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경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33135
은 설경제, 경영 중 뭐임?
설대는 경제 >> 경영이라는데 맞는겅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칠리콩까네 칠리콩까네
-
지로함 6
평가원에선 잘 모르겟는데 (어렵게 안 내서), N제같은거 보면 되게 재밋는 문제...
-
나만 알겟음
-
아니 0
에무 윙크하는거 보다가 크악
-
과기원 라인 정리해줌 13
카이스트<—인정. 서울대 다음 포항공대<—연고라인 유니스트 지스트 <——중경외시...
-
다시 했을 때 메디컬 가능성 얼마나 보시나요?
-
ㄹㅇ임
-
잘때가된건가 5
슬슬
-
ㅇㅇ 기분전환겸 개강 직전에한번 가야겠네
-
내 아이큐 10
129
-
수특 연계 0
정석민 독서문학 듣고있는데 그냥 매e네 들어도 되나요?? 업로드가 느리다해서 딴 쌤도 고민중인데
-
으아으에ㅔ게 0
능네ㅔㅈ지ㄴ엗ㄷㅈ
경영일걸여??
아닐 수도 있음 절대 신뢰 노
일반적으로 경영
요즘에는 설경이라고 하면 "서울대학교 경영학과"가 사람들이 의미하는 게 맞는 것 같구요. 다만 예전에 상과대학으로 같이 있을 시절 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경우가(經友歌)"라는 노래가 서울대 경제학과의 주제가였던 것에서 보듯, 서울대 상대의 "경(經)"의 원조는 경제학과이긴 합니다. 과거 서울 상대의 주류 엘리트 족보인 경우회(經友會)는 경기고-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을 의미하기도 하였습니다. 어쨌든지간에 오늘날까지도 동창회는 서울대 상대로 경제학과(혹은 경제학부)-경영학과-국제경제학과(예전 무역학과, 현재는 경제학부로 통합)-상학과(오래전에 경영학과에 흡수통합) 모두 같이 합니다.
인풋, 아웃풋 관련해서는 전통적으로 서울대는 다른 학교와 달리 경영 대비 경제의 약 우위가 있다고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편이지만 취향 차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인풋이라면 경제 떨어질 것 같아서 경영을 쓴다다니 경영 떨어질 것 같아서 경제를 쓴다느니 이런 케이스는 없다고 봐야 하고, 아웃풋은 정관계냐 사기업이냐에 따라 우위가 다른 편이고 따라서 취향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요즘 정부에서 총리-부총리-장관들 및 주요 부서의 요직 정무직 출신 학부를 보시면 서울대 전체를 통틀어도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고, 반면 상장사 임원 중에는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이 가장 많습니다. 사기업보다 공공부문이나 정관계를 한 수 위로 치던 과거에는 경제학과 출신들의 아웃풋이 두드러져 보였으나 사기업이 역할이 점차로 더 중요해 지면서 경영학과의 아웃풋에 대판 평가는 점차로 상향 조정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