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통에서의 같다, 다르다 기준을 모르겠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56036
확통을 공부하다가 어떤 상황에는 같은 것으로 보고, 어떤 상황에서는 또 다른 것으로 보는 경우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특히 사람인 경우가 가장 헷갈렸는데
14명의 학생이 아래와 같이 악기를 선택했을 때
피아노 3명
바이올린 5명
첼로 6명
14명의 학생 중에서 임의로 뽑은 3명이 선택한 악기가 모두 같을 확률을 구하시오.
라는 문제에서, 저는 각 학생은 사람->다른 개체 이므로 서로 다른 것으로 봐야 한다! 라고 생각해서 순열로 계산했습니다. 그런데 이걸 조합으로 보더라고요?
제가 무언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 있는 것 같은데 알려주시면 감사겠습니다 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ㅈ 18
끼룩
-
ㄱㄱ 오늘 너무 쳐놀았다 (듀오링고를 무슨 한 시간 반이나 함)
-
아침은 1
롤체 5인큐
-
궁금해짐
-
걍 장난으로 오늘 ㅇㅇ이 이쁜데!! 뽀뽀해도됑?! 이랬는데 해도된대서 했음; 이것이여고다
-
작수 본인 국 영 수 4등급이고 생윤 사문 노베입니다 대학다니다 6월말에 입대해서...
-
어떻게 쓰는거고 어떻게 얻는거에요?
-
그건 바로 '나' 살기 싫음 ㅇㅇ 진심
-
가기로 한 팟에 납치됨 그때도 내가 살아있을까
-
김동욱 독서 0
독서만 들으시는분들 그러면 문학 하실때 강의 안듣나요? 그리고 연필통은 푸시나요??...
-
두 분도 빨리 하시죠
-
해강은 없는 거 같던데 올해꺼 기다리기엔 제가 성격이 급한편이라 빨리 풀어보고...
-
1. 이론 문제 풀이의 도입이 안 된다면 실험과 관찰(나열)을 통해 문제의 규칙을...
임의로 뽑는데 순서가 중요한게 아니잖아요
‘임의로‘ 라는 워딩에서 순서부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건가요..?
아니요 그냥 뽑는것 자체는 조합이죠
순열을 사용할거면 뽑는것만으로는 부족한 경우에 사용하는거죠
1번학생부터 14번학생까지 있다고 생각하였을 때,그들 중 3명을 그저 랜덤하게 뽑기만 하는 것이고, 이때 순서부여는 필요없으니 조합을 사용한다.
이렇게 받아들였습니다. 국어를 못해서 그런지 상황인지 자체가 어렵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네네 걔네 3명을 뽑아서 줄 세우는게 아닌이상 순열은 안씁니다 사실 줄 세워도 확률 자체는 아마 동일할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