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강의를 듣고 ㅈ망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69946
강의에서 짜자잔~하고 보여주는 풀이가 더 비효율적인거일수도 있기 때문
그런 경우 그 풀이를 도구의 하나 정도로만 가져가면 되는데
스스로 생각하지 않으면 저 풀이가 정답이라 생각하고 머리를 닫게 됨
대표적인 예시가 아래 문제
문제를 담백하게 풀면 오히려 더 빠름
정말 웃긴건 저 문제를 풀어보라고 시키면 그래프로 풀고 뿌듯하다는 듯이 있는 애들이 너무 많았음
기출문제에 여러 가지의 풀이법이 있으면 그거에 대한 평가를 스스로 생각해서 해야하는데 강사에게 의존해버리니 분리불안 심한 강아지가 돼버리는거
흔히들 내신의 반대격 시험이라고 수학능력시험이라고 하면서 왜 공부할때 머리를 닫고 스스로 생각을 멈출까? 이러면 결국 패착임. 스스로 생각할 줄 모르는 인간은 수능수학정도 레벨의 시험에서조차 고득점을 못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른짖가야지
-
비나이다비나이다 내 굿즈무더기를 보고 오르비를 떠올리지 말아다오
-
[칼럼] 부자 되고 싶은데, MBTI가 P인 사람 잘 봐! 12
안녕하세요 한방국어 조은우입니다. 어제도 고생 많았습니다. 오늘도 고생 많았습니다....
-
대치 각?
-
엔수생들과 수험생들이 대부분 성불한 이 시점, 이제 오르비는 08들이 차지한다.
-
님들 그냥 사실을 대놓고 부정하는 사람은 어케해야 됨 17
오늘 봣는데 존나 어지럽
-
저에게 당연한데 학생들이 받아들일 때는 어려워하여 문제풀이 연구하여 알고리즘 및...
-
맞아봤다면 집에서? 아님 학교에서? 몇살까지?
-
동국대vs교원대 16
역사교육과 목표인데 어디가 더 ㄱㅊ? 난 동국대 가고 싶은데 엄마아빤 교원대 가라함
-
어카지
-
올해도 똑같으면 13
나그냥 세상 떠나고싶어질거같아
-
짝사랑 딱 두번 11
이성으로서 누군가를 좋아한적도 딱 두번
-
본인은 10
여러개 선택ㄱㄴ
-
성적 좀만 되면 바자관 쓰는 게 무조건 이득아님??? 3합5만 되도 잇올가격에...
-
큐브로 한 달에 20이상 벌기가 목표임 열심히 써줄 수록 더 잘 벌리는거같음 흐흐
근데 어지간하면 ‘그래프로 이해하기‘가 우월전략이라고 생각해서
수학2 기준으로도 아닌 경우가 있으니 학습자가 여러 케이스를 통해 직접 생각해봐야 실력이 늘죠
그래야 문제별로 뭐가 우월전략인지 알고 시험장에서 안정적으로 100을 받지
아닌 경우라고 한다면?
220614가 대표적이죠
사실 전 이거도 그래프로 풀었고
그래프로 푸는게 더 낫다고 느끼긴 함요
강기원t 인용
설명하느라 늘어진 감이 있지만
최소한 그래프 여러번 접는거보단 이게 나아보입니다
이것도 당연히 좋은 풀이입니다.
다만 저는 1) 줄글로 길게 늘어지거나 2) “계산“ 또는 시각적이지 않은 무엇인가가 포인트가 되는 풀이는 그래프 위주의 시각적 풀이보다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그래프 풀이는 계산해야 할 부분이 명확하고 조건의 맞는말이 맞는말스럽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이건 취향 차이인 것 같긴 하네요
저는 우월전략이 뭔지에 대해 얘기한건데 저걸 취향에 대한 얘기로 바꾸면 글쎄요.
취향이야 뭐 개인의 영역이니 이해하지만 평가원 수학2 기준으로 그림이 어시스트조차 되지 못한 문제도 있는데 그럴때마다 문제에 대한 판단없이 잘 모르겠지만 그림 그려야지 이러면 수학점수는 횡보하겠죠.
그래프와 수식은 문제별로 뭐가 나은지 다르니까 강사가 말한 다고 강아지처럼 꼬리흔들지말고 스스로 뇌로 생각하라 한게 틀린말인거 같지도 않고요
근데 강사가 잘풀었는지 내가 잘풀었는지 판단이 안되니까
걍 나랑 다르게 풀었으면 강사쪽에 맞출수밖에 없어요 ㅠ
더 빠른가
논리가 적확한가
더 떠올리기 쉬운가
더 범용적인가
정도만 구분해도 ㄱㅊ지 않나
더 빠른가 정도는 구분되는데
더 범용적인지 정확한지 이런건 잘 모르겠음..
내 풀이가 훨씬 빠를때도 일단 강사 풀이 한번 익혀볼수밖에는

이거 진짜 공감해요조교 알바할 때 선생님이랑 다른 풀이 알려주는 거 싫어하는 학생 개많음
이거 ㄹㅇ인 듯. 저도 풀이 걸러서 들음. 내가 시험장에서 쓸 수 있는 풀이인지 아닌지.
또 강사가 무엇을 보고 이런 풀이를 진행했는지.
이 두가지로 성젇 많이 늘었어요.
ㅇㄱㄹㅇ인게 기본을 알아야 되는데 요새ㅈ보면 너무 상위풀이에 집착함
그냥 이러든 저러든 다 숙지하는게 맞음
그냥 Sn구해서 이차함수 최대 최소 썼는데 ㅋㅋ
진짜 개공감합니다
'우월전략' 이라는거 저는 진짜 별로라 생각해요....
저는 항상 그래서 문제풀때
컨디션 좋을때를 위해 고능하게도 풀어보고,
컨디션 안좋고 직관이 안와닿을 때를 위해 저능하게도 풀어보고 항상 연습했는데 말입니다
이 문제도 그냥 진~짜 직관이 안와닿는다 하면
그냥 Sn 구하고 정직하게 Sm~Sm+4 구하고 문제풀어도
7-8분이면 푸는데말입니다
일단 전부 이해납득하고 쓸 때는 손이 가는대로..
220614의 경우 그래프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관찰하는 애니메이션 구현 연습을 좀 하면 여러 번 안 그려도 머릿속에서 풀 수 있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g는 ‘언어적 표현’했을 때의 이점이 있는 함수라고 생각하기도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