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가하다'도 표준어가 될 수 있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54323

이동석(2010) 중세국어 어기 `번`의 단어족 연구
물론 '-하'가 첨가되는 것이 그닥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고 '삼가다'라는 단어가 있기 때문에 '삼가하다'를 쓰지 말라고들 하지만, 언어는 곧 언중의 선택인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남자중에 잘생긴분만 쪽지 4 1
ㄱㄱ
-
자작문제 3점 2 1
양수 t에 대해서로 바꿔서 풀어주세요
-
확통 질문 2 0
같은 공 같은 그릇일뗀 안나오나요? 그리고 어떻게 구하나요?
-
정시 6 0
예비 고2 자사고 5.대인데 정시하는게 맞는지... (3.대부터 좋은곳 갈 수...
-
진짜 알코올중독자 다된듯 5 0
알바끝나면 계속 술땡김
-
동묘앞 오르비꺼라 0 1
넵
-
개념 + 유형별 기출문제집 회독을 해서 문제들이 어느정도 눈에 익었습니다.이미 제가...
-
지방한약 입결 = 연대 인문 5 1
원광대 한약 = 연대 교육, 신학, 경영, 정외
-
그림 하나 그려드림 5 0
딱.한 개
-
자발적 N수와 3떨하고 강제 N수는 진짜 기분이 다르네;;
-
저메추해주세요!!




삼가다라고하지 누가 삼가하다라고 씀
생각보다 그런 경우 많음.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임
국국원은 언중이 자주 틀리는 경우 표국대에 그 단어를 싣고 -->를 이용해 규범 표기가 아님을 나타내는데 '삼가하다'도 -->를 이용해 '삼가다'가 규범 표기라고 나타내고 있음
아 삼가하다 그자체 그대로는 몰라도 삼가고 대신에 삼가하고라는 표현은 은근 쓰네 생각해보니까말야
사… 삼가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