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는 인강도 학원도 필요 없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77733
전 영어만큼은 그냥 거의 혼자 했어요
고2때 블랙라벨 영단어장 보고 워마 하이퍼 끝내면서
고2 기출 다 봤구요 고2 8월 달 즈음
고3 올라가면서 겨울방학에
천일문 완성이랑
자이스토리 고난도 독해 (경찰대 사관)
각각 2주 3주 걸렸네요 병행했습니다
생각이란 거만 하면
시간도 줄고
하나를 봐도 깊이도 깊어지더라고요
여러분들이 학원을 가거나 인강을 가는 이유가
어떤 생각을 어떻게 왜 하는지 몰라서 그렇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답해드릴게요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1. 어떤 생각을 하는가?
세 가지 종류의 생각만 하면 됩니다.
1) 글 속 정보 이해
(소개된 정보 끌어와서 지문 뒷부분이랑 연결)
2) 문맥 파악
1번 하면 자연스레 됩니다 (‘아 이 얘기하는구나’)
3) 선지 적절성 판단
1, 2번 성실히 수행하면 글 다 이해되기 때문에 선지의 오류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어떻게 생각하는가?
1) (필자에게) ’그래서 네가 하고 싶은 말이 뭔데’
2) ’앞에서 뭔 얘기했더라’
3) ‘이렇게 이어지네‘
3. 왜 생각하는가?
글에서 주는 인지적 부담 (안 하면 정보 처리 과부하) 관리해야 해서. 그게 끝.
조금 더 능동적으로 읽는 게 생각하는 것이고 그게 인지적 부담 관리하는 것.
생각 안 하면 눈만 따라가다가 글이 끝나서 ‘내가 뭘 읽었지‘ 라고 생각함
생각 하면 글 속 정보 흐름의 윤곽이 어느정도 잡혀서 ‘옹 이 얘기하는구나‘ 정도는 생각 할 수 있음
혼자 해석해보고 답지에서 대조시켜보는 걸로 하면 독학 가능합니다
답지 보고 해석하지 말고
해석하고 답지 봐보세요
(답지 웬만해서는 안 보는 거 추천)
해석
생각(의 흐름)
정답 추론 과정
이 세 개만 알면 끝나요
결국 체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이거는 해석도 잘 못하는데 감으로 푸는 분들에게 던지는 메시지
해석이 달라지니 글의 흐름이 꺾이고 부족한 해석 능력을 채우기 위해 사견이 들어가는데 그럼 해설지가 말하는 지문이랑 완전 딴 판인 글을 읽게 됩니다 해석 연습하세용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러갑니당 6
4시에 얼버기 올리는걸루 이 글 보시는 분들 모두 조금이라도 더 행복하세요!!
-
반갑습니다. 5
-
연치 경희치 2
가고싶다
-
지금 갈 대학에서도 잘만 하면 대기업 갈 수 있을 건데... 1년 해서 바꾼다고...
-
인스타 릴스에서 2
또 방구석 ㅈ문가를 만나버렸는데... TEAM의대가 ㅈ으로 보이지 아주?
-
예비고2이고 인강으로 1학기범위 거의 돌렸고 완자로 넘어가서 복습하려고하는데...
-
시즌2랍시고 이름 바꿔서 가격은 올리고 양은 ㅈㄴ 줄인거 내놨던데 시즌1은 좋았는데...
-
02년생 20년도 졸업하고 대학 들어가지 않고 군대 갔다와서 현재 24살입니다....
-
맞팔구!!! 2
200명 찍고싶습니다~!!!
-
풀이 6
풀엇음
-
ㅅㅅㅎㄱㅅㄷ 3
-
누군가 관리 해주면 좋겠어
-
빙고 4
GOAT
-
N제 표에 안 나와있네요... 수분감 끝내고 미적만 풀 예정입니다.
-
88에서 69.8로 재탄생했다 모두 축하해줘
-
아쿠아디파르마 오스만투스 꽃향기가 살랑살랑 따뜻한 햇살이 느껴지는 봄에 뿌리기 딱 좋음
-
현역 IQ 3
다행이네요
-
제 지역은 과외 수요가 똥망임요... 과외 학부모님과 연락이 돼도 원하는 금액대가...
-
얘들아 트라우마 5
도대체 언제 나아질수 있음? 한동안 괜찮았다가 또 트라우마 도져서 돌아버라겠네
-
다들 잘 살구나 2
멋잇는사람들
수능때 영어 8등급 맞았는데..
아아..
너무 이상적인 얘기.. 어느정도 실력이 있으니까 그렇게 해도 되는 겁니다..

현실성 없는 말이라도한 번쯤은 이런 얘기 들어보는 것도 신선하지 않을까용
ㅎ히ㅣ
모든 것은 개인의 자유이고
저도
어뜨케 어뜨케 해봤다~~
이렇게 함 해보시죠~~~
요런 얘기였습니다
도움 안되는 글이라도
이런 것도 있다는 걸 알리고는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