도로 해주세요 ㅎㅎ

    정시올인이면 사실 평소 수학문제 풀때 조금더 신경쓰는 정도만?

  • 17수능인 · 613448 · 15/12/25 10:34 · MS 2015

    학교에 논술잘하는 분이 계시는데 그런분한테 논술수업드ㅡ고 해도 좋겠죠??

  • 리미이 · 595995 · 15/12/24 04:33 · MS 2015

    문과 재수예정인 사람인데요
    수학은 개념인강+기출+인강교재 이런식으로만 해도 될까요? 아니면 사설 문제집(블라 쎈 등)도 다 푸는게 좋을까요? 또 시기를 잡는다면 언제부터 사설문제집 등도푸는게 맞을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00 · MS 2010

    일단 6월까지 기출문항들을 5~6번정도 다 풀어본다. (아니면 7월이나 그 이후도 괜찮.) 정도로 목표를 잡으세요. 그 이후에 사설문제나 실모풀어보시는게 낫습니다.

    기출을 좀 확실히 하시는게 중요한데, 제가 경험하기론 1등급 아래로는 기출도 확실히 못푸는 분들이 많습니다..

    1등급에 가까우시면 시기를 좀 가까이 하셔도 되구요. 그리고 블라+쎈 풀빠엔 대성,유웨이 모의고사 구해서 풀겠습니다.(in 홀로서기) 그나마 블라+쎈보다는 낫고, 계산연습하기 좋은 문제들이 있거든요.

  • 리미이 · 595995 · 15/12/24 18:45 · MS 2015

    기출을 확실히 한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ㅠㅠ

  • 고양이고향은고양 · 493209 · 15/12/24 05:42 · MS 2014

    1. 과탐 완자로 개념복습중인데, 기출문제는 무슨 문제집으로 푸는게 좋을까요? 해설 좋은 걸로 알려주세요~
    2. 수학생질듣고있습니다. 문과에서 전향해서 기초부터 제대로 해야해서요. 알텍까지 다 듣고 기출풀려는데 지금 개정수학기출문제집이 나온게 있나요? 4월쯤에 알텍 들을 것 같은데 알텍 다 듣고 기출 n회독하면 2등급은 가능할까요?
    3. 국어는 1등급~2등급 극상 고정이어서 하루에 리트 2지문만 푸는 정도로 공부중입니다. 일단 지금은 이정도만 해도 괜찮겠죠?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08 · MS 2010

    1. 생물같은건 올인원 이런거 풀었었는데.. 다른건 그냥 자이스토리로 푼것같아요. 다른분들 의견참고하시는게 나을것같습니다. ㅎㅎ

    2. 알텍들으실즈음에 책들 충분히 나올것같습니다. 열심히만 하신다면야 2등급은 쉽죠. 다만 알텍들으실때 반복충분히해주시길 바랍니다.

    3. 네 괜찮습니다. 저도 재수할땐 언어 그냥 안했었네요.

  • 연대치대17 · 511513 · 15/12/24 09:51 · MS 2014

    빈님께서 국어 강민철선생님 수업들으셨다고 들었습니다! 이번에 저도 들으려고하는데 하위권도 들어도 괜찮을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15 · MS 2010

    흠. 한번들어보시는게 나을것같아요. 저번에 보니깐 힘들다던 사람도 있고해서, 딱 첫강의만 들어보세요.

  • 류쥰열 · 435213 · 15/12/24 11:10 · MS 2012

    독재하면 실패하나요? 독재 성공하는 노하우 좀 알려주세요

  • A-Yah-yAh-yaH-Y · 573419 · 15/12/24 11:27 · MS 2015

    저한테 질문하신건 아니지만 답글을 달아드릴께여.
    집독재-99% 망함. 고승덕급 의지없으면 매우 힘듬.
    도서관,독서실 독재- 케바케. 그런데 하루종일 하면 힘듬. 주변에 놀 곳(pc방 기타등등) 있으면 초인적인 의지로 안가야함.
    독재학원-모르겠음. 아무래도 관리를 해 주니 다른것보단 나을듯. 단점은 비용.

  • 류쥰열 · 435213 · 15/12/24 11:30 · MS 2012

    재종이랑 독재랑 비교했을때 저랑 더 맞는 선생님을 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자습시간도 많아서 독재가 훨씬더 좋을꺼 같은데 왜 독재성공률이 재종성공률보다 낮나요?

  • A-Yah-yAh-yaH-Y · 573419 · 15/12/24 11:35 · MS 2015

    재종은 아침 8시까지 와서 강제로 수업도 듣게하고, 자습도 강제로 시키는데. 독재는 관리해주는 사람이 없거든요.. 진짜 강철의 의지가 아닌이상 풀어집니다... 본인을 믿으면 안되여.. 독재는 하다가 좀 피곤하면 오늘정도는 쉬어도 되겠지? 그리고 망합니다. 요즘 하이브리드형인 독학기숙학원 생기던데 결과물은 아직 안나와서 모르겠네여. 독학기숙학원은 공부시간은 확실히 뽑아 낼 수 있겠죠?

  • 류쥰열 · 435213 · 15/12/24 18:37 · MS 2012

    관리빡센 독학기숙학원 추천해주세요

  • A-Yah-yAh-yaH-Y · 573419 · 15/12/24 19:00 · MS 2015

    독학기숙학원 여러곳 가본사람이 있을까여.. 전 잘 모르겠습니다. 고르신다면 기준을 수능등급컷 최저있는곳 고르세요

  • D.RS · 624701 · 15/12/24 22:28 · MS 2015

    만약 독재학원이 강제성 ( 8시까지 등원, 한달에 3번 이상 지각하면 퇴원 그리고 주말에 강제자습 시킴) 이 있다면 어떤가요?

  • A-Yah-yAh-yaH-Y · 573419 · 15/12/25 10:36 · MS 2015

    과연 그게 지켜질까요.. 지켜진다면야 좋죠. 강제성이 중요한거니까요. 메이저 학원이 아닌이상 학원생이 갑이니...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19 · MS 2010

    전 최대한 말리고싶습니다..

  • 류쥰열 · 435213 · 15/12/24 18:38 · MS 2012

    빈님은 왜 독학재수 반대하세요? 빈님 독학재수하시지않으셨나요?

  • 리미이 · 595995 · 15/12/24 18:47 · MS 2015

    ㅇㄹㅇ

  • ㅣBinㅣ · 336627 · 15/12/24 19:07 · MS 2010

    아뇨 전 재종다녔어요. 물론 수업다 무시하고 독학하듯이했지만요.

  • 류쥰열 · 435213 · 15/12/24 21:15 · MS 2012

    수업을 무시하고 독학하듯이 하셨다는 말씀은 수업이 맘에 안드셨다는 말씀인데 그런 수고를 감수하면서 까지도 재종에 남아있으셨던 이유가 있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3:28 · MS 2010

    네... 제가쫌 집중력이 부족한사람이라 공부하면서 주변에 보는눈이 필요했고 자극도 받고 좋았어요.

  • LLAP · 406957 · 15/12/24 12:12 · MS 2012

    지금 제가 친척동생 과외를 하고있는데 예비 고3인 학생이 고1 수1 단원도 이해를 못해요...
    인수분해 그 단원이요....
    간단한 연산인데....
    어떤 식으로 수업을 해야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20 · MS 2010

    제가 그런 학생들 가르쳐봤었는데, 구몬학습지 하듯이 쉬운문제들 쫙가져다가 계속풀려야 해요. 선문풀 후이해.

