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오스의 예수상 · 592680 · 15/12/20 22:44

    그렇게 하는 분 많아요. 물론 쉽지는 않지만 경제학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되긴 할듯하네요

  • 히포하마 · 629059 · 15/12/20 22:54 · MS 2015

    서강대가 복수전공이 잘되어 있다고들 하는데 아무리 뒤져봐도 어느정도의 학생들이 복수전공을 하고 있고 또 최종적으로 복수전공 학위를 받는지의 데이터가 없네요....대학이 발표할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복수전공이 쉽다고 해서 서강대를 선택하는학생들이 많은데 데이터는 없고 말만 많네요....혹시 아시는분 있으시면 알려주십시요

  • 라오스의 예수상 · 592680 · 15/12/20 22:55

    제한이 없으니 하고싶은만큼 하고 중도 포기 안하는 이상 거의 백퍼센트 받습니다. 과목 이수하면되는건데요 뭘 ㅋ

  • 히포하마 · 629059 · 15/12/21 01:27 · MS 2015

    답변감사합니다~그런데 말씀하신대로 그냥 과목이수하면되는거면 다른대학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특별히 서강대만의 특징으로 들리지 않네요..

  • 곰곰돌이 · 463560 · 15/12/21 01:45 · MS 2018

    찾아보니 2015년 졸업생 기준 다전공학위 현황도 바로 검색하면 나오네요^^
    국제인문학부 82퍼센트 커뮤 62퍼센트 사과대 54퍼센트 등등입니다

  • 곰곰돌이 · 463560 · 15/12/21 01:37 · MS 2018

    아무리 뒤져봐도 데이터가 안나온다니 그건 아닌데요 제가 지금 당장 서강대 입학처 들어가봐도 홍보자료에 나와있어요
    2013학년도에 국제인문학부 졸업자들의 96.1퍼센트, 사회과학대 졸업자들의 78.2퍼센트, 자연과학대의 51.5퍼센트가 다전공학위를 받았다고 바로 나오는데 데이터가 없다니..
    서강대 다전공제도가 특별한 이유는 문이과 간 제한이 없고 모든 전공조합이 가능하다는 점과 인원제한이 없다는 점이 제일 크죠
    고대 연대 이런 곳 가보면 상경계 복전하려면 학점 엄청 엄청 잘받아야한답니다.
    서강대 다전공은 어느 제한도 없이 전공 학부 간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을 할 수 있다는게 핵심이겠죠. 서강대처럼 오롯이 학생의 선택을 존중해 주는 것이 진정한 복전, 다전공제도의 취지에 부합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 random1111 · 632469 · 15/12/20 23:09 · MS 2015

    주위에서 하는 사람 꽤있는데 마냥 쉽지는 않지만 어느정도 머리 좀 있고 유학 생각있는 사람들은 저학년때부터 미적1,2 부터 시작해서 듣는것 같아요. 경제학 전공과목이든 수학과목이든 평소에 수업열심히 듣고 복습하면서 잘 따라가면 시험기간에도 크게 무리가 되는 정도는 아닌거 같은데 경제든 수학이든 고급과목으로 가면 빡센건 당연하겠죠? 저학년부터 학점관리 어느정도 하고 공부도 어느정도 열심히 하면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