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왜 수능수학에서 복소수는 안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93325
왜?
집합도 내면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특 언제부터 6
아직 국어영어 암것도 안풀었는데 지금부터 돌려도 되겠지??? 다른거 푼다고 못풀었음 ㅠㅠ
-
연고한 공대목표 0
작6 22413 작9 43422 작수 31354
-
가나형시절에 0
교차될때보면 경희대 공대면 서성한 문과를가는데 저때는 경희대공대 갈성적이면...
-
한문입니당
-
밤사이 전국 대부분 지역에 많은 눈이 내리면서 곳곳에서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
다들 떠나네 0
오르비언들도 서로의 기억속에서 잊혀지겠지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떠나는 사람의...
-
오르비 월클이네
-
고려대 문사철 붙어도 건동홍 전전가는게나음?
-
주방에서 접시에 베인 상처는 금방낫지만 카운터에서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오래가거든,,,,,
-
특히 내가 했던말 자기가 생각한 거 마냥 하는 게 제일 기분 나쁘고 일부러...
-
고등학교 담임쌤이랑 졸업하고 계속 연락 주고받았는데 3수까진 아무 별일 없이...
-
ㅋㅋ 키키 킥킥
가상의 존재여서
굳이 라서?
낼 만한 소재가 없음
수1수2미적은 배우는 함수가 죄다 실수에서 정의된 실함수인 데다
복소함수 미적분 따로 배우면 감당됨?
그래도 옛날 기출 따라 복소수 활용한 수열 같은 거 내줄 수 있지 않나
복소수열 문제를 제대로 낸 적이 있음? 없을 거 같은데 수열 모를 때 수열처럼 정의해서 내는 문제 말하는 거 아님? 그건 수열이 아니라 복소수가 본질이니까 안 내는 거고
복소수는 order가 없어서 복소수열을 지금 내는 스타일처럼 못 냄
수능에서 다루는 건 등차 등비수열과 귀납적 정의의 이해니까
글쿠나..
복소수에서 실수처럼 1 < 2 같은 순서를 정의하려 dictionary order 같은 방식을 써야 하는데 그럼 그거대로 또 설명을 해줘야 하니 등차수열은 걍 못 쓰는 게 되고..
등비수열이야 낼 수 있겠지만 그리 어려운 건 못 내겠죠
귀납적정의 문제들은 대부분 각 항이 뭔지를 이용해서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게 복소가 되면 ..
한 13번 정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