  • 17지스트 · 514462 · 15/12/24 14:13

    국어 고정1 영어 고정2 수학 2~4진동 생1 고정1 화1 1~2 인데 방학때 수학 영어 잡으면 과탐2 과목 해봐도 될까요ㅠㅜ? 과기원가고싶어서..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23 · MS 2010

    네 당연하죠 ㅎㅎ

  • 으야아아 · 610331 · 15/12/24 14:55 · MS 2015

    이과 논술 혼자서 준비하는거 도박이라고 보시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24 · MS 2010

    네... 수능에 비해 확실히 온라인에 정보도 많지않고해서.. 뭐인강을듣는다 이런거면 좀 낫지만.. 그리고 첨삭이런건 확실히 필요해요.

  • 서1울6대 · 573254 · 15/12/24 15:22 · MS 2015

    반수or재수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2016수능에 한국사랑 사문 선택했는데 사탐으로 한지와 동아시아사중 추천좀해주세요 (우리나라지리 거의 모릅니다ㅎㅎ)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29 · MS 2010

    제가 이과라 ...죄송합니다. ㅎㅎ

  • Addendum · 546713 · 15/12/24 15:51 · MS 2014

    교과서로 단원 예습하고 신승범 강의 + 메가N제 + 고쟁이 + 기출 이런 식으로 겨울방학 때 하려고 하는데 괜찮아 보이나요?? 예비 고3 문과입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32 · MS 2010

    너무 많지 않나요?? 저라면 n제는 미루고 기출이랑 고쟁이에 좀더 투자합니다.
    한번볼거 두번보는거죠.

    수학은 여러개를 동시에 하느니 하나를 여러번해서 여러개를 하는게 낫습니다.

  • KIM'S man · 528561 · 15/12/24 16:18 · MS 2014

    저 이번에 수능 물리1 등급 4 나왔는데요...
    진짜 열심히 했거든요.
    기출은 3개년 5번 정도 풀어보았고, 완자 개념서 1회독, 수능특강 3회독, 수능완성 2회독, 파렉, 학원에서 나눠준 사설 모의고사 시간재서 풀고...
    연습시험보면 그래도 40점 중 후반 나오는데 모의고사나 수능은 40점대 절대 안나오네요.(참고로 재수생이요. 요번 6월은 하도 쉬워서 45점이긴 합니다.)
    제가 공부를 다른 1등급 받는 분들보다 덜한걸까요?
    아니면 소위 말하는 물리머리가 아닐까요?

  • A-Yah-yAh-yaH-Y · 573419 · 15/12/24 17:05 · MS 2015

    전 너무 늦게 전역해 기출도 못풀어보고 수특 한번, 수능완성 1번 개념서 3회독, 개념인강 1회듣기 해서 수능 2등급 나왔어요. 이번 물리 보니 물리머리는 중요하지가 않고(역학 x애인입니다. 내가 어찌 역학문제 푼거징..) 개념을 얼마나 잘 아나가 중요한거 같더라구여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41 · MS 2010

    양을 좀 늘려보심이 어떨까요.전 기본적으로 탐구는 4번째 쪽 외에는 굳이 뇌를 안쓰고 슥슥슥 풀만큼 문제를 풀어야한단 입장이라서..

  • 상록 · 606824 · 15/12/24 16:19 · MS 2015

    예비 이과 고3입니다. 수학 내신은 3,4등급 모의고사는 3등급정도 나오는데요.
    수학을 지금까지 제대로 안했다는 생각이 들면서 자꾸 불안합니다.
    개정 수1,수2부터 다시 복습할 수는 없을거 같은데 그냥 미적분1부터 복습하는게 좋을까요?아니면 그냥 미적분2,기벡,확통만 열심히 하는게 좋을까요?
    수학공부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44 · MS 2010

    미적분 1부터 하시되 수1수2 개념에서 부족한게 보이면 그 때 수1,수2 해당부분 잠깐봐주는 정도로 해주세요 ㅎㅎ. 수학공부관련글은 제가 곧 글로 다시 쓰겠습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4 17:34 · MS 2010

    댓글주시면 제가 늦더라도 다 답해드리겠으니 편히 달아주세요...

  • 올리브 · 583632 · 15/12/24 17:54 · MS 2015

    저는 예비고2인데요 과탐을 방학동안인강으로 들으려고하는데
    인강으로만듣고 문제풀면 내신이나 수능에서 점수가 잘 나올까요?
    학원 안다녀도 될지요,,,,학원은 쌤은 별로지만 보충자료나 문제자료가 풍부하다고들 해서요
    인강만 들을경우 문제는 서점건 다 비슷하고 어디서 구해서 푸는게 좋을까요
    기본개념서 문제 다풀면 수특 이런거 풀어야하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9:09 · MS 2010

    네 탐구는 있는거 다풀어야해요. ebs 랑 시중 문제집 + 홀로서기 가시면 대성,중앙,종로 사설 모의고사 탐구 묶어서 팝니다. 얼마안하니깐 주문하셔서 또 왕창 푸세요.

    내신은 수업을 또 따로 열심히 들어야겠지만(서술형같은거..) 수능까지 보시면 결국 얼마나 많은 문제를 풀었냐 + 오개념,오답,개념복습을 얼마나 꼼꼼하게 잘했냐 에서 갈리겠네요.

  • 경찰대에 가고 싶어요 · 489740 · 15/12/24 18:13 · MS 2014

    안녕하세요 예비고3입니다. Bin님 칼럼 잘 보고 있어요ㅎㅎ 우선 모의고사치면 국어는 1~2 수학 2 영어 2~3나옵니다.
    1)영어가 제일 급한데요ㅠㅠㅠ 올해 수능완성풀고 구문노트 만들고있습니다. 그런데 편차가 너무 큰것같아요ㅜㅜㅜㅜ 컨디션 좋을때는 12학년도 수능 2개 정도 틀리는데 안좋으면 80점대 더할때는 70점대도 나오네요ㅠㅠㅠㅠ 어떡하죠??
    2)그리고 수학이 2등급에서 안올라요 처음으로 신승범선생님 커리 타고있는데 불안하네요. 선생님이 시키시는거 다 하려면 기출까지 하기에는 빡빡한 감도 있고... 기출을 먼저 풀고 인강듣는게 나을까요? 인강 듣고 기출 푸는게 낫다면 언제 시작해야할까요?
    3)국어는 문학이 조금 부족한 것 같아서 쏠티북스에서 나온 '문학개념어와 논리적 해석'이라는 책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물론 여러번 반복해서 봐야겠지만 모의고사풀때 배운걸 적용시킨다는 느낌이 전혀 없는것 같아요. 인강을 듣는게 나을까요?
    4)내신이 쓰레기라 논술 준비를 하려고 하는데 시간 배분을 어느정도 해야할까요? 또 정시에서 내신이 합격자를 가를 만큼 영향력이 큰가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9:19 · MS 2010

    1) 2개 틀리든 80점대든 비슷하다 생각하시고, 틀리는게 생소할정도로 구문노트 열심히 해주세요. 어느정도 하다 보면 "틀린갯수" 가 문제가 아니라 한 시험지에서 모르는 (한번에 안읽히는) 문장이 몇개인지로 실력을 따질때가 올거예요 ㅎㅎ 저 한 8월쯤 처음으로 단한문장도 막힌게 없는 시험지가 나왔네요..

