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문학 보기에 해석의 기준이 있다는 말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212592
지금도 통용되는 이유가 뭐임?
24수능 골목안 24수능 유한준의 잊음을 논함 여기 보기가
이 보기를 보고 작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그리고
그럼 도대체 교과서에 이런 학습활동은 왜있는거임?
화자의 의도를 써보고 소재의 상징적인 의미를 보기 없이도 써보라고 하는데 지 뇌피셜 아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 일부 지역의 급수 공급이 오후 5시부터 불가능할 예정이다. 25일 오후 4시께...
-
ㅈㄱㄴ
-
방학에 듣다가 학기 들어가면서 남은 수업 3번?은 안 들으려고 하는데 그냥 결제 안 하면 되는건가
-
쌍윤 현돌 1
쌍윤 현돌 필수인가요?
-
급이 다르구나…. 신곡 ㅈㄴ 좋네…..
-
강의 들으려고 하니까 귀찮아.... 뭔가 초반 개념은 첨부터 다 알아가는 것보다...
-
자주 먹어야겟다
-
공부량은 쌍사에 준하는급인데 또 문제는 존나게 어려움 ㅋㅋ 한지는 양이 적기라도 하지
-
이런거보면 또 고민되고... 아니 근데 동아시아사 표본은 진짜 뭐지...? 화2는 ㄷ.
-
크앙 2
가내전자수공업
-
부산대인데 가능할까요,,>?
-
님들 만약에 3
버스에서 토하면 어케됨뇨?
-
숫자 야구? 2
흥미로운 취미를 발견했네요 오호호호
-
서울대 도전할까 3
나이가 먹을수록 서울대 멋있어보인다 남자면 살면서 한번쯤은 서울대 가고싶지 아니한가
-
제가 모집요강을 보고 이해한 게 맞으면 의치수 샤대 아니면 사탐하는 게 나을 것...
-
무료 특강 진행합니다...
-
어떤 걸 풀면 좋을까요? 일단 기출을 안 본지 좀 오래돼서 마더텅으로 복습 중인데...
-
아 심심해 3
뭐하지
있는 경우도 있다는 거 아닌가
어쨌든 전 정서나 상황 자체가 이해 안되는 거 아닌 이상 보기 먼저 보진 않긴 함
보기의 관점으로 보는게 크리티컬한건 결국 보기문제뿐이라
대부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