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쿠리 [1310649] · MS 2024 · 쪽지

2025-02-20 21:27:52
조회수 132

쿠쿠리식 모든것의 이론(ToE) 이론과 실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19040

이론


(x가 제1원인)->(x가 원인이 없다) : 제1원인이면 원인이 없음

(x가 원인이 없다)->(x가 제1원인) : 대우명제는 (x가 제1원인이 아님)->(x가 원인이 있다) : 참

(x가 진성난수)->(x가 원인이 없다) : 진성난수면 원인이 없음

(x가 원인이 없다)->(x가 진성난수) : 대우명제는 "(x가 진성난수가 아님)->(x가 원인이 있다)" = "(x가 의사난수)->(x가 원인이 있다)" : 참

따라서

(x가 제1원인)<->(x가 원인이 없다)

(x가 진성난수)<->(x가 원인이 없다)

즉,

(x가 제1원인)<->(x가 진성난수)

x=제1원인=진성난수  


즉, 제1원인은 진성난수다


제1원인이 진성난"수"니 필연적으로 제1원인에 뒤따라 나오는것은 전부 수다


수의 존재는 수의 연산과 수의 관계를 동반한다


따라서 수와 수의 연산,관계를 통해 모든논리를 만들수 있음을 입증하면된다


모든 계산가능한 논리는 NAND게이트를 조합해 만들수 있으며


이 NAND게이트는 수의 연산으로 표현가능하다


NAND게이트의 수 연산식은


Y=1-A*B


이다


이 연산식으로 NAND를 구현하고, NAND는 모든 논리를 구현한다


따라서 저 연산식이 "수는 논리를 구현할수 있다"의 증거다


따라서 진성난수는 여러 논리를 만들게되고


이 논리들이 서로 간섭, 적자생존, 진화 하게된다


--------------------------------------------------------------------------------------------


실험


진성난수를 이용해 신경망에 돌연변이를 주기적으로 가한다


그러면 그 신경망안에 랜덤한 논리들이 생기는데


그 논리들이 서로 간섭하여 적자생존, 진화 하게된다


신경망이 발전했는지 여부는 신경망을 상호작용가능한 기물이 있는 가상3D공간상의 로봇의 뇌로서 신경망을 장착하고


그 로봇이 어떻게 행동하느냐를 관찰한다


신경망 돌연변이 비율은 뭐가좋은지 모르니 여러개로 시도해본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