    2) 이과신가요 문과신가요? 이과면 이리저리 다하는게 맞다만, 문과시면 일단 기출을 먼저 풀라 말씀드리고 싶네요.... 다만 제가 신승범쌤은 안들어봐서 어떻게 기출이랑 매칭시켜드릴수가 ㅠㅠ 아쉽네요..

    3) 적용시키는 느낌이 없으면... 아마 실전적인것이 부족하다는 말씀인가보네요.
    다른 인강이 맞으실 것 같습니다.

    4) 그렇게 크진 않습니다. 수능점수가 우선이되, 챙길수있다면 챙겨야겠지요.
    3학년 초반엔 일단 수능점수에 신경쓰고 주1회정도 논술에 투자하되, 여름방학 이후 점차 늘려주세요.

  • 다누 · 489740 · 15/12/24 20:33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앞으로가자 · 574184 · 15/12/24 18:25 · MS 2015

    수학 기출을 분석한다는게 어떤식으로 하는건가요?

  • 리미이 · 595995 · 15/12/24 18:46 · MS 2015

    ㅇㄹㅇ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45 · MS 2010

    제 공부법글들은 작성글보기 누르시거나 제블로그가면 있습니다~

  • :이긴다 · 572911 · 15/12/24 18:51 · MS 2015

    영어지문 먼저 해석하고 해석 됬더라도 맞았는지 해설 꼭 봐야되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8:59 · MS 2010

    초반어느정도문장학습할때에는 그렇게 해주시고, 후엔 긴가민가 혹은 한번에 안된 문장만 확인해주세요.

    + 전 한번에 해석안된문장은 (두세번읽어서 해석된 문장은) 그냥 공부가 덜된 문장이라 단정짓고 따로 노트에 적어 복습했습니다.

  • 칼세이건 · 557926 · 15/12/24 19:09 · MS 2015

    문과에서 이과로 전과 많이 힘들까요?? 수학하고 과탐을 공부시간 90%할당한다 할 때

  • aQmTgDWGF3v6Rd · 598210 · 15/12/24 19:14 · MS 2015

    저가 문과에서 이과로 의대가려고 전과한케이슨데요ㅋㅋ진짜 굳은 각오와 마음가짐으로 공부하셔야 합니다ㅋㅋ 당연히 힘들고요 문과때 수학성적은 잊어야함

  • ㅣBinㅣ · 336627 · 15/12/24 19:20 · MS 2010

    그쵸... 탐구보다 특히 수학이 힘들어요.

    수학 자체만으로도 힘든데 애초에 같이 등급매겨지는 이과학생들이 또 수학을 잘해서
    더더더잘해야 등급이 나오는구조입니다..

  • 칼세이건 · 557926 · 15/12/24 19:33 · MS 2015

    허.... 이과 잘 몰라서 그런데 수 1등급 아니면 일류대는 힘든가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19:37 · MS 2010

    수학이 잘나오면 편하죠. 반영비율이 제일높으니.
    그래도 2등상위정도에 다른과목(특히 탐구)이 높으면 괜찮습니다.

    근데요즘은 1등급이랑 2등급이 1문제 차이라.. 다맞는다 생각하고 하셔야죠.

  • 칼세이건 · 557926 · 15/12/24 19:45 · MS 2015

    수B에서 기벡이 그렇게 어려울 거라던데 주구장창 파면 그래도 되긴 할까요?? 그리고 과탐은 지2 물1 생각하는데 별로일까요..

  • aQmTgDWGF3v6Rd · 598210 · 15/12/24 19:37 · MS 2015

    아니요 이과는 의치대가 있자나요ㅋㅋ 이과는 문과보다 대학 가기는 쉬워요 학교보단 전공을 보고 가니까ㅋ 수1등급 아니어도 다른거 잘보면 커버됩니다 그래도 수1 등급 맞는게 확실히 유리하죠 가중치 주는데도 있으니까

  • kelly0309 · 545120 · 15/12/24 19:39 · MS 2014

    1. 현재 수학 기본서를 정석으로 공부하고 있는데요, 정석 연습문제가 수능과 거리가 멀고 문제 유형도 다르다며 푸는걸 비추하는 내용의 댓글을 봤는데, Bin님이 보셨을땐 어떤가요?

    2.현재 고1이고, 이제 고2에요. 1학기 내신은 4등급, 2학기내신은 3등급정도 나왔는데요 (국영수사-문과입니다) 목표는 서울권대학인데(최소 중경외시라인까지) 2학년,3학년때 1등급 찍으면 저 1학년때 내신을 살릴수 있을까요? (일반 여고인데 내신이 정말 쎈 편입니다. ㅠ 한국사같은 암기과목 한개만 틀려도 50-60,심하면 90등대까지 밀려나요)
    모의고사는 내신보다 잘 나오는편인데 내신을 버리고 정시에 더 비중을 두는게 좋을까요ㅠ?
    (모의고사는 11모고 영어100(1등급) 국어92(2등급) 수학68(3등급)입니다 )


    3. 이번 방학에 수학을집중적으로 공부해서 2학년땐 80이상을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학교도 방학보충때 강의를 선택해서 들을수 있게 해주셔서 다 수학으로만 선택했구요 (수1,수2)
    과외도움받으면서 이번방학때 미적분을 공부할려고합니다. 근데 막상 미적분을 공부하니 생각보다 시간이 엄청 많이 걸리더라구요 ㅜ 수학만 하면 걱정이 없는데 영어 + 국어까지 하려니 막막해요.
    하루에 몇시간정도 수학에 배분하는게 좋을까요.. 이번 방학때 미적분 정석3번은 보려구하는데.. 계획을 어떻게 잡을지 고민이에요
    할수만 있다면 확통도 공부해가고 싶구요...너무욕심인걸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57 · MS 2010

    1. 네 맞는얘기입니다만, 일부문제(너무괴리가심한)는 과감히 버리되 연습이 될만한 문제는 푸는게 좋습니다. 전 수능 한달남기고 실력정석 싹다 사서 계산 복잡하고 한문제만 골라 풀었네요. 계산력키우려고...


    + 사실 수학은 어지간한 문제는 다 풀어제끼는게 절대실력향상에 좋습니다.

    2. 대학을 뭘로가냐에 따라 다르겠죠? 저라면 근데 내신은 계속 챙기겠어요 ㅎㅎㅎ
    근데 전 내신이 3.8 이고 정시로 서울대왔습니다. 논술은 안썻구요.
    챙길때까지 챙겨보되 안되겠다 싶으면 논술+정시 노리시면 됩니다.
    점수대보니깐 수학만 좀 살리면 (과탐이 잘 나온단 전제하에) 학생 학교에서 내신따는것보다 그냥 정시로 대학가는게 쉬울것같네요.


    3. 저도 고등학교때 했던 실수인데, 저라면 확통안건드리고, 건드린다면 그냥 훑어보는식으로만 할거예요. 공부시간은 전체의 60%이상을 수학에 쏟으시고, 다시말하지만 확통건드리지말고 그 이전을 좀 확실히 하는식으로 가세요.

  • 덴치 · 554581 · 15/12/24 19:39 · MS 2015

    수학은 마플로 기출 한번 돌리려고 하는데요
    수학이 미적분2 확률과통계 기하와벡터 과목이있는데 3월 모평 범위에맞춰 우선하려는데 이게맞을까요 아님 수학전범위를 방학때 훑는게 나을까요?

