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주 [1146618]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5-02-22 13:26:30
조회수 246

짧 칼럼) 영인수의 기하적해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51252

칼럼은 처음이기도 하고 

지하철에서 할거 없어서 짧게 아이디어만 던져놓고 갈게요


문제를 통해 함수 g가 x=0에서 x축과 접하므로 x=0에서 영인수가 2개 이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서술의 편의상 f(x)+x를 h(x)라고 하겠습니다

합성함수의 영인수개수를 생각해본다면 h는 (x-1)인수를 2개 이상 가지고, 양수 전체집합에서 증가해야하므로 인수가 3개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h(x)=(x-1)^3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말로 풀어쓰니까 좀 길어졌는데 현장에서는(머리속으로) 바로 f구하고 역함수와 합성함수 미분법으로 쉽게 답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rare-충북대학교 rare-IVE rare-귀여운 병아리 rare-fromis_9 rare-고대 안유진 rare-그 말이 옳을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