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 환생공 vs 지구환경과학 vs 보환융 vs 건축 올해 빵꾸 예측 좀 8
환경생태공학부 지구환경과학 보건환경융합과학부 건축학과 이 4개 빵꾸 ㅊㅊ 받았는데...
-
개인적인 생각이고 아니다 싶으면 무시하세요 그냥 기출문제 쭉 깔아놓고 보다가 떠오른...
-
정시 이정도면 어느 대학 갈수 있나요.. 최대한 높은 곳으로
-
수험생 한명살린다 치고 보내주세요ㅠㅠ 쪽지 주시면 메일 보내드리겠습니다!!!
-
본의 아니게 술 좀 먹고 자버려셔 어제 예측한 과 공개 못 했네요.. 어제 예측했던...
-
문창인생이고 수학백분위93점으로 97프로인가 그러고 지리 지리 47 47로...
-
2013년 2월에 졸업해서 현재 군인 신분으로 공부할 시간이 빠듯했지만.. 교대를...
공감이니 뭐니 객관식 시험에서 그 ㅈㄹ하는게 더 싫음
ㄹㅇ
난 나쁘지않게 생각함
어쨌든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니까
문학의 비문학화말고 걍 다 비문학하면 안되나요
전 지지함
과탐도 추리논증처럼
내가 비문학을 ㅈㄴ 못함
그냥 느낌대로 찍는걸 좋아할수도 있지
감각적 직관
싫어하지는 않는데 문학이 글의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이용되는 거 같아서 별로임
걍 수능에서 문학을 빼야함
비문학으로 문학평론/문학이론 하나정도 넣는건 ㄱㅊ을듯
근데 그것도 반대인게 교육과정에서 문학 빼면 누가 문학읽음ㅋㅋㅋㅋ

‘교육과정에서 문학을 빼면 문학을 안 읽는다‘는 사실명제고 ‘문학을 읽어야 한다‘는 가치명제이므로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고 있군.반대로 문학 작품의 의미를 문제로 단정짓는 게 맞나 싶고, 단적으로 문학을 교육 과목으로 삼는 게 맞나 싶음
그래서 비문학화임
시험의 정답은 하나여야하니까
그럼 문학의 존재의의가 없어보여요 차라리 독서를 더 내는 게 낫지 않나...
평가원에서 말하는 문학의 비판적 읽기, 상호텍스트적 읽기가 중요하다는 건 알지만, 그게 수학능력에 있어서 필수적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