  • 덴치 · 554581 · 15/12/24 19:42 · MS 2015

    그리고 국어는 기출이 답인가요? 화작문이랑 비문학은 괜찮은데 문학때문에 등급이 다 깍이네요... 문학만 따로 차근차근풀면괜찮은데 모의고사보면 이상한 것도 틀려서요 시간재면서 풀면 나아질까요?

  • kts7890 · 578203 · 15/12/24 19:45 · MS 2015

    제가 글쓴이는아니지만 전범위 훝으세요 3월 잘보려는게 아니라 수능을 잘봐야되기떄문에

  • 덴치 · 554581 · 15/12/24 20:49 · MS 2015

    세과목다 마플 풀려는데 괜찮을까요? 해설이 별로라는 말이있어서 마더텅도 고민중인데 이 시점에서 해설의 질이 중요할까요 문제의 양이 중요할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49 · MS 2010

    근데 마플을 다 할수 있을런지.. ㅠㅠ
    보통 전범위 다하는게 맞긴합니다.
    해설 너무아닌거 같다 싶은 부분만 인강강사들 해설강의 들으세요.
    아니면 그냥 마더텅가세요.. 이번에 잘나온것같던데..

    그리고 문제양 너무 많으시다 하면 홀수번만 달리시고
    3월범위는 2월말쯤 다시한번봐주는 식으로 보충해주시구요.

  • 2nd 가사이 유노 · 586106 · 15/12/24 19:42 · MS 2015

    지금 문과고 수학5등급..입니다ㅜㅜ
    지금시점에선 수학을어찌공부해야하나요?
    Ebs개념강좌활용해두될까요..
    지금부터 열심히하면 만점될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47 · MS 2010

    네 ebs 개념들으시면서.. 기본+ 쉬운문제를 세번씩만 푼다하고 방학보내보시고, 3월모의지나고 결과 + 느낌을 쪽지보내주시면 계속 상담해드릴게요..

  • 2nd 가사이 유노 · 586106 · 15/12/25 08:43 · MS 2015

    감사합니당!

  • 얄라얄라얄라쏭 · 553695 · 15/12/24 20:02 · MS 2015

    확통 다 까먹었는데 인강들을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45 · MS 2010

    인강한바퀴하셔도 되고 빨리 하고프면 쉬운문제집 한바퀴돌리셔도 되구요.

    꼼꼼하게 가실거면 인강이 낫죠 ㅎㅎ.

  • 태의짱짱 · 528883 · 15/12/24 20:09 · MS 2014

    이과 11월모의고사 98 51 96 인데요...수학이너무안올라요 방학동안 수학 뭘어떻게 공부해야할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45 · MS 2010

    에고. 일단 3점짜리 기출만 1회독혹은 2회독 + 부족한 단원 인강. 이렇게만 해주세요. 차근차근 가시면 됩니다.

  • zxas219 · 609801 · 15/12/24 20:19 · MS 2015

    예비고3인데 지금 이시기에뭘해야될지 감이안와요 무엇을해야될까요?? 그리고 수학은 학원과 인강을병행하면 시간낭비일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42 · MS 2010

    너무 막막하시면 이런저런 사이트에서 공부법글읽어보시면서 과목별로 1년간 어떻게 할지를 생각해보세요. 저도 재수전에 그런시간갖은게 엄청 도움됫네요.

    학원과 인강둘다해도되는데, 인강이 못하는걸 학원이 커버해주는,이런식으로 하셔야지 학원과 인강이 겹치고 이러면 아무래도 낭비죠.

  • sosos132 · 591003 · 15/12/24 20:21 · MS 2015

    예비 고2인데요 미적1 수학 기본서 정석이랑 숨마 둘 중에 고른다면 어떤거 더 좋나요? 숨마는 문제 난이도가 급상승해서..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35 · MS 2010

    네 저라면 정석 기본유제를 여러번 푼다. 로 할것같아요..

  • ZaI7XkBnJ5mCtx · 624680 · 15/12/24 20:28 · MS 2015

    예비고3 문과이고... 모의고사 국어 영어는 고정 100 이고 사탐도 거의 만점선 이지만 수학만 너무 안올라서 힘이드네여...
    4등급 쭉 맞아오다가 이번 11월에 서야 2떴습다
    내신은 1점대 후반이구요.. 정시에 좀더 힘을 줄 생각이에요 내신식 외우는건 영 꽝이라 ㅠㅠ 힘들어서..
    국영사탐 점수때문에 대학 눈은 높아지는데 그에맞춰 수학을 올릴수 있을지가 두렵네요 정~말 가고싶은건 고대 정경과나 사학과 네요 ㅜㅜ
    우선 방학때 개념한번돌리고 기출 한번 돌릴생각인데... 그다음에 어케해얄지가 막막하네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35 · MS 2010

    기출최소 5번본다고 독하게 생각하시구요. 기출과 기출비슷한 문제집 어느정도만 풀어도 안정적인 2등급은 확보되십니다.(더욱이 문과시니.) 그 이후에 좀 어려운 문제에서 고민도 많이해보고 실모도 푸시면서 하면 될거에요. 시간많은 문과학생들은 양으로 밀어붙이는게 안전합니다.(3월에 성적나오고 다시 질문주시면 제가 상세히 답변해드릴게요. 개개인마다 사정도 다르고 해서 정확한 본인의 상태를 알면 제가 더 자세히 답변해드릴수있을것같네요 ㅎㅎ)

  • ZaI7XkBnJ5mCtx · 624680 · 15/12/24 22:36 · MS 2015

    넵 감사해요

  • Y9jk8qXBCSrtKy · 634655 · 15/12/24 20:40 · MS 2015

    공부 막시작한 초짜입니다. 수학 이번 겨울방학동안 끝내려고 지금 이비에스 개념수학돌리고 있어요. 근데 워낙 놀았어서 개념인강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배우지않은 개념때문인지 모든문제가 이해되진않더라고요. 그래서 일단 재껴놓고 나머지것들 누적복습하면서 공부하는데 과외가 답이겠죠?? 일단 수1수2미적분확통 이비에스로 개념 혼자돌린 후 과외해볼까하는데 그때 재껴뒀던 문제 해결하는 동시에 수학비법전수받는거 괜찮은가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32 · MS 2010

    괜찮아요. 과외는 문풀위주로 하시고 시간없으실것같으니 평소에 문제풀고 모르는것만 물어보는 시간 + 말씀하시는 비법(?)

  • 라이스 · 559771 · 15/12/24 20:49 · MS 2015

    수학 개념서는 어떤거 추천하시나요? 정석?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30 · MS 2010

    전 정석 괜찮다봅니다만 방향성없이 하기엔 어려운책이라봐요...
    바이블 많이보는것같습니다. 사실 거기서거기같아요 전부.

    그냥 인강하나 보는게 맘편할 수도 있습니다.

    공식정도만 한다 하시면 교과서
    간단한 유형풀이법만 알고싶다 하면 정석 기본유제만

  • 집중력부족 · 447589 · 15/12/24 21:03 · MS 2013

    수B 30번같은 최고난도 문제 맞추기 위해서 필요한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이번 수능에서도 유형화된 기출은 다 풀겠는데 30번 하나만 끝까지 못풀었네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27 · MS 2010

    전 두가지라고 봅니다.

    1. 29문항의 빠른해결로 40~50분 확보
    2. 사고력 ( or 낮은 확률로 어디서본기억 혹은 비슷한 문항 푼 경험)

    2번 같은 사고력 키우려고 고난도 문제풀면서 답지보지말라 하는겁니다.

