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시기에는 '얼굴'이 'face'가 아니라 'appearance'의 의미로 쓰였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97241
形 얼굴 혀ᇰ
훈몽자회(1527)
模 얼굴 모
훈몽자회(1527)
體 얼굴 톄
신증유합(1576)
본래는 '모습', '외모', '틀'에 해당하는 의미였고 후대에 '안면'이라는 의미로 변한 거지요. 그렇기 때문에 원의를 고려하였을 때 '얼굴'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얽다'와 유관하다고 보는 편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조선치 추가모집 9 0
12112면 넣어볼만 한가요?
-
적당히 좀 해야할텐데
-
해린좌만 못본게 내 한이다
-
나대지말고 3 0
가만히 공부할게요.....
-
2026 강기분 들으시는분 5 0
다들 6주 학습 계획에 맞춰서 들으시나요?
-
삼수 사탐 하나가 고민이네요 6 0
생윤이 작년난이도로 나왔을때 만점을 반을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작년 2틀이긴한데...
-
정진할게.
-
어직도 엄청. 이물감이 심함 .. 운동하면 사랑니에서 심장 뛰는거같음 그래서 밥도...
-
의대생들 휴학 동안 뭐하나요? 14 0
그 똑똑한 사람들은 휴학하면서 뭐함??반수말고 자기 개발 같은 거 뭐하나요??
-
난 오르비만 뻘글용인데 3 0
여기말고는 인터넷에서 뻘소리 하는데가 없는디현생에선 많이 하긴함
-
자렙노프사님ㅇㅈ한번만더해주세요 2 0
넘빨라요...
-
나 찐따이다. 5 0
일진같은 가오잡는거 저...저는 무리데스!!
-
요즘 그 설뱃분땜에 너무 웃김 12 0
다른 설뱃분들은 다 엄근진인데 그분만 자유로운 영혼이라 존잼임ㅋㅋㅋ
고렇군...
얽다는 보통 face의 얼굴에 쓰는 말 아녀씀?
그 '얽다' 말고 '노끈이나 줄 따위로 이리저리 걸다'의 '얽다'
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