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시기에는 '얼굴'이 'face'가 아니라 'appearance'의 의미로 쓰였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97241
形 얼굴 혀ᇰ
훈몽자회(1527)
模 얼굴 모
훈몽자회(1527)
體 얼굴 톄
신증유합(1576)
본래는 '모습', '외모', '틀'에 해당하는 의미였고 후대에 '안면'이라는 의미로 변한 거지요. 그렇기 때문에 원의를 고려하였을 때 '얼굴'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얽다'와 유관하다고 보는 편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기다가 과목 하나정도 더 넣을듯 1학년 필수지정 과목도 있고 하다보니까 시간표가...
-
뒷담은 굳이 직접 그걸 찾아서 듣는거는 아니죠 ㄹㅇ
-
나 ㄹㅇ 바부인가 이래서야 수면패턴 또또 와장창이잖아 ,,백투스퀘어원 암튼 오뿡이들...
-
재업임
-
2월 초...
-
첫연애썰 3
아무것도 없을거 알면서 왜들어옴?
-
아 마라탕 개땡기네
-
과외생 밥사줄건데 28
뭐 사주지 생일이래서 과외끝나고 고기나 한번 사줄까했는데 얘네가 워낙잘먹어서 좀...
-
이미지써줌
-
그 결과가 사랑이 아닌 차임이더라도, 그 용기를 내보았다는 것 자체가 대단하다고...
-
옯평 테스트
-
여자 한명 인스타 캐서 염탐하고 남자랑 있네, 오늘 하원 언제 했냐 등 존나...
-
작년에 2025 문해전S1 풀고 얻어가는 게(단순 지식 뿐만 아니라 태도 교정...
-
추가모집 질문 받습니다 38
오픈채팅은 봉인해놨습니다.. 200분 넘게 계셔서 개별질문에 일일이 답할 수 없네요...
-
추가 모집 예비번호 이거 가능하냐 /충남대 토목/1명모집/85명지원/ 최초예비 3번
고렇군...
얽다는 보통 face의 얼굴에 쓰는 말 아녀씀?
그 '얽다' 말고 '노끈이나 줄 따위로 이리저리 걸다'의 '얽다'
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