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인문 논술 합격, 정말로 운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20250
안녕하세요. 황성찬입니다.
오늘은 인문 논술 합격이 실력인지, 운인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논술 합격, 정말로 ‘운’일까?
오르비에서도 자주 보이는 이야기지만, 많은 사람들이 인문 논술 합격은 운이라고 말합니다.
‘3일 공부하고 합격했다’, ‘수능 보고 파이널 때 2주하고 합격했다’ 등 짧은 기간 공부하고도 합격한 사례를 보며, 논술이 ‘운’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듯합니다. 하지만 논술을 제대로 공부해보면, 결코 운일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논술 문제는 ‘운’으로 풀 수 있는 시험이 아니다
논술 문제는 입학처 관계자나 조교가 챗GPT에 의뢰해 몇 분 만에 대충 만들어내는 수준 낮은 문제가 아닙니다.
여러분이 꿈꾸는 대학의 실력 있는 교수들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며칠, 때로는 몇 주에 걸쳐 심혈을 기울여 출제하는 문제입니다.
그런데 교수들이 문제를 만들 때, 실력이 부족하지만 운이 좋은 학생이 합격하도록 출제할까요? 절대 아닙니다.
논술은 대학에서 공부할 기초 역량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기본적인 독해력, 사고력, 논리적 탐구력을 갖춘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 끝에 출제됩니다.
결국, 논술은 실력이 평가되는 시험이지, 단순한 운이 작용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논술이 ‘운’처럼 보이는 이유
그렇다면 왜 논술이 운처럼 보이는 걸까요?
이는 논술 전형의 근본적인 한계 때문입니다.
누구나 가고 싶어 하는 대학, 이를테면 중경외시 이상의 학교에 단기간 공부하고 합격한 사례를 보면서, 논술이 운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시나 수시로 중경외시 이상의 대학에 가려면 높은 성적이 필요합니다. 보통 수능 백분위 90% 이상, 내신 1등급 후반 정도의 성적이 요구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학생들은 논술 전형을 준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존 성적으로 충분히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교과나 학종, 정시로 원하는 대학에 가기 어려운 학생들이 논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논술 전형의 핵심 변수
논술 전형에는 수능 최저 등급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오랜 기간 논술을 준비해 온 학생들도 최저 등급을 맞추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논술을 오래 공부하고 실력이 뛰어나더라도, 최저 등급을 충족하지 못하면 시험장에 들어가는 것조차 의미가 없습니다.
정시를 준비해온 학생들은 수시 6장의 카드를 활용해 최저 등급이 높은 학교에도 부담 없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히려 논술을 오래 준비한 학생보다, 정시 공부를 하던 학생이 논술에 합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최저 등급이 높은 상위권 대학에서 더욱 두드러집니다.
결국 시험장에서 경쟁하는 학생들은 논술을 오래 공부한 학생이 아니라, 평소 논술을 공부해 본 적 없는 학생들끼리의 경쟁이 됩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타고난 독해력이 더 좋은 학생, 논리적 사고력이 더 뛰어난 학생이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논술이 ‘운’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논술은 실력이다
논술을 한 번도 공부한 적 없고, 파이널 기간 3일만 공부해서 한양대 논술 전형에 합격했다는 사례는 없습니다.
한양대 논술은 최저 등급이 없고, 전국에서 논술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몰리는 시험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올해부터 한양대 논술에도 최저 등급이 생깁니다.)
만약 논술이 정말 운이라면, 한양대에서도 단기간 공부한 학생들이 다수 합격해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즉, 논술은 결국 운이 아닌 실력으로 합격하는 전형입니다.
논술이 운처럼 보이는 이유는 논술 전형의 구조적 특성 때문이지, 실제로 운이 작용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논술은 철저히 독해력과 사고력, 논리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운이 좋으면 붙는다’는 막연한 기대를 버리고,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논술 실력을 갖추고 내가 원하는 대학이 요구하는 최저등급을 맞출 수만 있다면, 분명 남들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실력으로 합격할 수 있습니다.
논술은 결국 실력으로 합격하는 시험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 경제학부 지망중인데 지균 써야할지 일반 써야할지 고민됩니다. 내신은...
-
온몸이 개복치다 8
따흐흑
-
사주사이트는 잘안맞죠?? 정해진 데이터베이스에 문구만 노출된다고 하던데...
-
사주잘보는곳 아시는분.. 저희집 주변에 오늘 철학관갔는데 하나도 못맞춤.. 돌팔이인듯..ㅠ
-
기하 n제 모음 22
현우진 시냅스 드릴 2022 2023 2024 2024워크북 김기현 싱글커넥션...