  • 집중력부족 · 447589 · 15/12/24 22:46 · MS 2013

    제가 머리가 나빠서 그런지 사고력이란 단어가 크게 와닿지가 않네요ㅠㅠ
    그냥 저는 고난도 문제 보면 새로움+ 막연함+어떤 공식을 적용해야 하나+어떤 생각을 전개해야 하나 이런 생각이 들거든요..
    또 수능땐 허를 찌르는 신유형 고난도가 나오니까 그걸 맞출수 있을까 의문도 들고..
    말해주신 대로 그냥 고난도 문제 답지 안보고 부딪혀보는게 최선일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3:27 · MS 2010

    사고력이 거창한게 아니예요. 막 IQ 이런게 아니란거죠.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잘 모르겠다싶으면 고난도문제 많이 부딪혀 보는게 답입니다.

    제가 댓글중에 링크걸어논 기출분석법도 한번 참고해보시구요.

  • 집중력부족 · 447589 · 15/12/24 23:39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럴틀 · 619652 · 15/12/24 21:40 · MS 2015

    예비 고3 수학 11모 88 나왓는데
    수능떄는 안정적 2등급은 맞고 싶습니다.

    지금 신승범 수해 안밀리고 꾸준히 자이스토리 같이 풀고잇습니다...만은
    솔직히 좀 불안한 감이 잇는데요...

    수학 공부 좀 더 보충한다면 뭐를 좀 더 하는게 좋을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26 · MS 2010

    이과시라면 한참 더하셔야하구요.. 시중문제집은 반이상 풀어보셔야 한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지금 88점이면 수능때 1등급,혹은 만점 충분히 노려볼수있습니다.

  • 럴틀 · 619652 · 15/12/24 22:49 · MS 2015

    ?! 이번 모고 1등급 컷이 90인가 그럴건데......
    보통 고2 모의고사 수학보다 한등급씩 떨어지지 않나요... ㅎㅎ
    그리고 제 담임 선생님은 수학은 많이 푸는것 보단 하나 제대로 푸는게 좋다고 하던데... 역시 넓은 범위로 하는게 나을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3:11 · MS 2010

    제대로 많이풀어야합니다.. 이과수학에서 한문제한문제는 경험치예요.. ㅎㅎ

    그리고 88점에서 제가 가능성을 논한건 가만있으면 100점이 나오실수있다가 아니라 그에 걸맞는 노력을했을때 가능성이 있냐없냐입니다 ㅎㅎ.

  • hMVbIgUR8s0T19 · 614276 · 15/12/24 21:45 · MS 2015

    재수학원다닐 현역인데요 (자퇴생)
    1. 강남대성 본원 vs 강남대성 기숙학원
    2. 화1지1 vs 화1지2

  • ㅣBinㅣ · 336627 · 15/12/24 22:25 · MS 2010

    1. 본원이요. 기숙은 정말.. 어지간한 멘탈아니면 힘들다하더라구요.
    2. 지1지2 보다 화1을 걱정해야할것같은데, 화1 힘들지 않으시다면 지1,지2 상관없다 봅니다.

  • 라이스 · 559771 · 15/12/24 22:32 · MS 2015

    숨마쿰라우데는 어떤가요?

  • o0sM6A8JTgqye3 · 596705 · 15/12/24 22:38 · MS 2015

    이과 마플vs마더텅 어떤 문제집이 나을까요? 이유도 좀 같이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 모든 것이 멋지다옳! · 634536 · 15/12/24 22:55

    홍진호도 스타 7:1 못이기듯이

    수학도 공부할때 개물량으로 밀어부치면 결국 오르게 되어있나요?

    그리고 저 고2 맨처음 11월 모의 1등급 나왔는데 수능에서는 4등급 떴습니다

    기출풀때 내가 이런이런 조건이 나오면 바로 이런 것을 떠올리자 이런 생각으로 문제를 분석해야되는데 경우의 수가 너무 많이 나옵니다
    어떻게 해야되죠? 이과입니다

    예비재수생이고요 지금은 개념책+교과서 읽어보면서 알파테크닉듣고 수분감으로 기출분석하고있습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4 23:09 · MS 2010

    네 전 재수때 푼 문제수가 2만문제가 넘습니다. 물론 좀 미친듯이 풀긴했지만 확실히 경험치가 쌓이면서 내공이 키워지는게 느껴져요 ㅎㅎ. 물론 방향같은건 어느정도 잡혀있긴했다만 점수가 나와준건 문제를 많이 풀고나서네요. 고3땐 정확히 기출분석 + 기출 15회독햇구요. 수능때낮은 3등급떳었네요.

    그리고 기출풀때 그런마인드는 괜찮은데, 당연히 좀 경우를 줄여야겠죠.

    그러니깐 사실 문제를 많이푼다는건 이런거예요.

    축구할때, 본인한테 공이 어디서 어떻게 날라오냐에 따라 본인이 해야할 행동이 있죠?
    약하게 받는다던가 머리를 살짝빼면서 받는다던가 발을 들어서 받는다던가

    근데 그 상황에 직면했을때 그거 생각하나요??

    어 공온다 이건 발을 30%강도로 받아야지 그러려면 오른쪽 근육에 힘을 15% 주면 된다했었찌 - 이러지않죠?

    그냥 몸이 기억하는거고 알아서 반응합니다.


    수학도마찬가지예요. 엥간한 괴수분들은 정말 빠르게 풀어서 50~60분남기고 다풀고
    심지어 30번쯤가서 지우개 처음씁니다.
    문제 많이많이 풀어서 어지간한 문제는 뇌도 안씁니다.

    물론 조금 과장보탯지만 결국엔 능숙함,숙련도를 쌓으려 문제를 많이푼다. 라고 이해하시면됩니다.

    그 이전에 하는게 튜토리얼이구요. 그걸해주는게 개념책과 인강입니다.

  • 모든 것이 멋지다옳! · 634536 · 15/12/24 23:35

    그럼 제가 예를 들어서 벡터의 내적을 정리하고 있는데
    문제를 풀어보면서 느낀 것은 결국
    벡터의 내적은 3가지 범위 내에서만 이야기할 수가 있다
    직접 정의로 계산하던가
    고정점(원의 중심,구의중심)같은 곳에서 분해하던가
    정사영을 찍던가
    이런 것을 알고 저 세 분류법은 이미 개념을 학습할 때도 벡터 성분을 배울 때
    x축에 나란한 벡터 y축에 나란한 벡터의 합으로 생각했고 저렇게 생각하는것은 필연적이다 라고 생각하고 저 3개의 풀이법을 크게 생각하고 풀어나가는 것은 옳은 방법일까요?

  • D.RS · 624701 · 15/12/24 23:03 · MS 2015

    쪽지 확인 부탁드릴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3:26 · MS 2010

    답장드렸습니다.

  • n48ZCpziT · 607642 · 15/12/24 23:18 · MS 2015

    님강의안해요?

