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 언어연구소] (개화)칼럼1. 독해에 대한 고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96716
이전 칼럼 목록)
[일월 언어연구소] 교재 예고 및 칼럼1. 환율 | 오르비
Intro) 안녕하세요. 일월 언어연구소 입니다.
마무리와 정오표를 제외한 개화 관련 작업들은 거의 다 끝나서 연초에 기획했던 칼럼들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칼럼은 아마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 국어 전반에 대한 논의, 2부: 필요 배경지식, 3부: 고난도 기출 지문 분석 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모든 칼럼을 퇴고하기 전에 돌아보니 1부는 국어 학습에 대한 제가 했던 생각들을 편한 문체로 작성한 것입니다.
소설처럼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겁니다.
반면 2부와 3부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여 다소 딱딱하게 올라갈 것 같습니다.
어쨌든 제가 일을 쉬고 있어서 꽤 활발하게 올릴테니, 원하시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특히 지문해설이 필요한 지문들은 다음 링크에 댓글 달아주시면 확인하고 최대한 반영해서 3부로 업로드 하겠습니다.
((1) 님들 국어 평가원 독서 지문에서 가장 힘들었던 지문? | 오르비 )
자 그러면, 시작하겠습니다.
1.독해와 독서의 차이
독서와 독해에 대해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독서와 독해의 차이점은 '시간 압박'입니다.
독자가 '글'을 읽고, 어떠한 반응을 하는 과정임을 동일하지만, 독해에는 시간 압박이 전제되어 있다는 것이죠.
대충 독서는 이런 느낌인 반면
독해는 이런 느낌입니다.
AI로 만든 그림이지만, 어느 정도 제가 생각하는 독해와 독서의 느낌을 잘 반영하는 것이죠.
독서는 여유롭게 글을 씹고 맛보고 뜯고 음미하는 것, 독해는 제한된 시간 안에 정확하게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여러분들이 갈 시험장에서는 아무래도 독해를 할 것입니다.
몇몇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시험장에서 압박감을 느낄 것입니다.
물론 모든 시험에는 압박감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저는 수능 국어 시험에는 특히 압박감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2.압박감
적당한 압박감은 나쁘지 않지만, 지나친 압박감은 수능 국어와 같은 정보처리가 필수적인 시험에서 독이 됩니다.
그 정확한 기전은 전공 분야가 아니라서 명확히 답할 수는 없지만, 암기했던 것들을 뱉어내는 시험과 그 자리에서 해석하고 추론하는 비중이 많은 시험은 분명히 차이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러한 압박감을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을 많이 해봤습니다.
결론은 완벽히 해결하지 못했지만,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습니다.
시험에 느끼는 압박감은 개인차가 크고, 피실험자의 주관적 지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 정량화가 힘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을 가르치며 귀납적으로 느낀 것은 '압박감을 조금 낮출 수 있는 것 같은 대안'이 있었습니다.
그 대안은 알고 보니 머지 않은 곳에 있었습니다.
현재 사교육 강사분들이 주로 가르치는 기술들이 어쩌면 그 압박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 거 있지 않습니까. PS(문제와 해결), CE(원인과 결과)...와 같은 것들.
오래됐지만 저도 수험생활 한 적이 있어서 유명 강사들의 강의를 아무 생각 없이 수강했는데, 그 분들이 설명했던 기술들이 어쩌면 압박감에 대한 해결책도 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3.체화
그래서 시중에 알려진 이러한 기술들을 하나씩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또 문제점에 도달했습니다.
"대체 왜 기술을 배웠는데 실전에서 쓰지 못하는가?" 하는 의문이 머릿속에 남네요.
자세히 말하면 대한민국 사교육 시장은 매우 커서 강사들의 퀄이 상향 평준화 되어 있고, 그들이 가르쳐 주는 것들은 아주 좋다고 생각하는데, 왜 학생들은 그것들을 흡수하지 못하는지 궁금한 겁니다.
특히 저는 연구소에서 교재를 만드는데, 그때마다 기존에 집필하시던 분들에게 벽을 느낍니다.
그만큼 시중에 교재들이 퀄이 높은 교재들이라는 것이죠.
어쨌든 이러한 문제를 고민하다보니, '배경지식', '호르몬', '마음가짐'의 문제로 설명할 수 있겠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4.마음가짐
'배경지식' 부분은 2부에서 설명하기로 했고, '호르몬'에 대한 논의는 연구소 내 약사분과 함께 공부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저는 잘 모르는 분야에 그 분이 현재 연구소에 소속되어 있으신 바쁜 분이라 시간이 걸릴 듯 하네요.
(참고로 저희는 그냥 가오잡으려고 '연구소'라는 이름을 쓰는 거지만, 그분은 진짜 랩실에 소속되어 있으십니다.)
그래서 마음가짐에 대해 언급하려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 이 마음가짐에 대해 퇴고분을 올리려는데, 분량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러면 당신들이 읽지 않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 마음가짐은 다음 칼럼에 쓰겠습니다.
그럼 다음에 봐요! 안녕~
참고로 책 나왔습니다. 사주시면 제가 먹고 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롤도 그렇고 발로도 위험하면 위험하다고 팬들이 소리지르네 물론 선수들에게도 들릴지는...
-
막 어릴때 학교에서 종이접기, 뜨개질, 뭐 만들기 등등 보고 따라하는거 못하면 치대가면 안됨?
-
아 맥북살까 1
마크 하고 싶은데..흠ㅁㅁㅁ 수능 끝나고 사는 게 맞겠지..
-
흑흑,,, 최대 20개일때가 있었는데,,, 꽃이 지고 봄이란걸 알았습니다,,,,
-
내일 개학이구나 0
아아, 슬프고 슬프도다
-
. 7
(내림)
-
4컷 사진은 4
어떻게 찍어도 잘나오는듯
-
하나만 할 생각이었는데 그 하나가 떨어지니 엄,,,ㅜㅜ
-
수1인데 제 풀이가 어디서 틀렸는지 알 수 잇을까요 4
답은 3번인데, 공차가 3이라는데 제 풀이가 ㅇㄷ서 틀렷는지 도대체 모르겟네여
-
일->월 넘어갈때 안하나? 미국이 우리보다 시간이 느린지 빠른지 혼동되네
-
아무나 이유 좀 알려줘라...
-
맘놓고 라방키거나 디코할수있음 근데 둘다 안함
-
굿밤
-
과탐(물리) -기출 10회독 이상 -과외경험 有, but 마지막 수능이 2년전...
-
꼭 세계대전을 일으키고 말거야
-
노트북 4
-
나랑 미팅잡을사람?
-
작년 책에도 있길래 올려드립니다
-
이번만 봐드립니다 정신차리십쇼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