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 241128 도와주세요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32724
정석적인 풀이로는 내분, 상수구간 k를 놓고 하는 등 여러 풀이가 있던데 제가 처음 접근했던 방식으로 풀어보고 싶습니다.

2g(t)+h(t)가 일정하게 고정돼있다고 생각하고 g(t)와 h(t)의 부호가 반대니까 t가 증가할수록 g(t)가 감소, h(t)가 증가한다고 봤습니다.
그 둘의 합이 일정한데 k의 값은 상수니까 그냥 0으로 놓고 풀었고(여기서 이렇게 상수를 씨=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2g(t)의 감소량을 h(t)의 증가량이 상쇄해준다고 생각해 y축 왼쪽의 그래프를 2배 늘린? 모습이 오른쪽의 그래프로 봤습니다.
여기서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막혔습니다...


사진은 저와 비슷한 접근방식인듯 해서 봤는데 축 왼쪽의 직사각형 넓이(-AB)를 구할 때 왜 인테그랄 g(t)인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헤헤헤 3 0
헤히
-
오르비 현역들 화이팅인거 알지 9 4
같이 롱런하자 한 5수까지
-
장시작 2분전 4 0
외화를 벌어오는 영웅 호걸들의 시간이다
-
이미지 써주실분? 3 1
내일 일어나서 써주신 분들 모두 100코씩 드릴예정 나쁘게 써줘도 돼요..(울거임)
-
그냥 동기들이랑 친해지고 공부는 하기싫다는거림 공부가싫은어린이에요..
-
전망 베스트인 직업은 33 4
빅데이터,인공지능 쪽 아님? 약사-무조건 대체 의사-무조건 대체 한의사-무당...
-
분위기 있는 무표정 민지 5 1
-
여름에 일본 놀러갈 생각인데 7 1
오사카나 도쿄 같은 데는 진짜 한국인들밖에 없음? 일본 현지 느낌 느끼고 싶으면...
-
안녕
-
이 문장에서 3 0
, even the so-called nonliving elements여기서...
-
테슬라 죽어ㅓㅓㅓ 2 0
뚜쉬뚜쉬
-
어카냐 1 0
개강 떨령 서울권 친구들 있나ㅏ?? ㅜ 오티 어때?
-
에휴ㅜㅠㅠ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어요 개념에 문제가 있나 생각이 들어서 뉴런으로...
-
시간이 없다 0 0
나를 믿고 죽어
역함수 적분
직사각형 넓이(=-AB)=(f(x)와 A부터 0까지 x축 사이에 둘러싸인 넓이)+(f(x)와 0부터 B까지 y축 사이에 둘러싸인 넓이)이니깐요
근데 왜 인테그랄 g(t)가 나오는건가요?
f(x)와 y=t가 만나는 x좌표가 g(t)이기 때문에 f(g(t))=t로 표현할 수 있고, 이는 즉 g(t)가 부분역함수임을 보여주기 때문이에요.
k까지 죽 0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