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가하다'도 표준어가 될 수 있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54323

이동석(2010) 중세국어 어기 `번`의 단어족 연구
물론 '-하'가 첨가되는 것이 그닥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고 '삼가다'라는 단어가 있기 때문에 '삼가하다'를 쓰지 말라고들 하지만, 언어는 곧 언중의 선택인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흠
-
토익과 테샛을 신청했어요 2 0
이번에 군대 못가면 지게차따야지
-
Ai 드립 개잘치네 ㅋㅋ 4 0
-
두점차 따라간것도 잘한것. 7 1
지는것보단 낫다고 생각해요... 휴
-
인천청라 화재이후 어떻게 됨? 0 1
복구됬나요? 후폭풍은 다 지나갔나요? 아니면 영향있나요
-
나 무쏘이 선언한다 2 0
올해는 여자친구 꼭 만들거예요
-
ㅇㅈ 12 0
수특 표지 커스텀 ㅇㅈ 으흐흐
-
07인데 지구1 왜케 어려워요 5 1
생지런디 지구 겁납니다
-
왜 너만 해
-
정시파이터분들 근데 5 0
처음에 정시 다들 고2 때 시착함? 기출하고 엔제풀고 이런 순서는 다들 어떻게 처음...
-
ㅇㅈ 5초삭 10 0
ㅌㅌ
-
방 ㅇㅈ 5 1
풀떼기들과 함께하는 소중한 공간














삼가다라고하지 누가 삼가하다라고 씀
생각보다 그런 경우 많음.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임
국국원은 언중이 자주 틀리는 경우 표국대에 그 단어를 싣고 -->를 이용해 규범 표기가 아님을 나타내는데 '삼가하다'도 -->를 이용해 '삼가다'가 규범 표기라고 나타내고 있음
아 삼가하다 그자체 그대로는 몰라도 삼가고 대신에 삼가하고라는 표현은 은근 쓰네 생각해보니까말야
사… 삼가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