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논술 관련 FAQ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51208
안녕하세요. 저는 21학년도 성균관대 논술합격자입니다.
사실 논술이라는 전형이 정형화된 원리라든지, 교습방법이 없고 합격하는 과정도 가지각색이다 보니 학생분들이 혼란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그동안 짧게 첨삭을 봐드릴때, 또는 주변에서 받은 질문에 대한 답을 해드리려고 합니다.
1. 논술 일주일에 붙은 사람들도 꽤 있는데 그러면 저도 이렇게 해도 될까요?
-> 그러셔도 되지만 그런 분들은 독해나 글쓰기 실력이 인문논술 수준에서는 이미 완성에 가까울 확률이 높습니다. 확실히 몇번 안하셨는데도 답을 찾으시고 자연스럽게 글의 구조를 딱 잡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분들의 경우는 파이널 때 학교별 특징만 익히시면 쉽게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독해는 물론이고 논술조차 베이스가 별로 없었기에 현역 때는 떨어지고 재수 때 합격을 했습니다.
2. 도대체 붙는 기준이 뭔가요?
-> 이건 사실 학생분들이 해당 학교의 20xx선행학습평가 만 보셔도 충분히 답을 알 수 있을 겁니다.
물론 학교마다 조금은 차이가 있지만 1답을 맞추었는가 2글의 구조가 확실히 보이는가(쉽게 읽히게끔 구조화된 글쓰기가 되었는가) 3맞춤법, 띄어쓰기, 원고지작성법 등 부수적인 부분을 맞추었는가.
사실 1번에서부터 많이들 떨어지십니다. 분명 맞춘 것 같지만 문제가 요구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는 경우가 많죠. 사실 1번이 80프로 이상을 차지하고 2번은 15프로 3번은 5프로 미만인 것 같습니다.
tmi. 한양대는 홈페이지에 당시 학생들의 우수답안을 올려놓기 때문에 "아 이정도는 돼야 합격하는구나"를 대강 아실 수 있을겁니다.
3. 운빨이 심한거 같아요
-> 네 맞습니다. 문제 주제가 나랑 맞는가? 내가 쓴 과에 어느정도 실력이 있는 사람들이 지원했는가? 그날컨디션이 어떤가? 등등
그래서 가장 좋은 방법은 1.기본실력을 많이 끌어올려 놓는 것 2.시행수(지원대학수)를 최대한으로 하는 것입니다.
4. 언제시작할까요?
-> 다른 사람의 케이스를 보지 말고 본인의 실력이 어느정도인지 파악을 해야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지원하고 싶은 대학의 문제를 1.시간제한 없이 풀어보기(초과된 시간 적기) 2.해설보기(해설+평가표+예시답안) 3.비교해보기(예시답안을 눈으로 보지 말고 원고지에 옮겨적고 비교) + 논술교사에게 첨삭받아보기
이정도 생각나는 것 같습니다! 다른 주제로도 나중에 올려볼게요(문제유형, 사전지식 등등)~~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같이 롱런하자 한 5수까지
-
장시작 2분전 4
외화를 벌어오는 영웅 호걸들의 시간이다
-
동아리 다시 공장 온이니까 ㄱㄱ
-
내일 일어나서 써주신 분들 모두 100코씩 드릴예정 나쁘게 써줘도 돼요..(울거임)
-
그냥 동기들이랑 친해지고 공부는 하기싫다는거림 공부가싫은어린이에요..
-
전망 베스트인 직업은 34
빅데이터,인공지능 쪽 아님? 약사-무조건 대체 의사-무조건 대체 한의사-무당...
-
오사카나 도쿄 같은 데는 진짜 한국인들밖에 없음? 일본 현지 느낌 느끼고 싶으면...
-
근데 기출 보고 몇년도몇번 이런 건 어케 기억함? 11
문제를 졸라 많이 풀면 기억남?
-
부모님이 ㅇㅇ 근데 간섭이 좀 존나 심하면 걍 어캐든 자립하는 게 맞겠죠?
-
이 문장에서 3
, even the so-called nonliving elements여기서...
-
~하다 라고 누가 의견을 내면 ~~냐!!!!그럼 ~~한 거냐!!!라고 하고 ~~해서...
-
뚜쉬뚜쉬
-
어카냐 1
개강 떨령 서울권 친구들 있나ㅏ?? ㅜ 오티 어때?
-
에휴ㅜㅠㅠ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어요 개념에 문제가 있나 생각이 들어서 뉴런으로...
-
시간이 없다 0
나를 믿고 죽어
-
동국대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랑 홍대 신소재화공 중에 어디가 더 좋을까요..?
-
프사바꿈 2
어떰?
-
그래야 배가 안아플것같아
혹시 공부는 어떻게 하셨나요? 무조건 학원을 다녀야할까요??
저는 소규모 동네학원-중대형학원-독학으로 했는데 기본이 없으면 학원을 다니거나 과외를 받는게 좋습니다!
근데 조심해야 할 점은 대형학원은 관리를 소홀히 해줄 수 있습니다. 제가 잠깐 과외 해드린 분도 대형학원에서 수업을 받으셨는데 기본조차도 안 잡혀 있는 경우가 있었어요.
독학이나 인강으로는 힘들까요? 곧 군대를 가는데 2년동안 논술 군수는 어떤가 해서요
다른 과목은 독학이나 인강이 충분하지만 논술은 주기적이고 빠른 간격으로 피드백을 받아야되는 과목이라
베이스 없이 독학이나 인강은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위에 쓴 방식으로 시도해보시고 인강으로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하셔도 되구요!
자꾸 질문해서 죄송합니다…. 학원 다니신 기간은 어느정도셨나요?
총 10개월 정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