  • ㅣBinㅣ · 336627 · 15/12/24 23:26 · MS 2010

    합니다 ㅎㅎ

  • 뉴턴생리학 · 341306 · 15/12/24 23:30

    덧글까지 잘봤습니다. 굉장히 친절하시네요!
    전 대학다니다가 다시 수능 준비하는 수험생입니다. 현역당시 언수외 331 이였는데 그게 4년전이라
    노베이스라 생각하고 차영진T 인강 고1수학 개념부터 듣고 있습니다.일단 예정은 풀커리 탈생각이구요. 근데 궁금한게 ~회독이라고 하시는데, 봤던걸 다시 본다는 의미아닌가요?
    봤던 문제를 여러번 보면 답이 떠오르고 알던 풀이가 떠오르니까 이게 의미가있나 싶더라구요. 언수외탐 뭐든지, 회독은 어떤식으로 해야되는건가요? 수학문제풀때 책에 답을 표시하지않는방법쓰시나요??
    크리스마스 잘보내시길바랄게요!! 감사합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5 03:47 · MS 2010

    전 수능이건 뭐건 공부에 있어서 10회독씩 하는 방법을 실천해오고있습니다.
    확실히 사람은 내가지금학습하고 있는 이것이 본인것이 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스스로 알수없습니다. 뭔가 아는것같아도 꼭 시험봐보면 한두개씩 빼먹은게 나오거나 기억이안나거나 잘못기억했거나 하는게 튀어나오죠.

    해서, 시험이라는 그 긴장감넘치는, 일년간 제일 컨디션 안좋을 그 순간에도
    내가 아는 개념, 방법, 풀이 등이 떠오르게하려면
    정말 숨쉬듯자유롭게 개념들이 튀어나오게 해야합니다.
    그러려면 정말정말 본인한테 익숙해야하구요
    그러려고 반복에반복에 반복을 하는거죠.

    물론 풀이가 떠오르고 이런것들은, 복습할때 "응 아네 끝" 이런식으로 하시면 안되고
    풀이를 하나하나 되짚고 곱씹고 하셔야합니다.

    + 답이나 이런건 당연히 표시안합니다!

  • 보재기 · 520246 · 15/12/24 23:34 · MS 2014

    고3 이과생이었고 반수생각합니다. 그래도 조금씩 공부할거에요.
    수학이 항상 88점입니다ㅠㅠ 21,29,30 중에서 하나는 맞고 두개틀리는 구조에요.(다른 하나는 실수로 틀리고요) 이걸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5 03:50 · MS 2010

    일단 그 외 문제들을 조금더 빠르게 해결하셔서 시간을 확보해야하구요.
    그 다음은, 당연하겠지만, 고난도 문항많이 풀어보시면서 연습하는수밖에없습니다.
    다만 "정말"많이 풀어봐야겠죠.

  • 설공폭파 · 616383 · 15/12/24 23:51 · MS 2015

    예비고3 인데요 3월까지 미적분2,확통,기벡 개념떼고나서 그 이후에 기출들어가는데 늦은건가요?
    개념서 -> 알텍 -> 기출계속풀생각입니다 조언좀해주세요~!

  • ㅣBinㅣ · 336627 · 15/12/25 03:53 · MS 2010

    아뇨 늦지않습니다. 물론 빠른것도 아닙니다만, 괜히 조급해하셔서 대충대충 하다가 망하느니, 본인 상태에 맞춰서 차근차근 계획하신대로 하는게 맞다봅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4 23:52 · MS 2010

    여자친구랑 영화만 보고 오겠습니다..... 새벽3시쯤에 댓글달릴거예요 ㅠㅠ

  • protonphoton · 564357 · 15/12/25 00:08 · MS 2015

    수학 인강 신승범t가 평이 안좋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글구 영어 구문을 천일문 완성으로 독학하는게 좋을까요, 인강을 듣는게 좋을까요?
    마지막으로 ㅎ 과탐 투 과목에 대한 견해를 듣고 싶어요

    질문이 넘 많네요... 부탁드립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5 03:54 · MS 2010

    전 안들어봐서 모르겠습니다 ㅎㅎ.

    전 천일문독학했었고 괜찮다생각합니다.
    아니면 신택스같은 구문인강들으세요. 다비슷하다 봅니다.

    전 투과목했고 서울대를 왔지만, 글쎄요 요새 수능으로 봐선.. 선뜻 추천하고싶진않네요.

  • 리미이 · 595995 · 15/12/25 07:24 · MS 2015

    신승범쌤 평이 안좋나요?

  • 하면된다 · 527504 · 15/12/25 00:25 · MS 2014

    쪽지 보냈습니당 !

  • 삽자루 · 589013 · 15/12/25 00:28 · MS 2015

    (국어의 기술과 자이스토리는 새로 사야하구요. 정석은 부모님께서 일방적으로 사오셨습니다. 그 외 나머지는 예전에 샀던 책입니다)

    국어 : 국어의 기술0(개념1회독) + 국정보(스킬1회독) + 마더텅수능기출6개년(기출적용)
    수학 : 합격의 힘(중등개념병행) + 수학의 정석(개념1회독) + 자이스토리 2~3점(기출적용)
    영어 : 워드마스터2000(단어1회독) + EBS 로즈리 그래머홀릭(문법인강1회독) + EBS 주혜연의 해석공식(구문인강1회독) + 마더텅수능기출6개년(기출적용)

    16수능 평균 4~5등급으로 노베이스입니다.

    기숙학원 선행반(7주) 동안 실행할 자습용 커리큘럼을 세워봤습니다.
    평일 4시간, 토요일 7시간, 일요일 11시간으로 일주일에 38시간,
    총 선행반 동안 266시간으로 대충 260시간 자습을 하게 됩니다.
    수업용 자습 빼면 순수자습은 140시간 되지 않을까 싶어요.

    기숙학원에서 수업 위주로 공부할 예정이라 인강은 최소화할 예정이구요.
    중소 규모의 기숙학원에서 선행반 동안 기본기를 쌓고 정규반부터는 메이저 학원으로 옮기는 것이 목표입니다.
    공부를 제대로 해본 적이 없어서 어떤 교재가 좋은지도 모르고, 계획을 세우는 것도 미숙합니다. 의견 부탁드립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5 04:00 · MS 2010

    아직 선행반시작안하셨죠?
    그럼 당장에 냅다 공부시작하려하지마시구요,
    커리큘럼 이런것도 좋지만, 수능의 성격, 본인의 약점, 본인의 궁극적인 목표, 그 목표의 모습은 어떠한지 (단순하게 수학만점. 이런거 말고 수학만점인 사람들은 어떠한가. 그들은 왜 그렇게 공부했고 그렇게 공부한 그들을의 상태는 어떠한가) 등등을 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제 글들 돌아보셔도 되구요. 다른사람들 글들 좀 마구마구 훑어보면서
    공부법도 좀 익히시고, 자극된다싶은것들 제본해서 모아두시고

    어차피 지금은 여행을 떠나기전 방향을 잡는시기입니다.
    방향자체가 삐뚤어지면 남들보다 빨리 급하게 출발한들 결국늦어요.

    많은 글들 읽어보면서 단기적인 계획, 전체적인 계획, 방향등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 삽자루 · 589013 · 15/12/25 04:25 · MS 2015

    늦은 시간 답변 감사합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되세요~

  • Gunga Din · 585262 · 15/12/25 00:33 · MS 2015

    에비 고2입니다. 수학 공부에 대해서 질문드릴게요 모의고사등급은 2~3등급정도 나와요

    1. 겨울방학 동안 진도는 어디정도까지 나가야하고, 어느정도 수준까지 해놔야할까요?
    현우진 개념 인강+바이블+쎈+고쟁이로 하고 있긴한데 이 정도면 적당한가요?


