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설 [1197495] · MS 2022 · 쪽지

2025-02-17 09:50:28
조회수 428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049567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HUNG-ANG UNIVERSITY · 1323207 · 02/17 09:53 · MS 2024

    대신 멋잇긴함

  • 박제된 천재를 아십니까? · 953466 · 02/17 10:01 · MS 2020 (수정됨)

    1. 법 지문에서는 확실히 비전공자보다 유리하죠. 비문학 특성 상 배경지식을 알고 있는게 확실히 유리하죠. 로스쿨 입시에서도 같은 학부 출신이면 법 전공자가 정성적 요소에서 가산점 받습니다.
    2. 어려운 시험이니까 법을 알고 있는 건 비전공자에 비해 확실히 유리하고 공부 부담도 상대적으로 줄죠.
    3. 이건 님 말이 맞는 거 같아요

  • 콜라는제로 · 1305632 · 02/17 12:02 · MS 2024

    근데 지금 남은 법대 레벨이 법대 나왔다고 해서 가점 받을 그게 아니에요.. 법대 나오면 학벌 때문에 사실 정성에서 매우 마이너스ㅜㅜ

  • 박제된 천재를 아십니까? · 953466 · 02/17 13:03 · MS 2020 (수정됨)

    ‘같은 학부 출신이면‘
    굴쓴이는 로스쿨 생각이 있는 거 같아서 적었습니다

  • 일개급식 · 1063737 · 02/17 17:21 · MS 2021

    홍대 동대 법학과 정도면 굳이 로스쿨 아니더라도
    (애초에 메이저 로스쿨은 못 가지만)

    언급하신 문과 전문직이나 경찰간부시험 합격 이후에 동문 파워가 다른 데에 비해선 유의미하게 있다고 들은 것 같긴 해요

  • 일개급식 · 1063737 · 02/17 17:22 · MS 2021

    같은 학부 기준 윗댓 말씀처럼 법 정성 가산 있긴 할 걸요. 법학 정성을 얼만큼 보는지는 로스쿨 기조마다 다르긴 하지만 지거로였나 유리하긴 할 겁니다.

    물론 로스쿨이 목표라면 그냥 부산대 가는 게 맞긴 하지만