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세카이 [1189767]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5-02-22 13:36:43
조회수 303

수능 영어에 대한 간단한 깨달음 11가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51411

1. 다 읽어도 시간은 남는다. 자꾸 같잖은 핑계 꺼내면서 본질을 놓치는데,

그냥 해석 빨리 하고 내용 분류 잘 하면 되는 걸 왜 안 하는지?


2. 암기력 중요하다. 첫 문장 기억 못하면 암만 열심히 읽어도 남는 거 없음.


3. 수능 영어는 고차원적 추론을 요구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문장은 그냥 앞 잘 물고 달리면 뚫림.

수백개의 평가원 빈칸문항 중 고차원적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는 2~3문제에 불과함.

근데 그거 못해도 풀 수 있음. 빈칸에 들어갈 말 빼고 나머지 정리할 때는

그냥 하던 대로 해도 되니까. (130928, 171133, 241133 - 근데 얘도 빈칸에 들어갈 말 생각하는 

그렇게 어렵지는 않음.)


4. 순서/삽입은 생각보다 해야 할 게 많다. 그냥 보고 찍는다? 말도 안되는 소리...

응집성, 일관성을 제대로 이해하면 훨씬 쉽게 풀 수 있다.


5. 20번대 문제는 내용을 있는 그대로 보면서, 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냥 반복되는 단어 잡아서 대충 묶는 습관만 길러서는 요즘 문제 풀기 힘들 것.


6. 어휘는 무조건 학습해야 한다. 모든 어휘를 다 알아야 되는 건 아닌데,

적어도 워드마스터에 있는 단어 정도는 다 알아야 한다.

한 문제에 모르는 단어가 10개 넘어가는 순간 독해 스킬이니 해석 기술이니 다 무용지물이다.


7. 모든 문장은 중심 내용과 '어떻게든 관련이 있'다.

이걸 의식하면서 글을 읽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과의 차이는 어마어마하다.


8. 같다/다르다... 로 모든 글을 제대로 읽을 수 없다.

수능 국어에서는 [선후, 상관, 인과, 대조, 비교, 비유, 열거, 환원] 다 고려하면서

수능 영어에서는 [같다/다르다] 딸깍 하겠다고? 될 리가 있나.


적어도 [선후, 인과, 대조, 열거]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9. 20번대는, 글을 똑바로 읽고 정리했다면, 정답 선택지를 바로 고를 수 있다.

정답 선택지에 들어가야 할 말이 들어가지 않았다? 그 선택지는 틀린 것이다.

적어도 평가원 문제는 항상 그랬다.


10. 이상한 문제집 사서 풀지 말고 차라리 수특을 풀자.

수특에 나오는 엿같은 단어, 엿같은 문장만 잘 정리해도 수능에서 덜 털림.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글을 보는 대부분의 일반 학생들은

'사설 문제'인지 '평가원 문제'인지 구분하는 기초적인 능력조차 없다.


작년 6월 23번, 9월 24번? 편집해서 파일에 집어넣으면

사설틱하다고 씨부리는 사람들 존~나 많을 것이다.


그냥 아무거나 풀어라.


11. 근데 이 말을 해봤자 2등급만 나오면 되는데 실제로 나오는 학생들한테는

아무런 설득력이 없다. 인정한다.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뀐 이상 뭐... ㅜㅜ



약력

고려대학교 영문과 재학


2019 3월 모의고사 1등급

2019 4월 모의고사 1등급

2019 6월 모의고사 1등급

2019 7월 모의고사 1등급

2019 9월 모의고사 1등급

2019 10월 모의고사 1등급

2019 수능 1등급

2020 9월 모의고사 1등급

2020 수능 1등급

2022 6월 1등급

2022 수능 1등급

2023 6월 1등급

2023 9월 1등급

2023 수능 1등급

2024 6월 1등급


과외 6년차

학원강사 경력 有

성적상승 경력 다수


fidelity 모의고사 검토(예정)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