    2. 흔히들 수학문제를 풀고나서 분석을 하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그 분석이라는게 구체적으로 감이 안잡히네요ㅠㅠ 또 그리고 n회독한다는게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3. 지금부터 과탐을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생1지1입니다. 투과목도 고려해보고 있긴한데, 거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ㅣBinㅣ · 336627 · 15/12/25 04:07 · MS 2010

    어리신데 벌써 생각이 많으시네요.

    1. 진도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다시다 해야하거든요. 결국 두가지입니다.
    다 훑냐, 아니면 고2과정을 좀 자세히 보느냐 .
    다 훑는건, 기분만 좋습니다. 아 나 공부했다. 요런 기분. 남는거 하나도 없는.

    진도는 한학기~1년정도 하시되 시간남으면 그냥 한번 더하세요.

    + 인강 한개와 책한개. 이정도만 하세요. 고쟁이는 굳이 안하셔도 될듯.
    (물론 시간이 많으시면 하셔도 됩니다만, 괜히 일벌리다가 하나도 못챙기는수가있어서요.)

    2.분석이란건 대충이런겁니다.

    이 문제는 무엇을 ,어떻게 묻고 있으며, 난 어떻게 풀어야했고 왜 그렇게 해야만하는가, (만약틀렸으면 -> ) 내가 왜틀렸고, 이문제는 이런 풀이방식을 요구했는데 왜 난 알지 못했는가, 다음에 그런 풀이방식을 적용할수있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를 그 문제가 나온 고교과정범위내에서 생각하는것을 말합니다.

    가령, 미분단원에서 나오는 문항들은 그문항을 죽어라~~~~꼬아도 결국 풀이과정엔 미분이란 개념이 포함되어있기마련이죠.



    3. 아뇨 그냥 개념공부정도만 해두셔도 충분합니다. 투과목... 국영수가 어느정도 나와주면 고려해보세요. 요새는 투과목아마 다 말릴겁니다 ㅠ


    3.

  • 0UhiQTE7GuI9Cm · 590862 · 15/12/25 00:53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과학선택 · 590482 · 15/12/25 01:24 · MS 2015

    95 이과 현역때 56등급이네요.몇년 지나서 다까먹어서 다시처음부터 하는중입니다.
    지금은 재수학원 기초반 다니고 잇구요.학원에서는 수학의바이블 교제 사용중입니다.바이블 어렵네요.
    수1 수2 끝낫고 미적1 +확통 시작하는데 학원에서 진도를 예상햇던거 보다 너무빨리나가서 집에와서 풀어보면 예제나 기본문제는 풀리는데 약간의 변형만주면 답이안나오네요.그래서 ebs나 교과서 생각중인데 어찌해야될지 모르겟네요...아니면 쉬운문제집을 풀어볼까도 생각중입니다 바이블을 계속 n독하는게 좋을지요?

  • ㅣBinㅣ · 336627 · 15/12/26 00:32 · MS 2010

    생각하신것처럼 쉬운문제집에서 쉬운문항을 좀 풀어주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처음엔 답지를 좀 가까이 할 필요가 있어요. 역으로 답지를 끼고 '이게왜이러지' 하면서 공부하는게 낫습니다.

  • ㅌㅌ · 631830 · 15/12/25 03:29 · MS 2015

    쪽지 드렸습니다. 새벽에 감사합니다.

  • ㅣBinㅣ · 336627 · 15/12/25 04:18 · MS 2010

    내일마저 답변달겠습니다. 너무졸려요....ㅋㅋ

  • 리미이 · 595995 · 15/12/25 07:38 · MS 2015

    제 대댓글은 못보신것 같아서 다시 질문드립니다 귀찮게 해드려 죄송해요ㅜ.ㅜ

    1. 기출을 확실히 한다는건 어떤의미인가요?
    2. 겨울방학시즌에는 수학은 개념인강+기출 테크타면 되나요?
    3. 기출문제집으로 추천해주시고 싶은거 있으신가요? 자이는 현역때 했는데...음..다른거 괜찮은게 있나 싶어서요.

  • 17수능인 · 613448 · 15/12/25 11:35 · MS 2015

    안녕하세요 공부시작한지 1년된 예비 고3이구요.
    11월 기준 작년→올해
    국어 40→93 수학 60→96 영어 30→85 지1 50 다른 과탐은 지2고민하다 생1하고 있습니다.
    질문몇개만 드리겠습니다.
    1. 국어
    1년째 비문학만 하다가 이제 현대문학 혼자 해석하기도 시작하려하는데 화작은 거의 모든시험은 다 맞는데 문학하고 문법이 좀 약해요. 문법은 겨울방학때 한번 정리하는게 좋다고 보시나요??

    2.수학
    개념은 전범위 공부한 상태이구요. 확통은 거의 못푸는 문제가 없어 기출을 이미돌렸고 미2와 기벡만 남았는데 방학동안 미2, 기벡은 기본정석, 마플 돌리고 확통은 자이랑 기본정석 복습 한번 돌리려하는데 괜찮다고 보시나요?? 하루 순수 자습량은 9~12시간정도 보고있습니다.

    3. 영어
    1년동안 단어를 주로해서 7000단어정도 알고 독해한권정도해서 어느정도 직독직해가 가능합니다.
    이제 어려운 구문으로 어려운 문장 해석을 연습하는중입니다.
    이렇게 어려운문장해석을 연습한 후 무엇을 해야할까요?? EBS를 돌리는건 기본으로 할 생각입니다.

    4. 과탐
    지학은 평가원, 3학년 교육청 모두 고정 1등급 나오는상태라 내버려두고 독학으로 생물1 중인데 지1은 개념한번 과외듣고 혼자독학해서 1등급받긴했지만 생1은 될까 의문이 들어서요.
    기출 전에 수특, 수완만 2~3개년 돌리려하는데 이정도면 1등급 충분히 나올까요? 아니면 인강이라도 들을까요?? 인강은 한번도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5. 체력관리라든가 그런거에 대해서 팁이라도....ㅎ

  • aqudheb21 · 578055 · 15/12/25 12:38 · MS 2015

    쪽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ㅠㅠ

  • 0UhiQTE7GuI9Cm · 590862 · 15/12/25 12:41 · MS 2015

    안녕하세요~ 예비고2 이과 입니다.

    1.겨울에 수학/영어 집중적이게 공부하려 합니다.
    수학은 미적I,II,확통 까지 선행하고(개념만 하는건 아니구,정석 연습문제 와 기출문제등 어느정도의 문제풀이도포함->미적I,II 확통은 진도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끝내는게 목표입니다.)
    영어는 김정호쌤 프리패스를 방금사두어서, 김정호 GATE/최영단 까지 수강하고 복습하면서 공부하려고 생각해뒀습니다.(아마 방학이 다 끝나기전에 두 강의다 수강할것 같습니다. 강의를 다 듣고 나선,김정호쌤 연구실에서 제시해준대로 수능기출로 혼자 해석연습해가면서 모르는건 질문하고 혹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추가로 강좌 수강하는 식으로 공부하려 합니다. 우선 "일차적인" 목표는 저 두강의를 무사히 완강하고, 복습하기입니다.)
    저 두가지로는 이번 겨울, 공부량이 너무 적은것일까요?

