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69765
We are largely ignorant 까지 해서 문장 완결 아닌가요? 뒤에 that의 문장 성분이 뭔지 모르겠어요. 쓸거면 about 같은 전치사로 이어줘야하지 않아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억까를 거르고 결국 내가 잘할수밖에 ㅠㅠ
-
얼버기 3
-
게 사진 보고 안심함 댓글에 캬 달음 작성자 "내가 사람들의 감정을 조종했다. 나는...
-
중증외상센터 2
남수단에서 한국으로 다시 복귀하는 날 아침에 주연급 응급 간호사가 주연급 응급...
-
개잡대 추가모집에 합격했음. 등록할거냐고 전화가 오는데 등록하겠다 했어도,...
-
하나 더 있는데 그냥 먹어버릴까
-
얼평 7.6점 2
우헤헤우헤헤
-
감사합니다
-
, 2
-
가족외식 안따라갔다고 욕 이빠이 먹고 있는데.... 4
그렇게 잘못한건가여.전 자고 싶었다구여....
-
나도 알려줘..옯왕따 시뤙..
-
물론 난 이미 대학 갔고 수고들 하셈
-
돈 들어옴 1
-
아니꼽게 보는 사람도 많은거 계속 인지는 하고 있었음 근데 그냥 내가 우울하니까...
-
얼버기 4
찍고 다시 자기
-
재수생입니다. 생재수하기에는 너무 쫄려서 차라리 2차 충원으로 반수나 편입을...
-
한한가고 싶너
-
크보에서는 못하는 응웡가로 wwe를 할 수 있음 서로 조롱하고 비하발언하고 이러는...
-
이거 푸러보쉴
-
‘하루가 삼년 같다’는 구절에서 하루와 삼년이 대비된다고 볼 수 있나요?? 해설에는...
about을 쓰려면 about the fact that ~ 으로 해야할듯요 뭐가 무지한지 접속사 that으로 이어준거예요
밑 댓글에 '리즈보려고 수능만점' 님하고 같은 의견이실까요? 부사절 접속사 that은 익숙치가 않아서 헷갈리네요..ㅜ
그냥 대충 해석적으로만 봤을 땐 명사절 같아보이는데 형식으로 따지고보면 ignorant가 형용사니까 부사절로도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도 영어를 완벽히 아는 게 아니라 확답은 못 드리지만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형식에 너무 얽매여있지 않아도 되니까 그냥 받아들이는게 나을 것 같아여
그러게요 예문 찾아봐도 보통 전치사랑 같이 쓰네여 근데 모고나 수능에서는 저렇게 쓰여도 구조적으로 따지지 말고 해석해야하는 경우 많아요
1. 부사절 이끄는 that 형용사 수식 ?
아..부사절 접속사로 쓴거라면 어느 정도 맞아떨어지는 것 같은데 뭔가 처음 보는 녀석이라 잘 안 넘어가지네요..
근데 보통 한국어로 해석하면 be+형용사 자체를 우리 언어에선 서술어 자리로 뭉뜽그려서 that을 자연스럽게 목적어로 해석하긴 해서... 수능준비면 굳이 형식에 너무 목매달 필요는 없는듯요
구조를 안 맞추고 독해하다가 이상한 해석을 한 경험이 종종 있어서 구조파악이 안 되면 문장 자체 해석이 안 되더라구요.. 어느 선까지 뭉그려도 되는지 알 수 잇으면 좋겠는데 그 선도 애매하니..ㅜㅜ 의견 감사합니다..
완전꼬이는 구문이 있긴 하죠.. 그런것들만 조심하시면 돨 듯
근데 보통 수능에선 도치나 수식어구 덕지덕지 바른 거 아니면 웬만하면 잘 해석 되실 거에요
We are largely ignorant 까지 해서 문장 완결 아닌가요? 뒤에 that의 문장 성분이 뭔지 모르겠어요. 쓸거면 about 같은 전치사로 이어줘야하지 않아요?
→ 부사절 접속사 that입니다.
보통 감정 관련 형용사나 판단 관련 형용사의 '바로 뒤'에 놓여, 그 형용사를 보충설명해 줍니다.
예를 들면, 감정 형용사의 바로 뒤에 that절이 온다면 그 감정을 느낀 이유,
판단 형용사(sure 등)의 바로 뒤에 that절이 온다면 그 판단을 내린 이유 등을 보충설명해 줍니다.
이때 that은 '~하는 것을, ~하는 것에 대해, (감정 형용사를 꾸밀 때) ~해서' 정도로 해석합니다.
We are largely ignorant 우리는 대체로 모른다
that there is such a thing 그러한 것이 있다는 것을
as visual intelligence 시각 지능과 같은
해당 예문은 2형식 문장입니다. (부사절은 글자 그대로 부사절이므로 문장성분으로 치지 않음. 단, 부사절 내에서는 there be가 사용된 1형식 구조입니다)
참고1) 관사는 원래 명사구의 맨 앞에 놓여야 하지만, such를 비롯하여 특정 표현이 사용되면 부정관사(a/an)가 놓이는 위치가 바뀔 때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o/too, such/quite/rather가 있습니다.
부사 so/too는 'so/too + 형용사 + 부정관사 + 명사'의 어순으로,
부사 such/quite/rather는 'such/quite/rather + 부정관사 + 형용사 + 명사'의 어순으로 사용됩니다. (엄밀히 말하여 이때 such는 형용사이지만 그냥 부사라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그래서 해당 예문에서도 'such+부정관사+명사(thing)'로 사용된 겁니다.
참고2) 전치사구 as visual intelligence가 형용사적 용법으로서 앞에 있는 명사 thing을 꾸며주고 있기 때문에 '~같이'라는 기존 뜻에 '받침 ㄴ'이 붙어 '~같은'으로 해석이 바뀐 겁니다.
---
어릴 때부터 꾸준히 교육을 받아온 사람이라면 큰 상관이 없겠지만, 그러지 못한 사람은 문법을 정확히 알아야 해석을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구조를 안 맞추고 독해를 하다가 이상한 해석을 한 경험이 종종 있어서~'는 정확하게 느끼고 계신 겁니다.
참고로 부사절 접속사 that은 생략도 가능하니 같이 알아두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