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시기에는 '얼굴'이 'face'가 아니라 'appearance'의 의미로 쓰였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97241
形 얼굴 혀ᇰ
훈몽자회(1527)
模 얼굴 모
훈몽자회(1527)
體 얼굴 톄
신증유합(1576)
본래는 '모습', '외모', '틀'에 해당하는 의미였고 후대에 '안면'이라는 의미로 변한 거지요. 그렇기 때문에 원의를 고려하였을 때 '얼굴'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얽다'와 유관하다고 보는 편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바람이 무서워
-
이건 진짜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니 무조건 알고 계세요。끄지 마세요。 놀 시간에 이거...
-
내년에는 꼭 3
기하 물2 동사 세사공부해야지
-
크아아악 금 같은 시간을 유기중이다
-
담요단 특 6
하루에 2번 씻음
-
나도 겅부 이년 쉬었으니까 노베할래 힝힝
-
야옹 4
냥~~❤️❤️❤️
-
1. 똥글이나 개소리를 쓴다 2. 이 사진을 붙인다 3. 끝
-
예과 본과 곧 없어진다고 들어서 그러면 본과 때도 과외 ㄱㄴ하려나 그러면 ㄹㅇ...
-
저기전 질받 2
전 찐르비라 아무더 안하겠죵
-
3시간 수면법 2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
-
젭라
-
강기원 브릿지 2
라이브반인데 3월부터는 수1 수업도 같이 하는거 아닌가요? 그때도 브릿지 못받는건가요?
-
Yas280으로다
-
강민철vs김승리 작년에 들었는데 연계라는 느낌이 딱히 안 들었음..
고렇군...
얽다는 보통 face의 얼굴에 쓰는 말 아녀씀?
그 '얽다' 말고 '노끈이나 줄 따위로 이리저리 걸다'의 '얽다'
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