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특 문학/독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51591
공부 어떻게 해요?
전 타이머 8/10/12분 재놓고 풀고 채점하고 끝인데..
더 해야하는거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법VS동사 4
삼수생인데 정법VS동사 탐구 과목 뭐 고를까요? 정법은 현역때랑 재수때 했고 재수때...
-
진짜 이런 친구 없다...
-
한 번 맛보니까 고속충전기가 존나 느리게 느껴짐
-
담배를 너무 만이 펴서 어지러워요
-
고2 내신수1임
-
아무거나 5개 회차 풀어봤는데 빠르면 45분정도에서 계산꼬이면 60분까지도...
-
몇살부터 아저씨인가 17
오르비 여론조사
-
아무도 없네 9
뭐지다노
-
요즘은 진짜무아무생각없음 그냥 때되면 만나는 거지~ 마인드로 사니까 하르하르가 감사함
-
대치 러셀 단과 0
이번에 재종 처음 가보는데 자바관?인가 뭔가 하는거 필수에요??
-
아니면 문장편>글편순이 좋을까요?
-
1일차 토크 개념+구교육과정~21학년도 기출 2일차 토크 22~24학년도 기출...
-
진짜 성균관대 너무 가고 싶은데 수학을 너무 못합니다..
-
3덮이 수능이다 2
이 마인드로 간다 그러면 수능을 몇번을 더보는거야 10수생 가능?
문학은 인강이나 분석서로 작품 공부하시고
독서는 한번 쭉 풀고 잘 이해 안됐던 지문만 수특 사용설명서 같은 거 보면서 정리하시면 될 거 같아요
수특 사용설명서는 한번도 안 봤는데.. 대충 어떻게 구성돼있나요? 독서 풀고 보면 연계포인트 예측하는것도 도움 될까요?
사용설명서는 지문에 나온 간단한 개념 정리랑 글 구조도 같은 거에 빈칸 채우면서 내용정리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작년 수능 연계된 양상을 봤을 때 독서는 ebs 예측하는 게 큰 의미가 없을 거 같다고 생각해서 위의 방법을 추천 드린 건데,
독서는 연계 공부 하실 때 '이 내용을 알아두었다가 연계되는 걸 대비해야지' 라는 마인드보다 '이 소재는 만약에 시험장에서 처음 보면 시간 내에 이해를 못할 거 같다' 싶은 것들 위주로 정리하는 정도면 충분할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국어 선택과목을 뭐할지 고민중인데요 언매는 아직 개념도 안나갔고 화작은 기출만 깔짝댄 정도인데.. 지금부터 언매를 하는게 나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