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인문 논술 합격, 정말로 운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20250
안녕하세요. 황성찬입니다.
오늘은 인문 논술 합격이 실력인지, 운인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논술 합격, 정말로 ‘운’일까?
오르비에서도 자주 보이는 이야기지만, 많은 사람들이 인문 논술 합격은 운이라고 말합니다.
‘3일 공부하고 합격했다’, ‘수능 보고 파이널 때 2주하고 합격했다’ 등 짧은 기간 공부하고도 합격한 사례를 보며, 논술이 ‘운’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듯합니다. 하지만 논술을 제대로 공부해보면, 결코 운일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논술 문제는 ‘운’으로 풀 수 있는 시험이 아니다
논술 문제는 입학처 관계자나 조교가 챗GPT에 의뢰해 몇 분 만에 대충 만들어내는 수준 낮은 문제가 아닙니다.
여러분이 꿈꾸는 대학의 실력 있는 교수들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며칠, 때로는 몇 주에 걸쳐 심혈을 기울여 출제하는 문제입니다.
그런데 교수들이 문제를 만들 때, 실력이 부족하지만 운이 좋은 학생이 합격하도록 출제할까요? 절대 아닙니다.
논술은 대학에서 공부할 기초 역량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기본적인 독해력, 사고력, 논리적 탐구력을 갖춘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 끝에 출제됩니다.
결국, 논술은 실력이 평가되는 시험이지, 단순한 운이 작용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논술이 ‘운’처럼 보이는 이유
그렇다면 왜 논술이 운처럼 보이는 걸까요?
이는 논술 전형의 근본적인 한계 때문입니다.
누구나 가고 싶어 하는 대학, 이를테면 중경외시 이상의 학교에 단기간 공부하고 합격한 사례를 보면서, 논술이 운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시나 수시로 중경외시 이상의 대학에 가려면 높은 성적이 필요합니다. 보통 수능 백분위 90% 이상, 내신 1등급 후반 정도의 성적이 요구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학생들은 논술 전형을 준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존 성적으로 충분히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교과나 학종, 정시로 원하는 대학에 가기 어려운 학생들이 논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논술 전형의 핵심 변수
논술 전형에는 수능 최저 등급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오랜 기간 논술을 준비해 온 학생들도 최저 등급을 맞추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논술을 오래 공부하고 실력이 뛰어나더라도, 최저 등급을 충족하지 못하면 시험장에 들어가는 것조차 의미가 없습니다.
정시를 준비해온 학생들은 수시 6장의 카드를 활용해 최저 등급이 높은 학교에도 부담 없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히려 논술을 오래 준비한 학생보다, 정시 공부를 하던 학생이 논술에 합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최저 등급이 높은 상위권 대학에서 더욱 두드러집니다.
결국 시험장에서 경쟁하는 학생들은 논술을 오래 공부한 학생이 아니라, 평소 논술을 공부해 본 적 없는 학생들끼리의 경쟁이 됩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타고난 독해력이 더 좋은 학생, 논리적 사고력이 더 뛰어난 학생이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논술이 ‘운’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논술은 실력이다
논술을 한 번도 공부한 적 없고, 파이널 기간 3일만 공부해서 한양대 논술 전형에 합격했다는 사례는 없습니다.
한양대 논술은 최저 등급이 없고, 전국에서 논술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몰리는 시험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올해부터 한양대 논술에도 최저 등급이 생깁니다.)
만약 논술이 정말 운이라면, 한양대에서도 단기간 공부한 학생들이 다수 합격해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즉, 논술은 결국 운이 아닌 실력으로 합격하는 전형입니다.
논술이 운처럼 보이는 이유는 논술 전형의 구조적 특성 때문이지, 실제로 운이 작용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논술은 철저히 독해력과 사고력, 논리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운이 좋으면 붙는다’는 막연한 기대를 버리고,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논술 실력을 갖추고 내가 원하는 대학이 요구하는 최저등급을 맞출 수만 있다면, 분명 남들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실력으로 합격할 수 있습니다.
논술은 결국 실력으로 합격하는 시험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 잔다 ㅂㅂ
-
크아 6
크ㅜ
-
출근길에 방문열어봣다가 없어진거알면 뒤집어질거같아서 못가겟슨
-
야옹
-
남자들의 모순점 6
롤하는 여자를 찾지만 막상 롤창 여자 보면 신기해하거나 피함
-
알바 끝내고 새벽에 불교를 복습하며...
-
놀랍게도 실화임.. 오르비에서 책 사면 주는 스티커 붙이고 다님뇨
-
고향에 온거 같음
-
이거 재밋네 다른 것도 해봐야지
-
자러간다 3
-
배고파 0
뭐 먹지
-
과외 날먹도 못 하겠고 컨텐츠 팀 일도 적당히 못 하겠어서 계속 수정하고...
-
확통런할까요 0
예비고3인데 작수 공통 20,21틀 미적 28 29 30틀입니다 이유도 말해주세용
-
으하하
-
금수저 부러워
-
현실이랑 넷?상 1
나는 여기서 교양인인척하고 현실에서는 노미현코스프레하고다님...
-
전 ‘그건 나라도 ~하겠다.’ 이정도가 최대인데
-
이차곡선 슥삭해야지
-
현실이 없고 넷인생 넷친구만 있는데 어떡하나요?
-
극 내향인이라 롤보도 안킴
-
인터넷이 현실이고 현실이 인터넷이야
-
무지막지한거 가튼데
-
개억까미친
-
뭐지…? 15
덕코 빠져나갔길래 뭔가 했는데 저 레어 머임..? 산적 없는데..? 아 뭐야 저거..
-
오..
-
깜짝 놀라는 것도 느리고 채팅도 느리고 생각도 느리고
-
미적 노잼임
-
나를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
-
옵만추하실분 4
옵붕이 만두먹이고 추노하기
-
신기하다는거물론 계속 잇는 사람들도 잇지만
-
아무나 구해요
-
야식머글까 8
잠안오니 배고프다
-
인스타에서 수학하는땅우랑 마이린 차단함
-
사실 전 차단 0
부러운사람 차단함
-
키 160대남자한테
-
머하지
-
미적분 질문 8
첫번째 사진에서 제가 쓴 식대로 연산 어디가 틀린건가요? 그리고 해설지 4번째...
-
찾아봐야지
-
기묘하네
-
매주 서바이벌을 보는데 선생님이 하나틀린사람! 두개틀린사람! 이렇게 손 들어보라고...
-
개구리 4
개굴개굴
-
엠티가면무조건하겠지...
-
사탐은 솔직히 웬만하면 엔수할땐 안바꾸는게 나은거같음 아무리 안맞아도 엔수하면 달라짐
-
세지 먼가 끌리는데
-
독서의 즐거움 초본 2025.02.21.
-
컨텐츠 많나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