    2. 추가적이게 공부를 한다면 무엇을 해야할까요 저는 국어를 할까 물리1을 할까 고민중인데 내년 내신도 물리1을 하고 수능도 물리1을 할 생각이 강해서 물리1을 지금 안철우/배기범/ebsi 차영 선생님 개념강의로 전체적이게 개념학습 하려합니다. 물리는 완전 처음보는 거거든요 국어와 물리중 무엇이 나을까요?
    ->개인적이게 저는 왠만하면 국어보단 물리1을 꼭해야겠다고 생각이 드는게 수능 중심으로 개념학습을 해둘 시기가 지금밖에 없는것 같고 저희학교는 많은 애들이 물리 화학은 겨울방학부터 학원다녀서 선행을 시작합니다. 만약 지금 안해둔다면 다른애들은 진도를 나간상태인데 저는 내년 학기중에 상대적이게 좋지않은 분위기, 질 낮은 수업속에서 물리를 이해해야 하는데 저는 머리가 안좋아서 올해 천체부분에서 그랬던 것처럼 그냥 포기할것 같고 (선생님껜 죄송하지만 솔직히 진짜 대충가르치는데다 이해가 안되고..... 애들도 더럽게 떠들어요)
    그래서 지금 꼭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여유있을때 해둔다면 내년에 고급지구/고급생명만 내신때 신경써서 보면되니까 내신때도 좋을것 같아서요 거기다 수능중심으로 대비하는게 주 목적이니까 수능대비 개념학습도 제대로 될것같구요

    3.그리고 이과인데 아직 기벡을 한번도 못보게됬습니다. 선행은 제가 말씀드린 만큼만 하는데 학교에서 올해까진 2학년때 기벡까지 했지만 내년부턴 기벡을 안하고 미적I,II 확통만 해서 내신에서는 괜찮지만 논술/수능에 늦는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듭니다. 기벡 안해도 괜찮을까요?
    (어차피 내년에 내신때 안하다 보니까 기벡 지금해봤자 다 까먹을것 같지만...)

    4.혹시 물리1 인강을 들어보셨다면, 추천하시는 선생님 계신가요?

    5.이번 겨울에는 운동/독서에도 매일 4시간가량 시간을 쓰려합니다.
    유일한 취미라고 생각하시면 좋을것 같아요
    아직 저정도는 해도 되겠죠?

  • 0UhiQTE7GuI9Cm · 590862 · 15/12/25 12:51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0UhiQTE7GuI9Cm · 590862 · 15/12/25 21:28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0UhiQTE7GuI9Cm · 590862 · 15/12/26 01:29 · MS 2015

    죄송하지만... 저 댓글말고 이 댓글보시고 답변해주세요.... 저 글은 제가 궁금해하는거랑 너무 핀트가 어긋나고 글만 쓸데없이 길어가지고...


    1.겨울에 수학/영어 집중적이게 공부하려 합니다.
    수학은 미적I,II,확통 까지 선행하고(개념만 하는건 아니구,정석 연습문제 와 기출문제등 어느정도의 문제풀이도포함->미적I,II 확통은 진도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끝내는게 목표입니다.)
    영어는 김정호쌤 프리패스를 방금사두어서, 김정호 GATE/최영단 까지 수강하고 복습하면서 공부하려고 생각해뒀습니다.(아마 방학이 다 끝나기전에 두 강의다 수강할것 같습니다. 강의를 다 듣고 나선,김정호쌤 연구실에서 제시해준대로 수능기출로 혼자 해석연습해가면서 모르는건 질문하고 혹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추가로 강좌 수강하는 식으로 공부하려 합니다. 우선 "일차적인" 목표는 저 두강의를 무사히 완강하고, 복습하기입니다.)
    저 두가지로는 이번 겨울, 공부량이 너무 적은것일까요? (아마 계획한대로 하려면 매일 수학에6~7시간
    영어 물리에 2~3시간정도 걸릴것 같습니다.수학에는 학원 3시간이 포함되구요 영어 물리에는 강의듣는 시간이 포함됩니다)

    2. 이번 방학에 추가적으로 물리1을 공부할까 국어를 공부할까 고민하다가 물리1을 공부하기로 했습니다.(물론 영수에 집중하다보니 물리1에는 큰 시간을 내지 못할것같습니다.)(영어 하는 시간을 일주일에 두세번씩 줄여서 물리할 생각입니다)
    국어가 학평3등급이라 노답이긴한데, 내년에 내신에서 물리1을 하기도 하고, 물리1을 지금 좀 해두면 내신에서도 고급지구 고급생명만 집중적이게 봐도 되니 내신도 조금 원활하게 가져갈수 있을것같고,무엇보다! 수능대비 개념학습도 여유있을때 탄탄히 해둘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국어는 학기중에도 한시간씩 공부해도 되는데 물리같은거 개념은 그렇게 공부하면 좀 그렇고 방학때 쭉 끝내는게 좋을것 같아서요

    물리1을 공부하는데 전체 한바퀴를 다돌리는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4단원중 2단원 또는 3단원 이렇게 부분만 공부하는것 중 무엇이 더 필요할까요?

    3.그리고 이과인데 아직 기벡을 한번도 못보게됬습니다. 선행은 제가 말씀드린 만큼만 하는데 학교에서 올해까진 2학년때 기벡까지 했지만 내년부턴 기벡을 안하고 미적I,II 확통만 해서 내신에서는 괜찮지만 논술/수능에 늦는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듭니다. 기벡 안해도 괜찮을까요?


    4.이번 겨울에는 운동/독서에도 매일 4시간가량 시간을 쓰고 완전자유시간은 1시간정도로 잡아서 시간을 쓰려합니다. (1시간동안 게임을 안해서 게임은 안보고... 영화나 축구보고 이럴것 같습니다)
    최대한 제가 계획한 시간만큼 하려고 노력할겁니다
    이정도 시간은 너무 많은걸까요?

  • ㅣBinㅣ · 336627 · 15/12/26 22:55 · MS 2010

    1. 아뇨 적당한것같습니다. 확실히 진도에 민감할때이긴 한데, 여럿학생봐오고 가르치고 있지만 진도보단 깊이,정성이 중요합니다. 양은 딱 적당하세요. 하고 시간남으면 한번 더보세요.

    2. 흠. 저같으면 일주일동안 1번에서 계획하신걸 해본뒤에 시간이 되면 시도학ㅆ습니다.
    제가 왜 이런말씀을드리냐면 제가 고2올라갈 때 수학 전체 + 탐구 네과목(물1,생1,지1,화1) 다 끝내고 올라갔어요. 근데 끝내긴 개뿔 양이 많으니깐 대충훑게 되고 결국 흐지부지 되서 내신때도 처음에야 뿌듯하고 좋지만 결국엔 그냥 늦게 시작한애랑 별 차이 없었습니다.

    3.네 안늦어요!!

    4. 괜찮습니다. 하지만 아까도 말했지만 시간에 너무 압박받지말고 계획진행하시면서 이런저런 조율해보세요.

  • ㅣBinㅣ · 336627 · 15/12/26 23:00 · MS 2010

    알림이 잘안떠서, 질문은 최근 칼럼에다가 해주시면 제가 자세히 답변드릴게요.

  • 경한17학번 · 490780 · 15/12/26 23:00 · MS 2014

    재수생인데요 , 문과에서 이과로 전과해서 수학 현재 미1, 확률과통계 (상)부분, 미2 지수로그함수까지 끝냈습니다 .
    1월달부터 미2+ 확통(하) 나가려고 하는데 진도를 빨리빼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개념배울때 그냥 선생님개념설명하시는거 듣고 적고 외울건 외우고 예제문제풀면 될까요? 개념노트정리는 나중에 해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