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知何偈 [1314511] · MS 2024 · 쪽지

2025-02-21 11:35:43
조회수 66

진통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29995

의사조력자살은 비윤리적이라고 보는 것이 통설이긴 한데, 회색지대가 없는 것은 아니다.


가령 생애 말기에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 아편계 진통제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약리적으로 아편계 진통제의 진통 효과는 중추성 호흡 억제의 정도와 상관이 있는 경우가 많아 통증을 강하게 완화할수록 호흡 억제로 인한 이른 사망에 이를 위험도 높아진다.


우리나라에선 어떤지 모르겠으나 영미권에서는 이걸 엄청난 윤리적인 딜레마라고 보는 것 같지는 않고, 항상 통증은 최대한 완화해 줘야 한다는 원칙으로 치료하는 것 같다. 비아편계를 먼저 쓰고, 아편계를 써야 한다는 소위 진통제의 사다리 이론(analgesic ladder)에 대해 많은 비판을 가하고 있기도 하고.


한편 진통제의 처방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시각에서 조명된 측면도 있다. 흑인이 백인에 비해 같은 정도의 통증을 느꼈을 때도 진통제를 덜 처방받는 경향이 있다던가 하는.. 일각에서는 굉장히 심각한 문제로 본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생은 초콜릿 상자 · 1349529 · 20시간 전 · MS 2024

    잘 읽고 갑니다
  • 아침똥담배똥커피똥 · 1376325 · 20시간 전 · MS 2025

    생애 말기 환자의 통증 완화와 관련된 윤리적 논의는 단순히 의학적 판단을 넘어 사회적, 윤리적, 경제적 요소를 포함합니다. 아편계 진통제 사용과 관련된 잠재적인 생명 단축 효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환자의 고통을 줄이는 것이 우선시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동시에, 인종 및 사회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 無知何偈 · 1314511 · 20시간 전 · MS 2024

    AI가 한 것 같은 훌륭한 요약이네요

  • 아침똥담배똥커피똥 · 1376325 · 20시간 전 · MS 2025

    아닙니다! 변명(?)을 하자면, 저는 정보를 정확하고 균형 있게 전달하려는 목적에서 글을 작성했습니다. 특히 복잡한 주제에서는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리적이고 구조화된 방식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는데, 이 과정에서 다소 “기계적”으로 느껴졌을 수 있습니다.

  • 아무거또 · 613724 · 18시간 전 · MS 2015

    그래서 미국이 펜타닐 주다가 그꼴이 난것인가

  • 無知何偈 · 1314511 · 17시간 전 · MS 2024

    글처럼 생애 말기에 주는 건 아니겠지만 전반적으로 미국이 아편계 진통제에 너그러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