-
[공통수학 1] 따끈따끈한 2025년 중간고사 기출+ 손풀이 0
안녕하세요. 어수강 박사입니다. [과천여고] 2025년 공통수학1 중간고사 기출문제...
-
ㅜ
-
반수를 결정하게 되었는데, 작년에 물지를 해서 물리 42점, 지구 36점을...
-
[칼럼] 90일만에 문디컬 가기 - 방향 설정의 중요성 3편(최종편) 19
안녕하세요 한달뒤는입니다. 90일만에 문디컬가기 3편으로 돌아왔습니다. 사실 1,...
-
시대랑 강대 수학문제는 틀렸을때 피드백을 잘 못하겠음 0
뭔가 문제들이 특별한 포인트가 있다기보다는 그냥 전형적으로 쭉 풀이 전개해나가면서...
-
과외시장에서 잘나가나요? 롹통이여도?
-
사는게 고민 ha
-
밖에서 얘기 처하는게 어떻게 여기까지 들림ㅋㅋ
-
올해 출시되는 강대모의고사X도 사면 작년처럼 김범준쌤 해설 볼 수 있을까요? 아니면...
-
아무나쓰셈 0
이런걸 왜 받은거지;
-
2시간 반정도 회의통역 겸 식사통역겸 기술통역하고 1시간 반정도 통역스터디~지방...
-
잇올에서 8
잘때 책넣는 곳에 책대신 머리 집어놓고 자는데 이상하게 안보겟죠
-
ㅅㅂ 옯붕이들 뭐먹고싶노 나 먹고 싶다는 나쁜말 ㄴㄴ
-
컴오버 0
컴오바 컴오버 앤 댄스
-
소설 고전소설 현대시 고전시가 전부 공부해야하나요? 독서는 연계 안되는 거로 알아서...
-
딴 실모는 그래도 84밑으로는 거의 안내려가는데 서바는 상방이 84네 30문제중에...
-
내일...할 수 있지?
-
깡패. 조직폭력배 두목 어떻게 생각함? 머리가 좋은데 왜 싸움질하고 다니는걸까?
-
시계 얘기에 관심이 없었는데 만년필은 쓰시는분들이 은근 있는게 되게 놀랍네요 전...
-
모든 문장을 다 이해한다는게 아니고 글을 읽으면서 어디가 중요한 문장인지 어디에...
-
오르비에 십덕 많음? 15
?
-
군수 확통 0
올해 군수하는 공군입니다 지금 미적 사탐중인데 미적 쎈은 했는데 미적분 실전개념을...
-
잇올 2
성적표 안주네
-
단풍 송로 월야는 꼭 사고 싶네요.. 지금은 펜케이스 돈모아야돼서 좀만 버티는걸로
-
이문제 풀이 좀 알려주세요..
-
그냥 문풀량 늘린다는 느낌으로 n제 병행하는것도 괜찮을까요? 기출을 유기할 생각은...
-
릴스쇼츠에 꾸역꾸역 자꾸 노출시키면서 광고문구도 뭔 바이럴 절대 아니고...
-
현역인데 엄기은T or 이훈식T 고민중입니다
-
큰 사고는 아니면 좋겠네요..
-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글읽는 태도 (날려읽기 등등 나쁜 습관 버리기) 글에서 제시한...
-
이제부터 난 1
코즈키 정벽이다
-
탕탕 2
후루
-
국어 1컷 수탐 만점으로 인설의 무쌍찍기가 가능할까? 어케 생각함? 음음음
-
사정이 있어서 이제 스블 완강하는데카이스 아나토미 이거 통통이들처럼 없애버리는거...
-
뭔일있???
-
예를들어 , 유교에 대해 말해봐 하면 우물쭈물인데 문제만 보면 다 잘 맞추는?
-
정시 3떨하고 3월부터 공부 시작해도 강의진도가 내 공부속도와 똑같아서 1~2월치...
-
5월부터 시대 라이브 들어볼 생각인데요, 올해 수능 수학 만점을 목표로 잡고...
-
사실 그걸 그렇게 볼 수 있냐 없냐의 여지 자체는 어느정도 공감하시는 분들도...
-
그냥 1
공부안하고 성적 잘받고싶다 평가원장 납치하고 감금하면 수능 답 다 말하겠지?
-
작수 28,29,30정도 느낌들?
-
[원본]https://orbi.kr/00023946160/ 하나는 아이언맨 킬러...
-
현재 고3이고 겨울방학때 도표부분 제외 마더텅 1회독 했습니다. 내신준비하느라...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